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가짜 목소리' 벌금 82억 원...딥페이크 음란물 제재

바이든 '가짜 목소리' 벌금 82억 원...딥페이크 음란물 제재

2024.05.24. 오전 11:01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미 FCC, AI ’가짜 목소리’ 제작자 82억 원 벌금
금융기관 등에 ’딥페이크’ 음란물 결제 제한 공문
앱 스토어 관리 업체에도 일련의 조처 요구
AD
[앵커]
미국 정부가 AI, 인공지능으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목소리를 만든 사람에게 우리 돈으로 82억 원의 벌금을 부과했습니다.

또 AI를 기반의 '딥페이크'를 악용한 음란물을 막는 구체적인 조치에 들어갔습니다.

신웅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지난 1월 미국 뉴햄프셔주 대선 후보 예비선거를 앞두고 민주당원들이 받은 전화 메시지입니다.

[조 바이든 / 미국 대통령 가짜 목소리 : 우리는 개표 때 민주당 지지표의 중요성을 알고 있습니다. 11월 대통령 선거를 위해 우리의 투표를 아낍시다.]

하지만 이는 진짜가 아니고 미국 정치 컨설턴트 스티브 크레이머가 AI로 만든 가짜입니다.

미 연방통신위원회 FCC는 스티브 크레이머에게 600만 달러, 우린 돈 82억 원 상당의 벌금을 부과했습니다.

FCC는 또 이 메시지를 주민들에게 전송한 혐의로 링고 텔레콤에 대해서도 200만 달러의 벌금을 매겼습니다.

더불어 바이든 행정부는 AI로 영상과 이미지를 합성하는 '딥페이크'를 악용한 음란물 제재에 들어갔습니다.

백악관은 AI 개발자, 금융 기관, 클라우드컴퓨팅 업체 등에 딥페이크 음란물 관련 사이트의 결제를 제한해달라는 공문을 보냈습니다.

구글과 애플 등 모바일 앱 스토어를 관리하는 '게이트키퍼'에게도 딥페이크 음란물 생성과 확산을 막을 수 있는 일련의 조처를 요구했습니다.

백악관은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법적 장치 마련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의회의 협조도 촉구했습니다.

[카린 장-피에르 / 백악관 대변인 : 대통령은 딥페이크 관련 위험을 명확히 우려해 왔습니다. 가짜 이미지와 정보는 기술 진보로 더 악화할 수 있습니다.]

지난 1월 말 팝스타 테일러 스위프트의 얼굴을 합성한 딥페이크 음란물이 온라인에 유포되면서 국제적 이슈로 떠올랐습니다.

최근에는 유명인을 넘어 일반인 피해자로 대상이 확산하면서 우리나라에서도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YTN 신웅진입니다.


영상편집 : 한경희

화면출처 : X


YTN 신웅진 (ujshi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당.점.사 - 당신의 점심을 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