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여론조사비 대납 의혹과 관련해 오세훈 서울시장이 김건희 특별검사팀 조사를 받고 나왔는데요.
조사를 마친 오 시장이 관련 소감을 밝힐지현장 연결해 들어보겠습니다.
[오세훈]
기존에 해 오던 얘기대로 대납한 사실은 없다, 이 점을 중점적으로 얘기했고요.
역시 대질신문은 잘한 것 같습니다.
물론 평행선을 그리기는 했지만 양쪽 주장이 평행선을 그리기는 했지만 그래도 그 말하는 정황이나 이런 걸 보면서 아마 공정한 특검의 판단이 있을 수 있다는 그런 기대를 하게 됩니다.
[기자]
평행선이라고 하셨는데.
[오세훈]
양쪽 주장이 좁혀진 게 없습니다.
[기자]
어떤 점이 가장 대립했었나요?
[오세훈]
이 자리에서 다 말씀드릴 수는 없고요.
원래 알려진 대로 대납이 있었느냐 없었느냐 그리고 비공표 여론조사가 조작됐다, 오전에 제가 들어가면서 표본수를 대폭 부풀린 기사를 인용하고 들어갔지 않습니까?
그 부분에 대해서도 똑같은 서로의 주장이 그냥 그대로 평행선을 그렸습니다.
[기자]
명태균 씨가 기억이 안 난다고 많이 말씀하셨다는 주장을 하셨는데 실제로 그렇게 하신 게 맞으신지?
[오세훈]
이게 5년 전의 일이지 않습니까?
그게 사실 소상하게 기억하는 게 오히려 어색한 일들이 많습니다.
그런 부분은 솔직하게 기억 안 나는 것은 기억이 안 난다고 말씀드렸고 또 여러 가지 정황을 봐서 기억을 더듬을 수 있는 것은 기억을 더듬어서 말씀드렸습니다.
[기자]
명태균 씨에게 여론조사 의뢰하거나 결과 받아본 적은 없으신가요?
[오세훈]
원래 제 주장 그대로입니다.
[기자]
명태균 씨는 시장님이 여론조사비 대납을 알고 있었다고 하시던데.
[오세훈]
글쎄, 그게 평행선이라니까요.
[기자]
김한정 씨가 오세훈 씨가 연결해 줬다라고 말했는데 그 부분은 어떻게 보시나요?
[오세훈]
지금 막 조사를 받고 나와서 특검에서 했던 얘기를 여기서 다 할 수는 없는 거고요.
기존의 주장이 거의 다 양쪽 다 되풀이됐다 이렇게 이해하시면 크게 대차 없을 것 같습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여론조사비 대납 의혹과 관련해 오세훈 서울시장이 김건희 특별검사팀 조사를 받고 나왔는데요.
조사를 마친 오 시장이 관련 소감을 밝힐지현장 연결해 들어보겠습니다.
[오세훈]
기존에 해 오던 얘기대로 대납한 사실은 없다, 이 점을 중점적으로 얘기했고요.
역시 대질신문은 잘한 것 같습니다.
물론 평행선을 그리기는 했지만 양쪽 주장이 평행선을 그리기는 했지만 그래도 그 말하는 정황이나 이런 걸 보면서 아마 공정한 특검의 판단이 있을 수 있다는 그런 기대를 하게 됩니다.
[기자]
평행선이라고 하셨는데.
[오세훈]
양쪽 주장이 좁혀진 게 없습니다.
[기자]
어떤 점이 가장 대립했었나요?
[오세훈]
이 자리에서 다 말씀드릴 수는 없고요.
원래 알려진 대로 대납이 있었느냐 없었느냐 그리고 비공표 여론조사가 조작됐다, 오전에 제가 들어가면서 표본수를 대폭 부풀린 기사를 인용하고 들어갔지 않습니까?
그 부분에 대해서도 똑같은 서로의 주장이 그냥 그대로 평행선을 그렸습니다.
[기자]
명태균 씨가 기억이 안 난다고 많이 말씀하셨다는 주장을 하셨는데 실제로 그렇게 하신 게 맞으신지?
[오세훈]
이게 5년 전의 일이지 않습니까?
그게 사실 소상하게 기억하는 게 오히려 어색한 일들이 많습니다.
그런 부분은 솔직하게 기억 안 나는 것은 기억이 안 난다고 말씀드렸고 또 여러 가지 정황을 봐서 기억을 더듬을 수 있는 것은 기억을 더듬어서 말씀드렸습니다.
[기자]
명태균 씨에게 여론조사 의뢰하거나 결과 받아본 적은 없으신가요?
[오세훈]
원래 제 주장 그대로입니다.
[기자]
명태균 씨는 시장님이 여론조사비 대납을 알고 있었다고 하시던데.
[오세훈]
글쎄, 그게 평행선이라니까요.
[기자]
김한정 씨가 오세훈 씨가 연결해 줬다라고 말했는데 그 부분은 어떻게 보시나요?
[오세훈]
지금 막 조사를 받고 나와서 특검에서 했던 얘기를 여기서 다 할 수는 없는 거고요.
기존의 주장이 거의 다 양쪽 다 되풀이됐다 이렇게 이해하시면 크게 대차 없을 것 같습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