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가 이끄는 집권 진보 노동당과 보수 야당인 자유당·국민당 연합이 맞붙는 호주 총선이 시작됐습니다.
AP 통신 등 외신들은 현지 시간 3일 오전 투표가 시작됐다며 이번 총선에서는 하원 150석 모두와 상원 76석 가운데 40석을 두고 집권 노동당과 보수 야당인 자유당·국민당 연합이 다투게 된다고 전했습니다.
하원에서 과반을 차지하는 당이 집권해, 내각을 구성하게 됩니다.
지난달 30일 공개된 여론조사기관 유거브의 조사 결과 노동당은 하원에서 84석을 얻어 단독 과반을 확보하고 자유당·국민당 연합은 현재 53석에서 47석으로 의석이 줄어들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지율 역시 노동당이 52.9%로 자유당·국민당 연합의 47.1%를 앞섰습니다.
앨버니지 총리와 노동당 정부는 2022년 5월 열린 지난 총선에서 집권한 이후 극심한 물가 상승과 집값 급등으로 지지율 하락을 겪어 1월까지만 해도 야당 연합이 지지율에서 우위를 보였습니다.
하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월부터 미국과 가장 가까운 동맹국 중 하나이자 대미 무역적자 국가인 호주를 상대로 '관세 공격'에 나선 뒤 '반(反)트럼프 바람'이 일면서 여론 흐름이 바뀌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호주 주요 수출품 중 하나인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25%의 고율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10%의 상호관세도 예고했습니다.
그 결과 현 노동당 정부의 경제 실정에 대한 불만이 희석되면서 총선 초점이 트럼프 행정부가 초래하는 대외 불안으로 옮겨갔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여기에 더튼 대표와 자유당·국민당 연합이 미 정부효율부(DOGE) 같은 트럼프식 정책과 이미지를 따라 해 온 것이 역풍을 초래했다고 외신들은 분석했습니다.
여론조사기관 레드브리지 악센트의 최근 여론조사에서 응답자 48%는 트럼프 대통령으로 인한 국제 정세의 불확실성을 최대 우려 요인 중 하나로 꼽았습니다.
이 밖에 자유당·국민당 연합이 정부 공무원의 재택근무를 금지하겠다는 공약을 내세웠다가 통근비 부담 증가 논란 속에 철회한 것도 야당 지지율 부진의 한 원인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하지만 노동당이 승리하더라도 과반에 미치지 못해 무소속 의원 등을 끌어들여 연립내각을 구성할 가능성도 여전히 적지 않다는 관측도 나옵니다.
YTN 김잔디 (jandi@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AP 통신 등 외신들은 현지 시간 3일 오전 투표가 시작됐다며 이번 총선에서는 하원 150석 모두와 상원 76석 가운데 40석을 두고 집권 노동당과 보수 야당인 자유당·국민당 연합이 다투게 된다고 전했습니다.
하원에서 과반을 차지하는 당이 집권해, 내각을 구성하게 됩니다.
지난달 30일 공개된 여론조사기관 유거브의 조사 결과 노동당은 하원에서 84석을 얻어 단독 과반을 확보하고 자유당·국민당 연합은 현재 53석에서 47석으로 의석이 줄어들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지율 역시 노동당이 52.9%로 자유당·국민당 연합의 47.1%를 앞섰습니다.
앨버니지 총리와 노동당 정부는 2022년 5월 열린 지난 총선에서 집권한 이후 극심한 물가 상승과 집값 급등으로 지지율 하락을 겪어 1월까지만 해도 야당 연합이 지지율에서 우위를 보였습니다.
하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월부터 미국과 가장 가까운 동맹국 중 하나이자 대미 무역적자 국가인 호주를 상대로 '관세 공격'에 나선 뒤 '반(反)트럼프 바람'이 일면서 여론 흐름이 바뀌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호주 주요 수출품 중 하나인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25%의 고율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10%의 상호관세도 예고했습니다.
그 결과 현 노동당 정부의 경제 실정에 대한 불만이 희석되면서 총선 초점이 트럼프 행정부가 초래하는 대외 불안으로 옮겨갔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여기에 더튼 대표와 자유당·국민당 연합이 미 정부효율부(DOGE) 같은 트럼프식 정책과 이미지를 따라 해 온 것이 역풍을 초래했다고 외신들은 분석했습니다.
여론조사기관 레드브리지 악센트의 최근 여론조사에서 응답자 48%는 트럼프 대통령으로 인한 국제 정세의 불확실성을 최대 우려 요인 중 하나로 꼽았습니다.
이 밖에 자유당·국민당 연합이 정부 공무원의 재택근무를 금지하겠다는 공약을 내세웠다가 통근비 부담 증가 논란 속에 철회한 것도 야당 지지율 부진의 한 원인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하지만 노동당이 승리하더라도 과반에 미치지 못해 무소속 의원 등을 끌어들여 연립내각을 구성할 가능성도 여전히 적지 않다는 관측도 나옵니다.
YTN 김잔디 (jandi@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