"평양에 '짝퉁 스벅'...3잔에 3만4천 원"

"평양에 '짝퉁 스벅'...3잔에 3만4천 원"

2025.08.25. 오후 3:49.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북한에 일부 상위계층을 위한 서구식 소비문화가 존재한다는 외국인들의 증언이 나왔습니다.

뉴욕타임스(NYT)는 현지시간 24일 최근 북한을 방문한 관광객과 유학생 등 외국인 3명으로부터 동영상을 입수했다면서 이같이 보도했습니다.

한 중국인 어학연수생에 따르면 평양에서 가장 고급스러운 장소는 '낭랑 애국 금강관'이라는 쇼핑몰입니다.

가구와 주방용품, 식료품 등을 판매하는 이 쇼핑몰은 중국 유학생들 사이에서 '북한판 이케아'로 불립니다.

판매하는 제품의 디자인이 스웨덴 가구 브랜드 이케아와 매우 유사하다는 이유에서입니다.

실제 이케아 제품인지, 모조품인지는 불확실하지만, 램프 등 일부 상품은 이케아에서 판매되는 제품과 포장이 동일하고, 명칭도 같았습니다.

또한 이 쇼핑몰 내에선 스타벅스의 프리미엄 매장 '리저브'를 흉내 낸 커피숍도 영업 중입니다.

이 커피숍의 이름은 '미래 리저브'이고, 스타벅스 로고의 별 대신 알파벳 'M'을 변형한 심볼이 사용됩니다.

이 중국 유학생은 커피 3잔에 25달러(약 3만4천 원)를 지불했다면서 "평양은 물가가 비싸다"고 말했습니다.

또 지난 4월 평양 마라톤대회에 참석한 스웨덴 출신 홍콩 거주자 요한 닐랜더는 북한에선 대부분의 결제가 휴대전화로 이뤄진다고 전했습니다.

닐랜더는 "물과 주스를 파는 노점상도 현금보다 QR코드 결제를 선호했다"며 "북한 주민들도 영상, 메시지, 택시, 쇼핑 앱 등 서방과 유사한 앱을 사용하고 있었다"고 소개했습니다.

최근 개장한 '원산갈마해안관광지구'에서 여름 휴가를 보낸 러시아 관광객들도 호화로운 경험을 했다고 전했습니다.

상트페테르부르크 출신인 다리야 주브코바는 "그림처럼 완벽하게 꾸며진 곳 같았다"고 말했습니다.

주브코바는 미국과 일본, 중국산 맥주를 마시면서 해변에서 바비큐를 즐겼다는 경험담을 소개했습니다.

음식도 풍부해서 해산물과 구운 고기를 많이 먹었고, 리조트 내 쇼핑센터에선 러시아에서 치수가 없어 못 샀던 어그 부츠도 구입할 수 있었다는 것입니다.

주브코바는 1주짜리 관광상품 가격으로 1천400달러(약 194만 원)를 지불했습니다.

국제사회의 제재 때문에 외국 기업은 북한에 사치품을 유통하거나 합작회사를 운영하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스타벅스는 북한에 매장이 없다고 밝혔고, 이케아도 "지식재산권 침해를 지속해 모니터링하고 필요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천명했습니다.




YTN 권영희 (kwony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