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비오 미 국무 "북한이 핵 무장한 세상에 산다"
트럼프도 여러 차례 북한을 ’핵 보유국’으로 표현
그로시 IAEA 사무총장 "북한 많은 핵무기 보유"
트럼프도 여러 차례 북한을 ’핵 보유국’으로 표현
그로시 IAEA 사무총장 "북한 많은 핵무기 보유"
AD
[앵커]
국제사회에서 북한의 핵 능력을 인정하는 발언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정상들 간의 최고위급 외교가 중요하다는 분석이 나오면서 혼란한 정국이 이어지고 있는 우리나라에도 큰 파장을 일으킬 것으로 보입니다.
권영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미국이 북한의 핵 보유를 인정하는 입장을 또 내놓았습니다.
이번에는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입니다.
팟캐스트 인터뷰에서 "우리는 북한이 핵 무장하고, 이란이 핵 야심을 가지고 있는 세상에 산다"고 말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재집권 이후 여러 차례 북한을 '핵 보유국'으로 표현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 저는 김정은과 좋은 관계이고, 앞으로 무슨 일이 일어날지 볼 겁니다. 확실히 김정은은 '핵 파워' (핵 보유국)입니다.]
라파엘 그로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은 북한이 많은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미국외교협회 행사에서 북한을 '많은 핵무기를 갖고 있는데도 통제 불가능한 국가'로 불렀습니다.
[라파엘 그로시 / IAEA 사무총장 : 북한의 핵 역량과 기술이 발전하고 있습니다. 더 많은 농축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새로운 농축 시설이 완공됐습니다.]
원자력 기구 수장의 이런 발언은 북한 비핵화를 회의적으로 보는 최근 국제사회의 여론에 무게를 더할 수 있습니다.
그로시 사무총장은 지난해 9월에도 북한을 사실상 핵무기 보유국으로 표현해 논란을 일으켰습니다.
[라파엘 그로시 / IAEA 사무총장(지난해 9월) : 북한이 합법적이지는 않지만 사실상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해결책으로는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직접 대화를 제안했습니다.
트럼프 1기 행정부 때 두 사람의 친서 외교를 거론하며 '탑 다운 방식의 정상 외교'가 중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우리 정부는 여전히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해 노력한다는 입장입니다.
국제사회는 북한이 30~50개 핵탄두, 70~90개 핵무기를 제조할 수 있는 핵물질을 보유한 것으로 추정합니다.
YTN 권영희입니다.
영상편집 : 한경희
YTN 권영희 (kwony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국제사회에서 북한의 핵 능력을 인정하는 발언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정상들 간의 최고위급 외교가 중요하다는 분석이 나오면서 혼란한 정국이 이어지고 있는 우리나라에도 큰 파장을 일으킬 것으로 보입니다.
권영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미국이 북한의 핵 보유를 인정하는 입장을 또 내놓았습니다.
이번에는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입니다.
팟캐스트 인터뷰에서 "우리는 북한이 핵 무장하고, 이란이 핵 야심을 가지고 있는 세상에 산다"고 말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재집권 이후 여러 차례 북한을 '핵 보유국'으로 표현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 저는 김정은과 좋은 관계이고, 앞으로 무슨 일이 일어날지 볼 겁니다. 확실히 김정은은 '핵 파워' (핵 보유국)입니다.]
라파엘 그로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은 북한이 많은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미국외교협회 행사에서 북한을 '많은 핵무기를 갖고 있는데도 통제 불가능한 국가'로 불렀습니다.
[라파엘 그로시 / IAEA 사무총장 : 북한의 핵 역량과 기술이 발전하고 있습니다. 더 많은 농축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새로운 농축 시설이 완공됐습니다.]
원자력 기구 수장의 이런 발언은 북한 비핵화를 회의적으로 보는 최근 국제사회의 여론에 무게를 더할 수 있습니다.
그로시 사무총장은 지난해 9월에도 북한을 사실상 핵무기 보유국으로 표현해 논란을 일으켰습니다.
[라파엘 그로시 / IAEA 사무총장(지난해 9월) : 북한이 합법적이지는 않지만 사실상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해결책으로는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직접 대화를 제안했습니다.
트럼프 1기 행정부 때 두 사람의 친서 외교를 거론하며 '탑 다운 방식의 정상 외교'가 중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우리 정부는 여전히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해 노력한다는 입장입니다.
국제사회는 북한이 30~50개 핵탄두, 70~90개 핵무기를 제조할 수 있는 핵물질을 보유한 것으로 추정합니다.
YTN 권영희입니다.
영상편집 : 한경희
YTN 권영희 (kwonyh@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