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트럼프 미 대통령이 우리나라에 대해 25%의 상호관세를 명시한 서한을 공개한 데 가운데 우리 정부는 8월 1일까지 관세 부과가 연장된 것이라며 협상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현지시간 7일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에 대한 관세 서한을 공개한 직후 보도자료를 내고 이같이 밝혔습니다.
산업부는 새 정부 출범 이후 짧은 시간 동안 국익 최우선 원칙으로 치열하게 협상에 임했지만, 현실적으로 모든 이슈에 대해 합의 도출까지 시간이 부족했던 것이 사실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이번 트럼프 대통령의 서한으로 8월 1일까지 사실상 상호관세 부과 유예가 연장된 것으로 보고, 관세로 인한 불확실성을 조속히 해소하고 상호 호혜적인 협상 결과 도출을 위해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산업부는 또 미국의 주된 관심사인 무역적자 해소를 위한 국내 제도 개선, 규제 합리화 등과 함께 양국 간 제조업 르네상스 파트너십을 통해 핵심 산업 도약의 기회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산업부는 1차관 주재로 긴급대책회의를 열고 관세로 인한 국내 업종별 영향을 점검하기로 했습니다.
YTN 홍상희 (sa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산업통상자원부는 현지시간 7일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에 대한 관세 서한을 공개한 직후 보도자료를 내고 이같이 밝혔습니다.
산업부는 새 정부 출범 이후 짧은 시간 동안 국익 최우선 원칙으로 치열하게 협상에 임했지만, 현실적으로 모든 이슈에 대해 합의 도출까지 시간이 부족했던 것이 사실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이번 트럼프 대통령의 서한으로 8월 1일까지 사실상 상호관세 부과 유예가 연장된 것으로 보고, 관세로 인한 불확실성을 조속히 해소하고 상호 호혜적인 협상 결과 도출을 위해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산업부는 또 미국의 주된 관심사인 무역적자 해소를 위한 국내 제도 개선, 규제 합리화 등과 함께 양국 간 제조업 르네상스 파트너십을 통해 핵심 산업 도약의 기회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산업부는 1차관 주재로 긴급대책회의를 열고 관세로 인한 국내 업종별 영향을 점검하기로 했습니다.
YTN 홍상희 (sa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