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지난 4월 한 달간 인도에서 미국으로 수출된 아이폰이 중국산 아이폰의 세 배를 넘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시장 조사 기관 캐널리스는 지난달 미국으로 출하된 인도산 아이폰은 300만 대에 달해 1년 전보다 76%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반해 중국에서 미국으로 수출된 아이폰은 76% 감소한 90만 대에 그쳤습니다.
올해 초만 해도 미국으로 수출된 인도산 아이폰의 비중은 중국산의 약 절반 수준이었습니다.
1월과 2월 중국산이 각각 450만 대와 350만 대가 미국으로 수출될 때 인도산은 240만 대와 170만 대가 수출됐습니다.
하지만 3월 들어 인도산 아이폰이 440만 대 수출되며, 중국산 430만 대를 넘었고 4월 들어서는 격차가 크게 벌어졌습니다.
이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2일 발표한 상호 관세 시행을 앞두고 애플이 재고 확보에 나섰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옴디아는 "애플이 미국의 중국에 대한 관세에 대응하기 위해 공격적으로 움직였음을 보여준다"며 애플은 이미 코로나19 기간 당시부터 인도 공급망에 큰 투자를 시작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달 11일 아이폰 등 전자 제품을 상호 관세에서 면제하기로 했지만, 여전히 중국산 아이폰은 30% 관세가 부과돼 인도산(10%)보다 높습니다.
옴디아는 3월과 4월 미국으로 수출된 인도산 아이폰이 급증했지만, 앞으로는 증가세가 둔화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특히 "미국 수요를 감당할 만큼 인도의 생산 능력의 빠른 성장이 쉽지 않다"며 "미국의 분기별 아이폰 수요 2천만 대에 맞출 생산 능력을 인도가 갖추려면 2026년은 돼야 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이 수치는 아이폰 완성 조립을 기준으로 삼은 것으로, 아이폰 핵심 부품 등에 대한 조립은 여전히 대부분 중국에서 이뤄지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인도의 아이폰 생산 확대가 미국과 중국 양국 모두의 제약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리서치 업체 퓨처럼 그룹은 "애플의 인도 생산량 확대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목적과 맞지 않는다"고 진단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6일 "미국에서 판매되는 아이폰은 인도나 다른 나라가 아닌 미국에서 생산돼야 한다"며 수입되는 아이폰에 대해서는 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중국도 애플 협력 업체들이 아이폰 조립에 필요한 장비의 인도 이전을 쉽게 승인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애플의 생산 다변화를 어렵게 하고 있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시장 조사 기관 캐널리스는 지난달 미국으로 출하된 인도산 아이폰은 300만 대에 달해 1년 전보다 76%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반해 중국에서 미국으로 수출된 아이폰은 76% 감소한 90만 대에 그쳤습니다.
올해 초만 해도 미국으로 수출된 인도산 아이폰의 비중은 중국산의 약 절반 수준이었습니다.
1월과 2월 중국산이 각각 450만 대와 350만 대가 미국으로 수출될 때 인도산은 240만 대와 170만 대가 수출됐습니다.
하지만 3월 들어 인도산 아이폰이 440만 대 수출되며, 중국산 430만 대를 넘었고 4월 들어서는 격차가 크게 벌어졌습니다.
이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2일 발표한 상호 관세 시행을 앞두고 애플이 재고 확보에 나섰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옴디아는 "애플이 미국의 중국에 대한 관세에 대응하기 위해 공격적으로 움직였음을 보여준다"며 애플은 이미 코로나19 기간 당시부터 인도 공급망에 큰 투자를 시작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달 11일 아이폰 등 전자 제품을 상호 관세에서 면제하기로 했지만, 여전히 중국산 아이폰은 30% 관세가 부과돼 인도산(10%)보다 높습니다.
옴디아는 3월과 4월 미국으로 수출된 인도산 아이폰이 급증했지만, 앞으로는 증가세가 둔화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특히 "미국 수요를 감당할 만큼 인도의 생산 능력의 빠른 성장이 쉽지 않다"며 "미국의 분기별 아이폰 수요 2천만 대에 맞출 생산 능력을 인도가 갖추려면 2026년은 돼야 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이 수치는 아이폰 완성 조립을 기준으로 삼은 것으로, 아이폰 핵심 부품 등에 대한 조립은 여전히 대부분 중국에서 이뤄지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인도의 아이폰 생산 확대가 미국과 중국 양국 모두의 제약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리서치 업체 퓨처럼 그룹은 "애플의 인도 생산량 확대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목적과 맞지 않는다"고 진단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6일 "미국에서 판매되는 아이폰은 인도나 다른 나라가 아닌 미국에서 생산돼야 한다"며 수입되는 아이폰에 대해서는 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중국도 애플 협력 업체들이 아이폰 조립에 필요한 장비의 인도 이전을 쉽게 승인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애플의 생산 다변화를 어렵게 하고 있습니다.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