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우리나라에 서한을 보내 다음 달 1일부터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한국이 무역 장벽을 없애면 관세 조정을 고려할 수 있다고 말해 협상의 여지는 남겼습니다.
워싱턴 연결합니다. 권준기 특파원!
결국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을 가장 먼저 겨냥한 거죠?
[기자]
네, 트럼프 대통령이 서한을 가장 먼저 보낸 나라는 한국과 일본이었습니다.
서한 발송을 예고했던 낮 12시 쯤, 우리 시간으로 새벽 1시 쯤 한국과 일본에 보내는 서한을 자신의 SNS에 공개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재명 대통령을 수신인으로 하는 서한에서 한국에 8월 1일부터 25%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한미 관계는 유감스럽게도 상호주의와 거리가 멀었다며 관세 부과 이유를 설명했습니다.
한국에 대한 관세율 25%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4월 2일에 발표한 관세율과 동일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는 자동차와 철강에 부과되는 품목별 관세와는 별도이고,
만약 보복 관세로 대응할 경우 관세율을 그만큼 더 높이겠다고 경고했습니다.
[앵커]
우리 정부는 상호관세 유예 연장을 요청해 왔는데, 트럼프 대통령도 협상의 여지는 남긴 거죠?
[기자]
네, 일단 관세 부과 시점이 8월 1일이라는 점에서 3주간 협상할 시간은 확보한 것으로 보입니다.
백악관도 조금 전 브리핑에서 관세 부과를 7월 9일에서 8월 1일로 미루는 행정명령에 서명할 거라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서한이 상당한 무역적자에도 한국과 계속해서 협력하기로 동의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거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지금까지 미국에 닫혀있던 무역 시장을 개방하고 관세와 비관세 장벽을 없앤다면 어쩌면 이 서한의 조정을 고려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협상에 따라 위로든 아래로든 조정될 수 있고, 결코 미국에 실망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25% 관세율을 일방 통보했지만 앞으로 협상을 통해 관세율을 조정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풀이됩니다.
[앵커]
일본에도 우리나라와 똑같은 관세율을 통보한 거죠?
[기자]
네, 트럼프 대통령이 SNS에 나란히 올린 서한을 보면 수신인만 이시바 총리로 바뀌고 내용은 한국과 완전히 똑같았습니다.
25% 관세율을 8월 1일부터 부과하겠다는 겁니다.
일본은 지난 4월 24% 관세율이 적용돼 이번에 1% 포인트가 올랐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후에도 남아프리카공화국에 30%, 말레이시아에 25% 등 상호관세 서한을 잇따라 공개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우리나라와 일본 등에 상호관세를 통보한 뒤 미국 증시는 장중 낙폭을 키웠습니다.
현재 뉴욕증시는 3대 지수 모두 1% 넘는 큰 폭의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워싱턴에서 전해드렸습니다.
YTN 권준기 (jkw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우리나라에 서한을 보내 다음 달 1일부터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한국이 무역 장벽을 없애면 관세 조정을 고려할 수 있다고 말해 협상의 여지는 남겼습니다.
워싱턴 연결합니다. 권준기 특파원!
결국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을 가장 먼저 겨냥한 거죠?
[기자]
네, 트럼프 대통령이 서한을 가장 먼저 보낸 나라는 한국과 일본이었습니다.
서한 발송을 예고했던 낮 12시 쯤, 우리 시간으로 새벽 1시 쯤 한국과 일본에 보내는 서한을 자신의 SNS에 공개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재명 대통령을 수신인으로 하는 서한에서 한국에 8월 1일부터 25%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한미 관계는 유감스럽게도 상호주의와 거리가 멀었다며 관세 부과 이유를 설명했습니다.
한국에 대한 관세율 25%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4월 2일에 발표한 관세율과 동일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는 자동차와 철강에 부과되는 품목별 관세와는 별도이고,
만약 보복 관세로 대응할 경우 관세율을 그만큼 더 높이겠다고 경고했습니다.
[앵커]
우리 정부는 상호관세 유예 연장을 요청해 왔는데, 트럼프 대통령도 협상의 여지는 남긴 거죠?
[기자]
네, 일단 관세 부과 시점이 8월 1일이라는 점에서 3주간 협상할 시간은 확보한 것으로 보입니다.
백악관도 조금 전 브리핑에서 관세 부과를 7월 9일에서 8월 1일로 미루는 행정명령에 서명할 거라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서한이 상당한 무역적자에도 한국과 계속해서 협력하기로 동의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거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지금까지 미국에 닫혀있던 무역 시장을 개방하고 관세와 비관세 장벽을 없앤다면 어쩌면 이 서한의 조정을 고려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협상에 따라 위로든 아래로든 조정될 수 있고, 결코 미국에 실망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25% 관세율을 일방 통보했지만 앞으로 협상을 통해 관세율을 조정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풀이됩니다.
[앵커]
일본에도 우리나라와 똑같은 관세율을 통보한 거죠?
[기자]
네, 트럼프 대통령이 SNS에 나란히 올린 서한을 보면 수신인만 이시바 총리로 바뀌고 내용은 한국과 완전히 똑같았습니다.
25% 관세율을 8월 1일부터 부과하겠다는 겁니다.
일본은 지난 4월 24% 관세율이 적용돼 이번에 1% 포인트가 올랐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후에도 남아프리카공화국에 30%, 말레이시아에 25% 등 상호관세 서한을 잇따라 공개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우리나라와 일본 등에 상호관세를 통보한 뒤 미국 증시는 장중 낙폭을 키웠습니다.
현재 뉴욕증시는 3대 지수 모두 1% 넘는 큰 폭의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워싱턴에서 전해드렸습니다.
YTN 권준기 (jkw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