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성직자인 모친을 따라 미국에 거주하며 현지 대학에 다니는 20세 한국인 대학생이 비자 문제로 법원에 출석했다가 미국 이민 당국에 붙잡혀 억류 중입니다.
미국 성공회와 이민자 권리보호단체들은 이민 당국이 적법 절차를 무시하고 합법적 체류 신분이 있는 사제 자녀를 부당하게 억류했다며 즉각적인 석방을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성공회 뉴욕 교구, 뉴욕이민연대 등은 뉴욕 맨해튼 이민세관단속국 연방 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ICE 요원에 체포된 성공회 사제인 김기리 신부의 딸 고연수 씨의 즉각적인 석방을 요구했습니다.
고 씨는 모친인 김기리 신부를 따라 지난 2021년 3월 종교 비자의 동반 가족 비자로 미국에 입국해 합법적으로 체류해왔고, 고 씨는 뉴욕주에서 고교를 졸업하고 미국 퍼듀대에 재학 중이었습니다.
고 씨는 2023년 신분 연장을 승인받아 연말까지 합법 체류 신분을 유지하고 있었는데도 이민 당국이 잘못된 법률 해석을 적용해 체류 신분이 종료됐다고 판단했다는 게 고 씨 측의 주장입니다.
고 씨는 지난 7월 31일 뉴욕 이민 법원에 출석해 심리 기일을 10월로 연기받고 법정을 나서던 중 ICE에 체포됐고, 맨해튼 청사에 임시로 구금된 고 씨는 다른 이민자 구금시설로 이송될 예정입니다.
성공회 뉴욕 교구의 매슈 헤이드 주교는 "지금의 이민자 정책은 혼돈의 정책이자 잔혹함을 요체로 가지고 있다"며 "고 씨의 석방과 즉각적인 제도 개선을 요구한다"고 말했습니다.
성공회 뉴욕 교구의 마리사 시폰테스 신부는 "망명 신청 심리나 영주권 심리 등을 위해 법원을 찾는 사람들이 한 번 들어가면 나오지 못하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 "모든 사람이 적법절차 원칙을 적용받을 자격이 있음에도 그런 권리가 박탈당한 채 구금돼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고 씨의 모친인 김기리 신부는 이민자 보호 교회 네트워크에서 한인 이민자 권익 보호 활동을 해왔는데, 자기 가족이 이민 당국의 단속 표적이 될 줄은 몰랐다고 소회를 털어놨습니다.
김 신부는 "갈아입을 옷과 안경을 들고 면회를 신청했는데 결국 하지 못했다"라며 "다른 구금 시설로 이송한다고 들었는데 언제 어디로 갈지도 듣지 못했다"고 말했습니다.
ICE는 최근 단속자 수를 늘리기 위해 이민 법원 심리에 출석했다가 법정을 나서는 이민자들을 영장 없이 붙잡아 추방하는 단속 방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미국 연방 정부는 이민 법원 청사가 공공 장소이기 때문에 ICE 요원이 서류 미비 이민자를 체포하는 데 영장이 요구되지는 않는다는 유권 해석을 내리고 있습니다.
미국 시민 자유 연맹(ACLU)은 법정에 출석한 이민자를 붙잡아 추가 재판 진행을 막는 ICE의 이민자 단속 방식이 적법 절차를 위배했다며 뉴욕 남부 연방 법원에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ACLU의 마이클 탄 이민자권리 프로젝트 부국장은 "법정 출석 의무를 준수하는 사람들을 기습해 체포하는 트럼프 행정부의 전술은 공포와 무법의 통치를 만들어내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강도 높은 이민자 추방 정책이 지속되면서 미국 내 한인사회에서도 억울한 피해자가 지속해서 나오고 있습니다.
지난달엔 텍사스에 거주하는 한인 영주권자 김태흥(40) 씨가 동생 결혼식에 참석하기 위해 한국을 방문한 뒤 미국으로 돌아왔다가 공항에서 붙잡혀 억류되기도 했습니다.
김 씨는 텍사스 A&M 대학에서 박사 과정을 밟으며 라임병 백신 연구를 하던 중이었습니다.
이명석 뉴욕한인회장은 "오늘 또 한 명의 한인 학생이 체포돼 구금됐는데 현 미국 정부가 인권 유린을 하고 있는 것이나 다름 없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고 씨의 즉각적인 석방을 요청하는 공문을 당국에 보내고 다른 한인 단체와 연대해 여러 대응 방안을 강구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미국 성공회와 이민자 권리보호단체들은 이민 당국이 적법 절차를 무시하고 합법적 체류 신분이 있는 사제 자녀를 부당하게 억류했다며 즉각적인 석방을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성공회 뉴욕 교구, 뉴욕이민연대 등은 뉴욕 맨해튼 이민세관단속국 연방 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ICE 요원에 체포된 성공회 사제인 김기리 신부의 딸 고연수 씨의 즉각적인 석방을 요구했습니다.
고 씨는 모친인 김기리 신부를 따라 지난 2021년 3월 종교 비자의 동반 가족 비자로 미국에 입국해 합법적으로 체류해왔고, 고 씨는 뉴욕주에서 고교를 졸업하고 미국 퍼듀대에 재학 중이었습니다.
고 씨는 2023년 신분 연장을 승인받아 연말까지 합법 체류 신분을 유지하고 있었는데도 이민 당국이 잘못된 법률 해석을 적용해 체류 신분이 종료됐다고 판단했다는 게 고 씨 측의 주장입니다.
고 씨는 지난 7월 31일 뉴욕 이민 법원에 출석해 심리 기일을 10월로 연기받고 법정을 나서던 중 ICE에 체포됐고, 맨해튼 청사에 임시로 구금된 고 씨는 다른 이민자 구금시설로 이송될 예정입니다.
성공회 뉴욕 교구의 매슈 헤이드 주교는 "지금의 이민자 정책은 혼돈의 정책이자 잔혹함을 요체로 가지고 있다"며 "고 씨의 석방과 즉각적인 제도 개선을 요구한다"고 말했습니다.
성공회 뉴욕 교구의 마리사 시폰테스 신부는 "망명 신청 심리나 영주권 심리 등을 위해 법원을 찾는 사람들이 한 번 들어가면 나오지 못하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 "모든 사람이 적법절차 원칙을 적용받을 자격이 있음에도 그런 권리가 박탈당한 채 구금돼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고 씨의 모친인 김기리 신부는 이민자 보호 교회 네트워크에서 한인 이민자 권익 보호 활동을 해왔는데, 자기 가족이 이민 당국의 단속 표적이 될 줄은 몰랐다고 소회를 털어놨습니다.
김 신부는 "갈아입을 옷과 안경을 들고 면회를 신청했는데 결국 하지 못했다"라며 "다른 구금 시설로 이송한다고 들었는데 언제 어디로 갈지도 듣지 못했다"고 말했습니다.
ICE는 최근 단속자 수를 늘리기 위해 이민 법원 심리에 출석했다가 법정을 나서는 이민자들을 영장 없이 붙잡아 추방하는 단속 방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미국 연방 정부는 이민 법원 청사가 공공 장소이기 때문에 ICE 요원이 서류 미비 이민자를 체포하는 데 영장이 요구되지는 않는다는 유권 해석을 내리고 있습니다.
미국 시민 자유 연맹(ACLU)은 법정에 출석한 이민자를 붙잡아 추가 재판 진행을 막는 ICE의 이민자 단속 방식이 적법 절차를 위배했다며 뉴욕 남부 연방 법원에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ACLU의 마이클 탄 이민자권리 프로젝트 부국장은 "법정 출석 의무를 준수하는 사람들을 기습해 체포하는 트럼프 행정부의 전술은 공포와 무법의 통치를 만들어내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강도 높은 이민자 추방 정책이 지속되면서 미국 내 한인사회에서도 억울한 피해자가 지속해서 나오고 있습니다.
지난달엔 텍사스에 거주하는 한인 영주권자 김태흥(40) 씨가 동생 결혼식에 참석하기 위해 한국을 방문한 뒤 미국으로 돌아왔다가 공항에서 붙잡혀 억류되기도 했습니다.
김 씨는 텍사스 A&M 대학에서 박사 과정을 밟으며 라임병 백신 연구를 하던 중이었습니다.
이명석 뉴욕한인회장은 "오늘 또 한 명의 한인 학생이 체포돼 구금됐는데 현 미국 정부가 인권 유린을 하고 있는 것이나 다름 없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고 씨의 즉각적인 석방을 요청하는 공문을 당국에 보내고 다른 한인 단체와 연대해 여러 대응 방안을 강구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