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관세 협상 국가들에 머스크의 스타링크 도입 압박"

"미국, 관세 협상 국가들에 머스크의 스타링크 도입 압박"

2025.05.08. 오전 06:44.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트럼프 행정부가 각국과 관세 협상을 진행하는 과정에 미국의 위성 인터넷 기업 진출을 위한 규제 철폐를 압박했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보도했습니다.

WP는 정부 안에서 오간 메시지와 메모 등을 입수해 이같이 보도하면서 최근 아프리카 국가들이 잇달아 일론 머스크의 위성 인터넷 '스타링크'를 허가한 배경에는 이런 압박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습니다.

WP 보도에 따르면, 아프리카 소국 레소토의 경우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50%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한 지 2주도 채 지나지 않아 통신 규제 당국이 스타링크 직원들과 회의를 열었고, 자국에서의 위성 인터넷 서비스를 허가했습니다.

이런 결정은 WP가 입수한 국무부 내부 메모에 언급됐으며 "레소토 정부가 미국과의 무역 협상을 진행하는 과정에 스타링크를 허가한 것은 미국 기업을 환영하는 의지와 호의를 보여주는 것"으로 평가됐습니다.

스페이스X는 지난 3월 인도에서도 서비스 계약을 체결했으며 최근 소말리아와 콩고민주공화국, 방글라데시, 파키스탄, 베트남과도 부분적 합의에 이르렀습니다.

WP는 2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인도 정부 관료들이 관세 협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인식을 공유하면서 스타링크 승인 절차를 신속히 처리했다고 전했습니다.

WP는 트럼프 행정부가 관세율을 낮추는 조건으로 스타링크에 대한 특혜를 명시적으로 요구했다는 증거는 없지만, 백악관이 각국 정부에 무역 협상을 요구하는 시점에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이 각국 대사관 등의 관료들에게 현지 위성 인터넷 규제 완화를 압박하도록 지시했다고 전했습니다.

이에 대한 논평을 요구받은 국무부는 "스타링크는 전 세계 곳곳 오지에서 인터넷 연결을 확보하는 데 혁신적인 역할을 한 미국산 제품"이라며 "애국적인 미국인이라면 누구나 글로벌 무대에서 미국 기업의 성공을, 특히 중국 경쟁사를 제치는 것을 보고 싶어 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쿠시 데사이 백악관 부대변인도 성명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 협상에서 유일한 고려 사항은 미국인들에게 무엇이 가장 이익이 되느냐 하는 것이며, 이는 미국 기업들이 국내와 해외에서 성공하는 것을 포함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어떤 이해 충돌도 용납하지 않을 것이며, 모든 행정부 관료는 소속 기관이 정한 윤리 지침을 준수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YTN 유투권 (r2kw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