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인 신분 도용해 원격취업...미국, '북한 노트북 농장' 29곳 적발

미국인 신분 도용해 원격취업...미국, '북한 노트북 농장' 29곳 적발

2025.07.01. 오전 08:31.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미국 정부가 북한의 외화벌이 수단으로 이용되는 북한 정보기술(IT) 노동자들의 원격 취업 행태를 수사해 미 전역의 이른바 '노트북 농장'(laptop farm) 29곳을 적발하고 관련자들을 기소했습니다.

미 법무부는 관련 기관들의 공조로 미 16개 주에서 29곳의 노트북 농장을 수색해 불법 자금 세탁에 이용된 29개의 금융 계좌와 21개의 사기성 웹사이트를 동결시키고 노트북 약 200대를 압수했습니다.

노트북 농장은 훔치거나 위조한 미국인 신분증을 이용해 북한 노동자들을 미국 IT 기업에 취업시킨 뒤 이들이 원격으로 미국 내에 있는 노트북 컴퓨터에 접속해 해당 업무를 할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미 법무부는 이번 기소 사건에 관련된 북한 노동자들이 2021년쯤부터 지난해 10월까지 미국과 중국, 아랍에미리트(UAE), 타이완에 있는 조력자들의 도움을 받아 미국인 신원 80여 개를 이용해 100개 이상의 미국 기업에 취업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들 기업 중에는 '포천 500대 기업'에 포함되는 대기업들도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피해 기업들의 손해액 합계는 법률 비용과 컴퓨터 네트워크 복구 비용 등을 포함해 최소 300만 달러(약 40억6천만 원)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이번에 범행 조력 혐의로 기소된 미 시민권자 젠싱 대니 왕 일당은 왕 씨의 자택에서 노트북 농장을 운영하면서 이들을 취업시킨 기업들에서 급여를 받은 뒤 해외 금융망을 통해 북한 노동자들에게 보내는 대가로 총 69만6천 달러(약 9억4천만 원)를 받아 챙겼습니다.

미국 기업에 원격 고용된 북한 노동자들 일부는 캘리포니아에서 인공지능(AI) 기반 기술을 개발하는 방산 관련 업체에서 국제무기거래규정(ITAR)이 적용되는 민감한 정보에 접근하기도 했다고 당국은 설명했습니다.

아울러 조지아주 북부 검찰청은 원격 취업을 통해 회사가 소유한 가상화폐를 탈취한 혐의 등으로 북한 국적자 4명을 기소하고 이들에 대한 수배령을 내렸습니다.

기소장에 따르면 이들은 북한이 발급한 여행 서류를 소지하고 아랍에미리트로 건너가 함께 활동하며 2020∼2021년 미 애틀랜타와 조지아 등에 기반을 둔 블록체인 연구·개발 업체에 신분을 위장하고 원격으로 취업했습니다.

이후 점차 고용주의 신뢰를 얻으면서 가상화폐 자산에 접근할 수 있는 업무를 맡게 된 뒤 소스 코드를 변경하는 수법으로 총 91만5천 달러(약 12억4천만 원)어치의 가상화폐를 빼돌렸습니다.

미 연방수사국(FBI)의 브렛 리더먼 부국장은 "북한 IT 노동자들이 북한 정권을 지원하기 위해 미국 기업을 속이고 민간인의 신원을 도용하고 있다"며 "FBI와 협력 기관들은 관련 인프라 파괴와 수익 압수, 해외 IT 노동자 기소, 미국 내 방조범 체포를 위해 계속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YTN 김잔디 (jandi@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