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보복 관세' 맞불...미중 무역전쟁 격화

中 '보복 관세' 맞불...미중 무역전쟁 격화

2019.05.14. 오전 11:09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미중 무역 갈등이 확전으로 치닫고 있습니다.

중국이 미국의 관세 인상에 맞서 다음 달부터 600억 달러 상당의 미국산 제품에 보복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는데요.

트럼프 대통령은 타격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자신하며 최종 담판 가능성을 열어뒀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조수현 기자!

중국은 그동안 미국과의 협상 과정에서 강경 대응을 자제해왔는데, 보복 관세 카드를 꺼내 들었다고요?

[기자]
중국 정부는 다음 달인 6월 1일부터 60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제품에 대해 고율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보복하지 말라고 중국에 경고한 직후 나온 조치인데요.

관세 대상은 모두 5,100여 개 품목입니다.

2,490개 품목은 25%, 1,070개는 20%, 970개는 10%의 관세가 부과되며, 나머지 품목의 관세율은 5%입니다.

이번 보복 관세의 대상은 지난해 무역 갈등이 불거진 뒤 미국이 2천억 달러의 중국산에 대해 관세를 인상하자 중국이 관세를 올렸던 미국산 제품들입니다.

중국은 "미국이 무역 갈등을 고조시키고, 협상을 통해 이견을 해소한다는 원칙을 어기고, 양국 이익을 훼손함에 따라 권리를 지키기 위해 대응했다"고 밝혔습니다.

[앵커]
중국이 이처럼 보복 관세로 맞불을 놓은 배경은 어떻게 분석할 수 있을까요?

[기자]
중국은 대미 수출 의존도가 높은 데다 매년 막대한 대미 흑자를 보고 있기에 강경 대응은 자제해왔습니다.

하지만 지난 1년간 협상 과정에서 성과를 내지 못한 채 미국에 휘둘리는 모습으로 비친 게 부담이 됐을 수 있다는 겁니다.

때문에, 계속해서 실무 협상을 진행하면서 내부 결속을 다지기 위해 보복관세를 단행했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여기에, 올해 신중국 창립 70주년을 맞아 애국주의 물결이 높아지는 가운데, 미국의 엄포에 밀려 합의안에 서명할 경우 민심이 돌아설 것이란 판단도 작용했다는 분석입니다.

중국 정부는 강경 대응의 배경에 대해 경기부양책이 효과를 발휘하면서 중국 경제에 문제가 없기 때문이라고 주장합니다.

[앵커]
중국의 보복 관세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어떤 입장을 밝혔나요?

[기자]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의 보복 관세가 미국에 큰 타격을 주지는 않을 것이라고 자신했습니다.

미국 경제는 강하고, 이미 수백억 달러의 관세 수입을 올리고 있기 때문이라는 이유에서입니다.

미국은 앞서 지난 10일 2천억 달러의 중국 제품에 대한 관세를 기존 10%에서 25%로 올리면서, 추가로 3천억 달러에 대한 고율 관세도 예고했는데요.

현재 추가 관세 조치에 대한 실무 작업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미 무역대표부가 발표한 추가 관세 목록에는 휴대전화와 랩톱, 태블릿 PC 등이 새로 포함됐고, 희토류와 의약품 등은 제외됐습니다.

이와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은 추가 관세 인상은 확정된 게 아니라며 압박 카드로 내밀었는데요, 직접 들어보시겠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 美 대통령 : 우리가 결정만 하면 3,250억 달러어치 (중국) 제품에 대해 관세를 부과할 수 있습니다.]

[앵커]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을 들어보면 협상의 여지를 남긴 것으로 보이는데, 예고된 추가 협상 일정은 있는지요?

[기자]
두 나라는 지난 2주간 베이징과 워싱턴에서 잇따라 고위급 협상을 마친 상황이고, 당분간 예정된 일정은 없습니다.

다만 실제 관세 부과까지 다소 시간을 두고 추가 협상의 여지를 남겼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대로 중국의 관세 적용 시점은 6월 1일이고요.

미국이 지난 10일 발표한 관세 인상 조치도 6월 초순부터 적용됩니다.

때문에, 한 달 정도 유예기간이 생긴 협상에서 양국은 관세 보복을 지렛대로, 정상 간 막판 담판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습니다.

정상회담의 무대는 다음 달 말 G20 정상회의가 열리는 일본 오사카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G20 기간 미중 정상회담 개최를 공식 확인하며 성과를 낙관하기도 했는데, 이때까지 양측이 합의안을 도출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지금까지 국제부에서 YTN 조수현[sj1029@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