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전 세계 바다를 뒤덮고 있는 플라스틱 쓰레기의 절반가량이 배달과 포장 등에 사용되는 1회 용 음식 용기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이 현지 시간 11일 보도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스페인과 미국, 호주 등 각국 학자로 구성된 국제 공동 연구팀은 크기 3㎝ 이상인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를 음식 포장·배달 용기, 화장품 용기, 가정용품 포장재 등 용도별로 종류를 나눠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해양 쓰레기 음식 포장·배달용 범주에 속한 1회 용 비닐봉지가 14%로 가장 많았고, 플라스틱으로 된 물병이 11.9%, 그릇 9.4%, 식품 비닐 포장지 9% 등으로 전체 플라스틱 쓰레기의 약 절반을 차지했습니다.
연구를 주도한 스페인 카디스 대학의 카르멘 모랄레스-카셀 교수는 "플라스틱 쓰레기 중 음식 포장 용기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는 점은 놀랍다"며 "규제 품목을 더 늘리지 않으면 문제의 핵심은 해결하지 못하게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동헌 [dhlee@ytm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보도에 따르면 스페인과 미국, 호주 등 각국 학자로 구성된 국제 공동 연구팀은 크기 3㎝ 이상인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를 음식 포장·배달 용기, 화장품 용기, 가정용품 포장재 등 용도별로 종류를 나눠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해양 쓰레기 음식 포장·배달용 범주에 속한 1회 용 비닐봉지가 14%로 가장 많았고, 플라스틱으로 된 물병이 11.9%, 그릇 9.4%, 식품 비닐 포장지 9% 등으로 전체 플라스틱 쓰레기의 약 절반을 차지했습니다.
연구를 주도한 스페인 카디스 대학의 카르멘 모랄레스-카셀 교수는 "플라스틱 쓰레기 중 음식 포장 용기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는 점은 놀랍다"며 "규제 품목을 더 늘리지 않으면 문제의 핵심은 해결하지 못하게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동헌 [dhlee@ytm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