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뉴욕 증시에서 9월 금리 인하 기대감이 더 강해지면서 7월 비농업 고용 결과의 충격에서 빠르게 벗어나 3대 지수가 동반 급반등했습니다.
뉴욕 증권 거래소에서 우량주 중심의 다우존스 30 산업 평균 지수는 전장보다 1.34% 뛴 44,173.64에 거래를 마감했습니다.
대형주 중심의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 500지수는 1.47% 오른 6,329.94,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 지수는 1.95% 급등한 21,053.58에 장을 마쳤습니다.
주가지수가 동반 급반등한 것은 장 마감 무렵 메리 데일리 미국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 총재의 발언이 전해지면서 금리 인하 기대감이 더 강해졌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데일리 총재는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7월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동결 결정은 안심됐지만, 그와 같은 결정을 거듭하게 된다면 편안함은 덜 느끼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올해 남은 기간 2회 금리 인하는 적절하다"며 "금리 인하를 2회보다 적게 할 가능성도 있지만, 더 가능성이 큰 시나리오는 더 많은 조치를 취해야 할 수도 있다는 점"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시카고 상품 거래소(CME) 페드 워치 툴에서 연방 기금 금리 선물 시장은 9월에 기준 금리가 0.25%포인트 인하될 확률을 94.1%로 반영했습니다.
전날 마감 무렵의 80.3%에서도 추가로 상승하며 금리 인하를 기정사실로 하는 분위기입니다.
12월까지 기준금리가 3회(0.75%포인트) 인하된다는 베팅도 전날의 46.4%에서 데일리의 발언 후 51.2%로 올랐습니다.
2회 혹은 3회 인하 확률이 도합 90% 이상입니다.
더블 라인 캐피털은 "경제 데이터가 약해졌지만, 연준이 올해 두 번 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기본 시나리오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분석했습니다.
업종별로는 기술과 통신 서비스가 2% 이상, 소재와 의료 건강, 유틸리티도 1% 이상 상승하는 등 에너지를 제외한 모든 업종이 올랐습니다.
시가 총액 1조 달러 이상의 거대 기술 기업은 아마존을 제외하고 모두 강세였습니다.
엔비디아가 3.6% 올랐고 메타와 브로드컴, 알파벳도 3% 이상 올랐다. 마이크로소프트와 테슬라도 2%대 강세였습니다.
인공지능(AI) 업계의 기린아 팔란티어는 장 마감 후 예상치를 웃도는 호실적을 발표하면서 시간 외 거래에서 주가가 4% 이상 뛰고 있습니다.
팔란티어는 2분기 매출이 10억 달러, 주당 순이익(EPS)은 0.16달러를 기록하며 LSEG가 집계한 시장 예상치인 매출 9억 4천만 달러, EPS 0.14달러를 상회했습니다.
'오마하의 현인' 워런 버핏이 이끄는 버크셔 해서웨이는 2분기 실적이 기대에 못 미친 데다 자사주 매입이 올해 들어 중단됐다는 소식에 주가가 2.9% 하락했습니다.
지난달 31일 증시에 상장되며 하루에 250% 폭등했던 디자인 소프트웨어 업체 피그마는 주가가 27.38% 폭락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가 러시아산 석유를 엄청난 양으로 사들이는 데 그치지 않고, 그중 상당 부분을 국제시장에 되팔아 막대한 이익을 챙기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트럼프는 오는 7일부터 인도산 수입품에 25%의 관세를 물릴 예정인데 이번 발표는 인도에 대한 관세를 이보다 더 대폭 높이겠다는 의미입이다.
시카고 옵션 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2.86포인트(14.03%) 떨어진 17.52를 가리켰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뉴욕 증권 거래소에서 우량주 중심의 다우존스 30 산업 평균 지수는 전장보다 1.34% 뛴 44,173.64에 거래를 마감했습니다.
대형주 중심의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 500지수는 1.47% 오른 6,329.94,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 지수는 1.95% 급등한 21,053.58에 장을 마쳤습니다.
주가지수가 동반 급반등한 것은 장 마감 무렵 메리 데일리 미국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 총재의 발언이 전해지면서 금리 인하 기대감이 더 강해졌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데일리 총재는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7월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동결 결정은 안심됐지만, 그와 같은 결정을 거듭하게 된다면 편안함은 덜 느끼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올해 남은 기간 2회 금리 인하는 적절하다"며 "금리 인하를 2회보다 적게 할 가능성도 있지만, 더 가능성이 큰 시나리오는 더 많은 조치를 취해야 할 수도 있다는 점"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시카고 상품 거래소(CME) 페드 워치 툴에서 연방 기금 금리 선물 시장은 9월에 기준 금리가 0.25%포인트 인하될 확률을 94.1%로 반영했습니다.
전날 마감 무렵의 80.3%에서도 추가로 상승하며 금리 인하를 기정사실로 하는 분위기입니다.
12월까지 기준금리가 3회(0.75%포인트) 인하된다는 베팅도 전날의 46.4%에서 데일리의 발언 후 51.2%로 올랐습니다.
2회 혹은 3회 인하 확률이 도합 90% 이상입니다.
더블 라인 캐피털은 "경제 데이터가 약해졌지만, 연준이 올해 두 번 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기본 시나리오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분석했습니다.
업종별로는 기술과 통신 서비스가 2% 이상, 소재와 의료 건강, 유틸리티도 1% 이상 상승하는 등 에너지를 제외한 모든 업종이 올랐습니다.
시가 총액 1조 달러 이상의 거대 기술 기업은 아마존을 제외하고 모두 강세였습니다.
엔비디아가 3.6% 올랐고 메타와 브로드컴, 알파벳도 3% 이상 올랐다. 마이크로소프트와 테슬라도 2%대 강세였습니다.
인공지능(AI) 업계의 기린아 팔란티어는 장 마감 후 예상치를 웃도는 호실적을 발표하면서 시간 외 거래에서 주가가 4% 이상 뛰고 있습니다.
팔란티어는 2분기 매출이 10억 달러, 주당 순이익(EPS)은 0.16달러를 기록하며 LSEG가 집계한 시장 예상치인 매출 9억 4천만 달러, EPS 0.14달러를 상회했습니다.
'오마하의 현인' 워런 버핏이 이끄는 버크셔 해서웨이는 2분기 실적이 기대에 못 미친 데다 자사주 매입이 올해 들어 중단됐다는 소식에 주가가 2.9% 하락했습니다.
지난달 31일 증시에 상장되며 하루에 250% 폭등했던 디자인 소프트웨어 업체 피그마는 주가가 27.38% 폭락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가 러시아산 석유를 엄청난 양으로 사들이는 데 그치지 않고, 그중 상당 부분을 국제시장에 되팔아 막대한 이익을 챙기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트럼프는 오는 7일부터 인도산 수입품에 25%의 관세를 물릴 예정인데 이번 발표는 인도에 대한 관세를 이보다 더 대폭 높이겠다는 의미입이다.
시카고 옵션 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2.86포인트(14.03%) 떨어진 17.52를 가리켰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