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미국 기업들의 올해 자사주 매입이 사상 최대 규모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미국 월스트리트 저널(WSJ)이 보도했습니다.
WSJ은 리서치 업체 '비린이 어소시에이츠' 분석을 인용해 미국 기업들이 올해 1,370조 원)의 자사주 매입 방침을 발표해 연내 총매입량은 1,500조 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했습니다.
자사주 매입은 빅테크(대형 기술 기업)들이 선도하고 있습니다.
애플이 올해 140조 원의 자사주 매입 계획을 발표했으며, 구글 모회사 알파벳이 100조 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한다는 계획입니다.
JP모건(500억 달러), 뱅크오브아메리카(400억 달러), 모건스탠리(200억 달러) 등 대형 은행들도 주주 환원 계획의 일환으로 연내 자사주 매입 방침을 밝혔습니다.
다만, 자사주 매입 규모는 상위 기업에 집중되는 모습을 보여 상위 20개 기업이 전체 자사주 매입에서 차지한 규모는 절반에 육박했다고 WSJ은 설명했습니다.
주요 기업들이 호실적을 이어가는 가운데 트럼프 행정부의 감세 정책이 기업 이익을 늘리는 데 기여하면서 자사주 매입 여력을 늘린 것으로 풀이됩니다.
자사주 매입 후 소각은 현금 배당과 함께 대표적인 주주 환원 정책으로 꼽힙니다.
주식 소각으로 발행 주식 수가 감소하기 때문에 기존 주주의 지분율을 높이며 동시에 주가를 밀어올리는 효과가 있습니다.
일각에서는 미국 증시 고평가 논란이 이는 가운데 자사주 매입이 주가를 더 밀어 올리는 역할을 한다는 비판이 나옵니다.
기업의 평가 가치가 내재 가치보다 높아졌을 때 경영진이 자사주 매입을 실시하는 경우 주주 가치 극대화 측면에서 적절하지 않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워런 버핏(94) 회장이 이끄는 버크셔 해서웨이의 천문학적인 규모의 현금 보유량에도 불구하고 최근 1년간 자사주 매입을 실시하지 않아 투자자들의 궁금증을 불러일으켰습니다.
버크셔는 배당 대신 자사주 매입 후 소각 위주로 주주 환원 정책을 펴온 것으로 유명합니다.
'가치 투자'로 유명한 버핏의 투자 전략을 고려할 때 투자자들은 버크셔의 자사주 매입 중단을 미국 증시가 고평가됐거나 위기가 임박했다는 신호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세계 최대의 운용사인 블랙록의 래리 핑크 최고경영자도 자사주 매입이 빠른 주주 환원을 제공할 수 있지만, 기업의 장기적 성장 투자와 균형을 맞춰 시행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WSJ은 리서치 업체 '비린이 어소시에이츠' 분석을 인용해 미국 기업들이 올해 1,370조 원)의 자사주 매입 방침을 발표해 연내 총매입량은 1,500조 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했습니다.
자사주 매입은 빅테크(대형 기술 기업)들이 선도하고 있습니다.
애플이 올해 140조 원의 자사주 매입 계획을 발표했으며, 구글 모회사 알파벳이 100조 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한다는 계획입니다.
JP모건(500억 달러), 뱅크오브아메리카(400억 달러), 모건스탠리(200억 달러) 등 대형 은행들도 주주 환원 계획의 일환으로 연내 자사주 매입 방침을 밝혔습니다.
다만, 자사주 매입 규모는 상위 기업에 집중되는 모습을 보여 상위 20개 기업이 전체 자사주 매입에서 차지한 규모는 절반에 육박했다고 WSJ은 설명했습니다.
주요 기업들이 호실적을 이어가는 가운데 트럼프 행정부의 감세 정책이 기업 이익을 늘리는 데 기여하면서 자사주 매입 여력을 늘린 것으로 풀이됩니다.
자사주 매입 후 소각은 현금 배당과 함께 대표적인 주주 환원 정책으로 꼽힙니다.
주식 소각으로 발행 주식 수가 감소하기 때문에 기존 주주의 지분율을 높이며 동시에 주가를 밀어올리는 효과가 있습니다.
일각에서는 미국 증시 고평가 논란이 이는 가운데 자사주 매입이 주가를 더 밀어 올리는 역할을 한다는 비판이 나옵니다.
기업의 평가 가치가 내재 가치보다 높아졌을 때 경영진이 자사주 매입을 실시하는 경우 주주 가치 극대화 측면에서 적절하지 않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워런 버핏(94) 회장이 이끄는 버크셔 해서웨이의 천문학적인 규모의 현금 보유량에도 불구하고 최근 1년간 자사주 매입을 실시하지 않아 투자자들의 궁금증을 불러일으켰습니다.
버크셔는 배당 대신 자사주 매입 후 소각 위주로 주주 환원 정책을 펴온 것으로 유명합니다.
'가치 투자'로 유명한 버핏의 투자 전략을 고려할 때 투자자들은 버크셔의 자사주 매입 중단을 미국 증시가 고평가됐거나 위기가 임박했다는 신호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세계 최대의 운용사인 블랙록의 래리 핑크 최고경영자도 자사주 매입이 빠른 주주 환원을 제공할 수 있지만, 기업의 장기적 성장 투자와 균형을 맞춰 시행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