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뉴스-더인터뷰] 난민 덮친 '코로나 공포'...정우성 친선대사에 듣는다

[더뉴스-더인터뷰] 난민 덮친 '코로나 공포'...정우성 친선대사에 듣는다

2020.06.17. 오후 3:23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 진행 : 강진원 앵커, 박상연 앵커
■ 출연 : 정우성 유엔난민기구 친선대사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앵커]
최근 해마다 우리나라에 난민신청을 하는 사람들의 수가 1만 명이 넘는다고 합니다.

더 이상 난민의 문제가 먼 곳의 이야기가 아닌 우리 사회 속 생존과 공존의 문제라고 하죠.

[앵커]
그렇습니다. 사흘 뒤인 6월 20일이 세계 난민의 날이라고 합니다. 오늘 스튜디오에 난민 보호활동에 앞장서는 분을 모셨습니다. 유엔난민기구 친선대사죠. 정우성 씨 나오셨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정우성]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앵커]
오늘 배우가 아닌 유엔난민기구 친선대사로 오셨습니다. 사실 이 직함도 어색하지는 않으시죠?

[정우성]
어느덧 6~7년이라는 햇수가 지나다 보니까 어색하지는 않은데 그래도 역시 무거운 호칭인 것만은 틀림없습니다.

[앵커]
오는 20일이죠. 토요일이 세계난민의 날이라고 하더라고요. 어떤 의미로 지정된 건가요?

[정우성]
세계난민의 날은 2000년 유엔 총회 의결로 2001년부터 매년 6월 20일 난민 보호에 국제사회의 책임을 전 세계가 공유하는 날입니다.

이날 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 각지에 있는 유엔난민기구 사무소에서는 난민의 어려움과 난민 문제의 심각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높이기 위해서 여러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한국대표부에서는 매년 하고 있었던 난민영화제를 공동 개최하고 또 올해는 세계 난민 사진전을 함께하고 있습니다.

[앵커]
사실 난민 하면 접하기 무겁고 이해하기 어려운 문제가 아닐까라는 인식이 있기도 하거든요. 어떻게 하다가 접하게 되신 건지요?

[정우성]
기구에서 먼저 연락을 했어요.

이건 여러 인터뷰에서 몇 차례 이야기한 에피소드인데. 연락이 왔기에 저 역시도 난민기구에 대해서는 생소했고 어떤 일을 하는 기구인지 연락받은 후에 알게 됐고 그전에 사회적 활동에 대해서 관심이 있었는데 생각만 갖고 행동으로 옮길 기회를 갖지 못했고 또 용기를 못 냈구나 하는 생각 때문에 선뜻 겁없이 하게 됐죠.

하고 난 이후에 굉장히 이게 엄청난 일이구나. 그리고 여러 국가를 돌아다니면서 난민이 처해지는 여러 일들을 볼 때 우리의 역사와 굉장히 많이 닮아 있구나. 그런 것들을 느꼈습니다.

[앵커]
그런데 난민구호활동과 관련해서 왜 굳이 먼 나라이냐. 우리나라에도 어려운 분들이 많은데. 이런 의견도 있는 게 사실이거든요. 여기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정우성]
난민만 돕자라는 이야기를 하는 건 아니고요. 그리고 난민이 우선시돼야 한다라는 이야기도 아니고요. 병행해야 될 문제인 것 같습니다.

어떤 선택의 문제가. 여러 사람들이 사는 이 사회에서 많은 사람들이 여러 취약층에 대해서 관심을 갖고 온정의 손길을 나눌 수 있는데 그중에서도 난민이라는 사람들이 있기 때문에 관심을 갖고 온정의 마음을 나눠주십사 하고 이야기드리는 거죠.

[앵커]
2014년부터 활동을 해 오신 거잖아요. 햇수로 7년째라면 거의 전문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 같은데 2020년 현재 난민 현황은 어느 정도인가요? 계속 늘고 있습니까?

[정우성]
전문가는 아니고요. 매년 이 수치의 통계자료가 굉장히 변화되고 있고 그걸 볼 때마다 깜짝깜짝 놀라고 있는데 유엔난민기구 최근 집계자료를 보면 2019년 말 기준으로 해서 7950만 명의 강제이주민이 발생한 상황입니다.

이 수치는 전 세계 인구의 1%에 해당하는 수치이고 97명 중 1명이 강제이주민이라는 무서운 이야기죠. 수치가 끊임없이 오르고 있다는 건 사실 분쟁과 박해가 사라지지 않고 있다라는 이야기거든요.

내전이 시작된 어떤 국가에서는 내전의 종식의 실마리는 보이지 않고 또 새롭게 내전이 시작되는 국가들도 있고. 2019년에는 콩고민주공화국 사헬이라는 지역에서 내전이 발생했고요.

또 내전이 지속되고 있는 국가들 예멘, 시리아. 특히 시리아는 9년째 내전이 지속되고 있으면서 1320만 명의 강제이주민을 발생시켰습니다.

이 수치는 전체 이주민 수치의 6분의 1에 해당하는 수치고요.

[앵커]
지금 코로나19가 팬데믹, 세계적인 대유행 상태잖아요. 그래서 난민들도 피해를 많이 입었을 것 같은데 어떻습니까?

[정우성]
그렇죠. 취약층들은 또 큰 피해를 입는 것 같아요. 그중에 또 난민들도 있고요.

코로나19 유입의 우려로 인해서 입항을 금지당한 로힝야족 수백명이 탄 배가 남아시아 해상에서 지금 떠돌고 있다는 안타까운 소식도 접했고요.

난민촌이나 난민이 거주하는 지역은 인구밀집도가 상당히 높거든요.

그렇기 때문에 사회적 거리두기, 그런 물리적 사회적 거리두기는 그들에게는 요구할 수 없는 상황인 것만은 틀림없습니다.

그리고 물과 비누, 마스크, 의료용품들도 상당히 모자란 현실이기 때문에 코로나19에는 상당히 취약할 수밖에 없는 상황인 거죠.

[앵커]
우리나라로 오는 난민의 수가 유럽 등에 비해서는 많지 않다는 생각도 드는데요. 맞습니까?

[정우성]
맞습니다. 작년에 대한민국에 난민신청을 한 분의 수치는 1만 5000여 명 정도예요. 이중에 한 3000여 명이 난민과 인도적 체류자 지위를 허가받았고요.

그런데 올해 외국인 출입률이 예년에 비해서 90% 정도 줄었다고 하잖아요. 그러니까 자연스럽게 난민 신청자 수도 자연스럽게 줄고 있습니다.

[앵커]
친선대사로서 많은 현장 방문하다 보면 우리나라 그리고 우리나라 국민들의 난민에 대한 인식에 대해서도 생각을 많이 하셨을 것 같은데 우리나라 국민들의 난민에 대한 인식 어떻다고 생각하십니까?

[정우성]
글쎄요. 2018년 5월 제주 예멘 난민사태를 기점으로 우리 사회에서는 굉장히 많은 의견이 충돌했죠. 또 그럼과 동시에 난민에 대해서 좀 더 관심을 갖고 지켜보자는 그런 마음도 함께 형성된 것 같아요.

그렇기 때문에 지금 현재 우리 사회가 난민을 바라보는 시각이 어떻다라는 평가보다는 좀 더 난민에 대해서 냉정하게 그리고 그들이 왜 난민이 됐는지에 대한 그런 사실을 알고자 하는 의지들이 높아진 것만은 틀림없습니다.

그리고 사실 대한민국은 민간후원으로는 세계 2위거든요. 그렇기 때문에 대한민국 우리 국민들의 따뜻한 온정의 마음이 얼마나 큰지 그 수치가 대변해 주고 있는 것 같습니다.

[앵커]
아까부터 물을 자꾸 드시려고 하다가 타이밍을 못 잡으신 것 같아서요. 드실 시간 드리겠습니다. 유엔 난민의 날 앞두고 친선대사 정우성 씨 모시고 이야기를 나누고 있습니다.

유엔난민기구 민간 후원액 가운데 우리나라가 세계 국가 중 2위를 차지하고 있다고 하더라고요. 우리 정부의 난민 보호 정책은 어떤지. 한국을 인권선진국이라고 부를 수 있는지 이 부분도 궁금한데요.

[정우성]
글쎄요, 정부에서는 많은 노력을 했던 것 같아요. 1993년에 이미 난민협약에 가입했고 2013년에 단독적 난민법을 갖고 있는 국가이기 때문에 아시아 국가에서는 이렇게 난민에 대한 제도적인 뒷받침을 법률로 정한 국가는 유일한 것 같아요.

그렇기 때문에 정부에서도 상당히 많은 노력을 하는데 사실 이 노력 안에서의 실행능력에 있어서는 또 많은 고민이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리고 난민인정자 그리고 인도적 체류자라는 단어에 대해서도 국민의 50%가 생소하다라는 조사 결과가 있더라고요. 그렇기 때문에 정부는 난민의 개념 그리고 정부가 실행하는 난민 정책에 대해서 좀 더 정확하고 명확하게 국민과 함께 나눴을 때 국민들이 난민에 대한 오해를 덜고 그리고 정부의 정책에도 좀 더 관대하게 바라볼 수 있는 그런 여유가 생기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앵커]
그런데 유엔난민기구 직원들이 정우성 씨를 배우라기보다 동료로 생각한다고 그러던데 일을 시키거나 그러지는 않습니까?

[정우성]
일을 시키는 걸 다 군말없이 해서 그런 것 같아요. 동료 소리 싫고 그냥 친선대사로서 예우를 받고 싶습니다.

직원분들이 그렇게 얘기를 해 주는 건 사실 저에게는 영광스러운 이야기인 것 같아요.

왜냐하면 제가 캠프를 방문하고 늘 현장에서 활동하는 직원들의 모습이나 그리고 사무실에서 어떤 일을 하고 있는 직원들의 열정을 보면 정말 대단한 분들이구나라는 그런 존경심이 드는 사람들이거든요.

[앵커]
마지막으로 앞서 이야기 나누기 전에 저희가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어제 폭파한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보여드렸는데, 북한 조선중앙TV. 지금 남북관계가 살얼음판을 걷고 있습니다.

정우성 씨 같은 경우에는 예전에 한반도 분단위기 상황과 관련된 영화도 여러 편 출연했는데 우려가 남다를 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시는지요?

[정우성]
제가 어떤 영화에 출연을 했던 배우라서가 아니라 아마 대한민국 국민이면 모두가 다 가질 수밖에 없는 우려인 것 같은데. 대한민국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빨리 평화의 길로 가는 그런 행동들이 이행되기를 진심으로 바라고요.

그리고 제가 늘 난민도 우리와 닮았다라는 이야기를 할 때 우리나라 역시도 분단의 현실에 놓인 한반도고 그리고 휴전 상황이잖아요, 종전 상태가 아닌. 그렇기 때문에 군사적 분쟁이 언제든지 촉발될 수 있는 그런 위험한 지형이기 때문에 난민의 대부분은 그런 군사적 분쟁지역에서 일어나고 그리고 저희가 6.25를 넘긴 지 불과 70여 년밖에 안 됐잖아요.

6.25를 거치면서 국제한국재건단이라는 웅크라라는 조직이 한국의 재건을 돕기 위해서 큰 활동을 했거든요.

그건 어떻게 보면 국제사회가 어떤 한 지역의 어려움을 외면하지 않고 함께 연대했을 때이렇게 1950년대 당시 극빈국이었던 대한민국이라는 나라가 2020년도에는 이렇게 선진국 반열에 오르는 그런 모습으로 발전할 수 있는 증언들이 역사 속에 있잖아요.

그렇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난민에 대해서 먼 이야기 그리고 난민이 발생하는 상황은 우리와 상관없는 이야기로 생각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앵커]
알겠습니다. 지금까지 유엔난민기구 친선대사로 활동하고 있는 배우 정우성 씨와 함께 이야기 나눴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정우성]
감사합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