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러시아 방문이 준비되고 있다고 안드레이 루덴코 러시아 외무차관이 밝혔습니다.
타스와 리아노보스티 통신은 루덴코 차관이 현지 시간 27일 기자들에게 김 위원장의 러시아 방문이 준비되고 있음을 확인했다고 보도했습니다.
다만, 구체적인 방문 시기는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루덴코 차관은 자신이 2주 전 북한에 갔을 때 다른 문제들과 함께 김 위원장의 방러 문제를 논의했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러시아 외무부는 루덴코 차관이 지난 15일 북한을 찾아 최선희 외무상 등을 만났고, '최고위급 접촉' 등을 논의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21일엔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가안보회의 서기도 방북해 김 위원장에게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메시지를 전달했습니다.
루덴코 차관은 이와 함께,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의 올해 평양 방문도 준비되고 있다며 "북한 친구들과 전략적 대화를 계속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대화는 최선희 외무상이 지난해 11월 모스크바를 방문했을 때 시작됐다"며 "이 전통을 이어가야 하고 올해는 라브로프의 차례"라고 덧붙였습니다.
푸틴 대통령은 지난해 6월 방북 당시 김정은 위원장에게 모스크바를 방문해달라고 초대했습니다.
김 위원장은 2019년과 2023년 두 차례 러시아를 찾았지만 모두 극동지역에서 푸틴 대통령과 만났고, 러시아 수도인 모스크바를 방문한 적은 없습니다.
YTN 홍주예 (hongkiza@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타스와 리아노보스티 통신은 루덴코 차관이 현지 시간 27일 기자들에게 김 위원장의 러시아 방문이 준비되고 있음을 확인했다고 보도했습니다.
다만, 구체적인 방문 시기는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루덴코 차관은 자신이 2주 전 북한에 갔을 때 다른 문제들과 함께 김 위원장의 방러 문제를 논의했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러시아 외무부는 루덴코 차관이 지난 15일 북한을 찾아 최선희 외무상 등을 만났고, '최고위급 접촉' 등을 논의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21일엔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가안보회의 서기도 방북해 김 위원장에게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메시지를 전달했습니다.
루덴코 차관은 이와 함께,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의 올해 평양 방문도 준비되고 있다며 "북한 친구들과 전략적 대화를 계속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대화는 최선희 외무상이 지난해 11월 모스크바를 방문했을 때 시작됐다"며 "이 전통을 이어가야 하고 올해는 라브로프의 차례"라고 덧붙였습니다.
푸틴 대통령은 지난해 6월 방북 당시 김정은 위원장에게 모스크바를 방문해달라고 초대했습니다.
김 위원장은 2019년과 2023년 두 차례 러시아를 찾았지만 모두 극동지역에서 푸틴 대통령과 만났고, 러시아 수도인 모스크바를 방문한 적은 없습니다.
YTN 홍주예 (hongkiza@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