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트럼프 '관세폭탄' 맞서 미국산 무기도입 유보"

"인도, 트럼프 '관세폭탄' 맞서 미국산 무기도입 유보"

2025.08.08. 오후 10:01.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에 총 50%의 고율 관세를 얻어맞은 인도 정부가 미국산 무기·항공기 등 도입 절차를 일시 중단하는 '반격'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인도 정부는 당초 몇 주 안에 라즈나트 싱 국방부 장관을 미국에 보내 미국산 무기 도입을 발표할 계획이었지만, 최근 이를 취소했다고 소식통들이 전했습니다.

이번에 도입 발표가 유보된 미국산 무기는 보잉 P-8 대잠초계기 6대와 관련 지원 시스템, 스트라이커 장갑차, 재블린 대전차 미사일입니다.

이 중 인도 해군을 위한 P-8 도입 계약은 36억 달러(약 5조 원) 규모로 당초 관련 협상이 상당히 진전된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지난 2월 트럼프 미 대통령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백악관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P-8 도입과 스트라이커 장갑차·재블린 미사일의 인도 내 공동 생산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미국 측이 관세와 관련해 명확한 입장을 제시해야 미국산 무기 도입 협상을 재개할 수 있다는 게 인도 정부의 뜻으로 알려졌습니다.

한 관계자는 인도가 미국 관세와 양국 관계의 방향에 대한 명확한 정보를 확보하면 무기 구매가 진행될 수 있지만, "당초 예상처럼 신속하게 진전될 수는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다른 관계자는 이들 무기 구매를 중단하라는 서면 지시가 내려온 것은 없다면서 인도 정부가 앞으로 신속하게 입장을 바꿀 가능성도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하지만 "적어도 현재로서는 (무기 도입과 관련해) 진전된 움직임이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모디 정부의 이런 움직임은 트럼프 미 대통령의 고율 관세 부과로 양국 관계가 악화한 이후 인도가 불만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첫 사례라고 로이터는 지적했습니다.

세계 2위 무기 수입국 인도는 전통적으로 무기 도입을 러시아에 크게 의존해왔는데 최근 수년 동안 프랑스·이스라엘·미국 등 서방으로 눈을 돌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위협과 인도 내 반미 민족주의 고조로 인해 "모디 총리가 러시아에서 미국으로 (무기 도입을) 전환하는 것이 정치적으로 어려워졌다"고 한 관계자는 설명했습니다.

모디 정부는 또한 대미 무역 합의의 일환으로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줄이는 방안, 또는 가격대가 비슷하다면 원유 도입선을 러시아에서 미국 등 다른 나라로 바꾸는 방안에도 열려 있다고 로이터는 덧붙였습니다.

앞서 지난 6일 트럼프 미 대통령은 인도의 러시아산 석유 수입을 겨냥해 21일 후 인도산 제품에 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미국은 전날부터 인도에 25%의 국가별 관세(상호관세)를 부과하고 있어 3주 후부터 미국의 대(對)인도 관세율은 50%로 치솟게 됩니다.




YTN 김잔디 (jandi@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