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깜짝 은퇴' 워런 버핏 "무역이 무기되면 안 돼"

'깜짝 은퇴' 워런 버핏 "무역이 무기되면 안 돼"

2025.05.04. 오전 06:54.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미국의 전설적인 투자자인 워런 버핏 버크셔 해서웨이 회장이 올해 말 은퇴를 선언하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을 공개 비판했습니다.

버핏 회장은 현지 시간 3일 미국 네브래스카주 오마하에서 열린 버크셔 연례 주주총회에서 "무역이 무기가 되어서는 안 된다"고 말했습니다.

버핏 회장은 "세계 다른 나라들이 더 번영할수록 미국이 손해 보는 게 아니라 함께 더 번영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또 "우리는 전 세계와 무역을 하려고 해야 하며 우리가 가장 잘하는 것을 하고, 다른 나라들도 자기가 가장 잘하는 것을 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는 미국을 비롯한 각국이 비교우위가 있는 제품의 생산과 수출에 집중하고, 다른 나라가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있는 제품은 수입해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기업들이 미국에서 파는 제품을 전부 미국에서 만들도록 강요하기 위해 관세를 부과한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에 반하는 주장입니다.

버핏 회장은 60년간 이끌어온 버크셔에서 올해 말 은퇴한다고 깜짝 발표하며 오는 4일로 예정된 이사회에서 그레그 아벨 부회장을 CEO로 추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동안 버핏 회장은 은퇴할 계획이 없다고 말해와 이번 발표는 깜짝 선언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버핏 회장은 은퇴 후에도 버크셔 주식을 하나도 팔 계획이 없다며 이는 아벨 부회장이 버크셔를 더 잘 이끌 것이라는 믿음에 기반한 경제적 결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매년 5월 열리는 버크셔의 주총에는 '오마하의 현인'으로 불리는 버핏의 투자 철학과 생각을 들으려는 투자자들이 매년 몰립니다.

특히 올해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일으킨 경제 불확실성 우려 속에 주총 전날 행사에 역대 최다인 1만9천700명이 참석했습니다.

버크셔는 올해 1분기 96억 달러, 우리 돈으로 약 13조4천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지난해 1분기의 112억달러 대비 14% 감소한 수치로 주요 투자 부문인 보험업의 실적 악화와 외화환산손실이 원인이었습니다.

버크셔는 실적 보고서에서 국제 무역 정책과 관세의 변화가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면서 현재로서 이런 변화가 재무제표에 미칠 영향을 신뢰할 정도로 예측하지 못한다고 밝혔습니다.




YTN 권준기 (jkw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