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월 취임 이후 미국의 평균 실효 관세율을 2차 세계대전 이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렸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29일 보도했습니다.
미국 예일대 예산연구소에 따르면 지난 주말 유럽연합(EU)과 체결한 협정까지 반영한 미국의 평균 관세율은 17.3%로 파악됐습니다.
이는 1930년 '스무트-홀리 관세법' 직후 몇 년간 관세가 가파르게 상승하던 시기에 기록했던 20%에 근접한 수준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금까지 미국 전체 수입품의 약 45%에 고율 관세를 부과하는 협정을 무역 상대국들과 체결했습니다.
EU, 일본, 영국, 인도네시아, 필리핀, 베트남 등과 무역 협정을 맺은 상태입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을 포함한 57개 경제주체(56개국+유럽연합)에 차등화된 상호관세를 지난 4월 9일 발효했다가 몇 시간 만에 7월 8일로 관세 부과를 유예했고 다시 8월 1일로 연장한 뒤 각국과 협상을 진행 중이거나 마쳤습니다.
에스와르 프라사드 코넬대 교수는 "트럼프는 미국 보호무역주의의 새로운 시대를 설계했으며, 이는 결국 전 세계 무역 시스템 전반에 반향을 일으킬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앨런 울프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 선임연구원은 이번 관세 조치로 인해 "무역의 흐름과 공급망이 일부 재편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YTN 권영희 (kwony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미국 예일대 예산연구소에 따르면 지난 주말 유럽연합(EU)과 체결한 협정까지 반영한 미국의 평균 관세율은 17.3%로 파악됐습니다.
이는 1930년 '스무트-홀리 관세법' 직후 몇 년간 관세가 가파르게 상승하던 시기에 기록했던 20%에 근접한 수준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금까지 미국 전체 수입품의 약 45%에 고율 관세를 부과하는 협정을 무역 상대국들과 체결했습니다.
EU, 일본, 영국, 인도네시아, 필리핀, 베트남 등과 무역 협정을 맺은 상태입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을 포함한 57개 경제주체(56개국+유럽연합)에 차등화된 상호관세를 지난 4월 9일 발효했다가 몇 시간 만에 7월 8일로 관세 부과를 유예했고 다시 8월 1일로 연장한 뒤 각국과 협상을 진행 중이거나 마쳤습니다.
에스와르 프라사드 코넬대 교수는 "트럼프는 미국 보호무역주의의 새로운 시대를 설계했으며, 이는 결국 전 세계 무역 시스템 전반에 반향을 일으킬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앨런 울프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 선임연구원은 이번 관세 조치로 인해 "무역의 흐름과 공급망이 일부 재편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YTN 권영희 (kwony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