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전쟁 여파로 미국 서부 핵심 물류 거점인 로스앤젤레스(LA)항의 지난주 물동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의 3분의 2 수준으로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미국 워싱턴포스트(WP)는 현지 시간 11일 "미국 최대 컨테이너항인 LA항에 지난주 배에 실려 도착한 컨테이너의 수가 전년도 같은 기간보다 대략 3분의 1 적었다"고 보도했습니다.
그러면서 "컨테이너선 정박지의 절반 이상이 비어있고, 배에서 지상으로 컨테이너를 옮기는 크레인들도 수십 대가 그저 하늘을 가리킨 채 서 있었다"고 전했습니다.
WP에 따르면 현재 LA항에서 나타나고 있는 물동량 감소의 폭은 2008년 미국발 경제위기로 촉발됐던 '대침체'(Great Recession) 당시보다 큰 실정입니다.
WP는 "이달 LA에 들를 예정이었던 대형선박의 5분의 1 이상이 이미 이를 취소했고, 취소 선박 수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면서 "4월 5.5% 증가했던 LA의 컨테이너 수입량은 이번 달 25% 급감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산 수입품에 145%의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 역시 세자릿수 관세로 보복하면서 태평양을 통한 무역 흐름이 급격히 멈춰서기 시작한 데 따른 것입니다.
지역 경제에 미치는 타격도 가시화하기 시작했는데 특히 캘리포니아 남부 5개 카운티 주민 9명 중 1명 꼴로 화물 운송이나 중개, 창고 관리 등 물류산업에 종사하기 때문에 이들의 생계에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일거리가 줄면서 가장 먼저 타격을 받은 이들은 비정규직 항만 노동자들로, 지난달 중순까지만 해도 LA항에서 하역작업에 종사하는 노동자는 10여 명씩 50개 조에 달했지만, 이달 9일에는 33개 조로 줄었다고 WP는 전했습니다.
LA 외에도 시애틀, 휴스턴, 서배너, 조지아, 볼티모어, 뉴욕 등 주요 항구도시들은 대부분 비슷한 문제를 겪고 있거나 겪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중국은 미국행 선적이 21%나 줄어든 상황에서도 올해 4월 전체 수출액이 전년 동월 대비 8.1%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WP는 지적했습니다.
YTN 김잔디 (jandi@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미국 워싱턴포스트(WP)는 현지 시간 11일 "미국 최대 컨테이너항인 LA항에 지난주 배에 실려 도착한 컨테이너의 수가 전년도 같은 기간보다 대략 3분의 1 적었다"고 보도했습니다.
그러면서 "컨테이너선 정박지의 절반 이상이 비어있고, 배에서 지상으로 컨테이너를 옮기는 크레인들도 수십 대가 그저 하늘을 가리킨 채 서 있었다"고 전했습니다.
WP에 따르면 현재 LA항에서 나타나고 있는 물동량 감소의 폭은 2008년 미국발 경제위기로 촉발됐던 '대침체'(Great Recession) 당시보다 큰 실정입니다.
WP는 "이달 LA에 들를 예정이었던 대형선박의 5분의 1 이상이 이미 이를 취소했고, 취소 선박 수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면서 "4월 5.5% 증가했던 LA의 컨테이너 수입량은 이번 달 25% 급감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산 수입품에 145%의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 역시 세자릿수 관세로 보복하면서 태평양을 통한 무역 흐름이 급격히 멈춰서기 시작한 데 따른 것입니다.
지역 경제에 미치는 타격도 가시화하기 시작했는데 특히 캘리포니아 남부 5개 카운티 주민 9명 중 1명 꼴로 화물 운송이나 중개, 창고 관리 등 물류산업에 종사하기 때문에 이들의 생계에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일거리가 줄면서 가장 먼저 타격을 받은 이들은 비정규직 항만 노동자들로, 지난달 중순까지만 해도 LA항에서 하역작업에 종사하는 노동자는 10여 명씩 50개 조에 달했지만, 이달 9일에는 33개 조로 줄었다고 WP는 전했습니다.
LA 외에도 시애틀, 휴스턴, 서배너, 조지아, 볼티모어, 뉴욕 등 주요 항구도시들은 대부분 비슷한 문제를 겪고 있거나 겪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중국은 미국행 선적이 21%나 줄어든 상황에서도 올해 4월 전체 수출액이 전년 동월 대비 8.1%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WP는 지적했습니다.
YTN 김잔디 (jandi@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