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 브리핑] APEC '불금' 핼러윈까지... 경찰은 이번 주가 두렵다

[스타트 브리핑] APEC '불금' 핼러윈까지... 경찰은 이번 주가 두렵다

2025.10.28. 오전 07:12.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START]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10월 28일 화요일, 스타트 브리핑 시작합니다.

먼저 조선일보입니다.

이번 주에 APEC 정상회의에 핼러윈 데이까지 겹쳐있죠.

인파 관리와 경호 전쟁에 비상이 걸렸는데경찰이 어떻게 대비하고 있는지 보겠습니다.

APEC 정상회의가 열리는 31일과 다음 달 1일 이틀간 경주엔 경찰 18,500명이 투입됩니다.

보문단지 일대를 진공 상태로 만든다는 계획입니다.

군인 2,660여 명, 소방 인력 4천여 명도 동원됩니다.

그런데 경주 일대에 투입되는 경찰 인력의 약 26%는 서울경찰청에서 내려옵니다.

핼러윈 때 인파가 몰리는 서울 주요 도심치안 관리에 공백이 우려되는 상황이죠.

올해 핼러윈 데이에 홍대에 10만 명, 이태원엔 2만 명 이상이 몰릴 거로 예상되는데서울경찰청은 밀집 지역 14곳에 총 4,900여 명을 투입해 인파 관리에 나설 계획입니다.

서울시도 밀집 지역을 지정하고 합동 상황실을 운영하기로 했습니다.

안전사고 없이 APEC 정상회의와 핼러윈 데이가 무사히 마무리되길 바랍니다.

다음 서울신문입니다.

국가데이터처가 '2023년 소득이동 통계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소득분위 이동성이 3년째 후퇴하며 계층 사다리가 무너져가는 모양새인데신문은 개천에서 용 나는 개룡남, 개룡녀가나오기 더 어려워졌다고 표현했습니다.

소득분위 이동성은 2021년부터 하락하는 추세입니다.

즉 사회 이동성이 갈수록 낮아지면서 경직된 사회가 되어간다는 뜻이죠.

한 해 동안 소득이 늘어 소득분위가 올라간국민은 단 17%.

10명 중 2명이 채 되지 않았습니다.

상향이든 하향이든 소득분위 이동은 2017년이후 가장 적었는데 원인은 뭘까요?

우선 낮은 경제 성장률이 오래 이어졌고이동성이 낮은 노년층 비중은 늘어나는데청년층 비중은 줄어들었기 때문입니다.

고령화의 영향이죠.

소득 양극화도 더 심해져서 개천에서 용 나긴 점점 더 힘든 구조가 되고 있습니다.

결국 청년층의 소득 이동성을 높여서 계층사다리를 더 만들어주는 게 과제일 겁니다.

구직 기간을 줄이고,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소득 격차를 해소하는 정책이 필요하단 지적이 나옵니다.

다음 기사 보겠습니다.

이젠 돌이 채 지나기도 전에 사교육을 받는 게 이상하지 않은 시대가 됐나 봅니다.

'오감놀이' 수업이 필수로 자리 잡고 있는데 생후 4개월쯤부터 대기를 걸어둬야 할정도라고 하네요.

7세 고시, 4세 고시를 넘어서 이젠 '0세'사교육까지 등장한 겁니다.

업체들은 '두뇌 발달 골든타임', '영재 엄마들의 선택' 같은 홍보 문구를 내세우고있습니다.

불안감을 느끼는 부모들에게 집에서 하는것만으론 부족하다며 광고를 하는 거죠.

수업료는 30분 수업 한 번에 3만 원.

한 달 기준으론 12만 원 정도입니다.

2세 이하 영유아의 사교육 참여율은 24.6%에 달합니다.

3살만 되어도 절반 이상의 아이들이 사교육을 받고, 5살이 되면 참여율이 81%까지 올라갑니다.

지나친 사교육을 일찍부터 시작할 필요는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지만학부모들의 불안을 자극하며 사교육 시장의 연령대가 점점 낮아지는 모습입니다.

끝으로 중앙일보입니다.

한국시리즈 예매 시도했다가 실패한 야구팬들 많이 계시죠.

저도 그 사람 중 하나입니다.

도대체 누가 예매에 성공하는 건가 싶은데티켓 재판매 플랫폼에 들어가 보면 표가수두룩합니다.

정가가 12만 원인 티켓 가격이 200만 원,무려 17배 뛴 가격에 거래되기도 했습니다.

과거엔 경기장 근처에서 경찰과 눈치 싸움을 벌이던 암표상들, 이젠 PC방으로 자리를 옮겼습니다.

매크로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표를 싹쓸이하죠.

얼마 전엔 5,254회에 걸쳐 10만 장이 넘는 프로야구 티켓을 사재기해 판매한 사람이 경찰에 붙잡혔습니다.

하지만 암표상 단속, 운이 잡아야 겨우 잡을 수 있다고 하네요.

암표상을 특정해도 매크로를 활용했는지 증거 확보가 쉽지 않고요.

한 티켓 재판매 플랫폼의 경우 계정 정보가가려져 있어서 특정이 안 됩니다.

현행법상 암표를 구매하는 행위에 대해서도제재가 필요하단 의견이 나옵니다.

대통령실도 이 문제를 언급했습니다.

강훈식 비서실장이 "단속을 넘어 암표 자체를 없앨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는데팬들을 울리는 암표 문제가 어떻게 개선될지 지켜봐야겠습니다.

10월 28일 아침 신문 살펴봤습니다.

지금까지 스타트 브리핑이었습니다.


YTN 정채운 (jcw178@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