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사관, 제 발로 찾아간 120억대 스캠 총책 풀어줘
대사관 직원·한국 경찰·강 씨 통화 녹음 입수
여권 못 쓰게 만든 후 귀가 조치…이후 강 씨 잠적
대사대리, 당시 강 씨 방문 사실조차 알지 못해
대사관 직원·한국 경찰·강 씨 통화 녹음 입수
여권 못 쓰게 만든 후 귀가 조치…이후 강 씨 잠적
대사대리, 당시 강 씨 방문 사실조차 알지 못해
AD
[앵커]
주캄보디아 한국대사관이 지난해 120억 원대 로맨스 스캠 조직 총책을 그대로 풀어줬을 당시 상황이 담긴 통화 녹음 파일을 YTN이 단독 입수했습니다.
한국 경찰 수사관과의 통화에서 대사관 직원은 현지 경찰에 강 씨를 신고하는 건 모양새가 좋지 않다고 말하기도 했는데, 대사관의 부실 대응 논란이 더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이현정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기자]
지난해 11월, 120억 원대 로맨스 스캠 조직의 총책 강 모 씨가 주캄보디아 한국대사관에 제 발로 찾아갔지만, 그대로 풀려났던 사실이 YTN 보도를 통해 알려졌습니다.
당시 여권을 연장하러 온 강 씨에게 대사관 직원은 적색수배가 내려진 사실을 알려준 뒤 이유를 묻는 강 씨가 한국에 있는 경찰과 통화할 수 있도록 연결해 줬습니다.
이때 대사관 측과 한국 경찰, 그리고 총책 강 씨 사이의 통화가 담긴 녹음 파일을 YTN이 단독 입수했습니다.
먼저 대사관 측과 통화한 경찰 수사관이 대사관 직원에게 수배 사실을 왜 알려줬는지 묻자 '그럴 수밖에 없었다'는 답이 돌아옵니다.
[대사관 직원 : 적색 수배 여부는 제가 얘기를 할 수밖에 없습니다. 왜냐하면 저희가 여권 발급을 안 해주는 이유에 대해서는 설명을 민원인한테 해야 하거든요.]
당황한 수사관은 '그러면 이제 강 씨가 귀국하지 않고 계속 숨어 있을 수도 있지 않냐'고 지적했는데 대사관 직원은 '그건 장담 못 하지만 그럴 수도 있다'고 답합니다.
또, 경찰 영사에게는 체포 권한이 없어 더 취할 수 있는 조치는 자수를 권유하는 것밖에 없다며 현지 경찰에게 신고하는 건 모양새 때문에 부담스럽다고 말합니다.
[대사관 직원 : 모양새가 안 좋거든요. 자기 제 발로 들어온 민원인을 대사관에서 경찰 영사가 전화해서 잡아가라, 이거는 조금 좀 부담스럽습니다.]
이때 대사관에서는 강 씨가 더 이상 여권을 사용할 수 없도록 구멍을 뚫는 것 외에 별다른 조치는 하지 않았던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결국, 강 씨는 대사관을 나선 뒤 자수하지 않은 채 잠적했고, 석 달쯤 뒤에야 체포됐습니다.
그런데 주캄보디아 대사대리는 당시 강 씨가 대사관을 방문한 사실과 대사관 측의 조치에 대해 알지도 못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김준형 / 조국혁신당 의원 : 그때 알고 계셨습니까? 보고를 받았습니까?]
[김현수 / 주캄보디아 대사대리 : 당시에는 제가 알지 못하였습니다.]
캄보디아 납치·감금 사태와 관련한 대응뿐 아니라 강 씨 사건까지, 대사관의 부실 대응 논란은 더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YTN 이현정입니다.
영상편집: 고창영
디자인: 권향화
YTN 이현정 (leehj0311@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주캄보디아 한국대사관이 지난해 120억 원대 로맨스 스캠 조직 총책을 그대로 풀어줬을 당시 상황이 담긴 통화 녹음 파일을 YTN이 단독 입수했습니다.
한국 경찰 수사관과의 통화에서 대사관 직원은 현지 경찰에 강 씨를 신고하는 건 모양새가 좋지 않다고 말하기도 했는데, 대사관의 부실 대응 논란이 더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이현정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기자]
지난해 11월, 120억 원대 로맨스 스캠 조직의 총책 강 모 씨가 주캄보디아 한국대사관에 제 발로 찾아갔지만, 그대로 풀려났던 사실이 YTN 보도를 통해 알려졌습니다.
당시 여권을 연장하러 온 강 씨에게 대사관 직원은 적색수배가 내려진 사실을 알려준 뒤 이유를 묻는 강 씨가 한국에 있는 경찰과 통화할 수 있도록 연결해 줬습니다.
이때 대사관 측과 한국 경찰, 그리고 총책 강 씨 사이의 통화가 담긴 녹음 파일을 YTN이 단독 입수했습니다.
먼저 대사관 측과 통화한 경찰 수사관이 대사관 직원에게 수배 사실을 왜 알려줬는지 묻자 '그럴 수밖에 없었다'는 답이 돌아옵니다.
[대사관 직원 : 적색 수배 여부는 제가 얘기를 할 수밖에 없습니다. 왜냐하면 저희가 여권 발급을 안 해주는 이유에 대해서는 설명을 민원인한테 해야 하거든요.]
당황한 수사관은 '그러면 이제 강 씨가 귀국하지 않고 계속 숨어 있을 수도 있지 않냐'고 지적했는데 대사관 직원은 '그건 장담 못 하지만 그럴 수도 있다'고 답합니다.
또, 경찰 영사에게는 체포 권한이 없어 더 취할 수 있는 조치는 자수를 권유하는 것밖에 없다며 현지 경찰에게 신고하는 건 모양새 때문에 부담스럽다고 말합니다.
[대사관 직원 : 모양새가 안 좋거든요. 자기 제 발로 들어온 민원인을 대사관에서 경찰 영사가 전화해서 잡아가라, 이거는 조금 좀 부담스럽습니다.]
이때 대사관에서는 강 씨가 더 이상 여권을 사용할 수 없도록 구멍을 뚫는 것 외에 별다른 조치는 하지 않았던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결국, 강 씨는 대사관을 나선 뒤 자수하지 않은 채 잠적했고, 석 달쯤 뒤에야 체포됐습니다.
그런데 주캄보디아 대사대리는 당시 강 씨가 대사관을 방문한 사실과 대사관 측의 조치에 대해 알지도 못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김준형 / 조국혁신당 의원 : 그때 알고 계셨습니까? 보고를 받았습니까?]
[김현수 / 주캄보디아 대사대리 : 당시에는 제가 알지 못하였습니다.]
캄보디아 납치·감금 사태와 관련한 대응뿐 아니라 강 씨 사건까지, 대사관의 부실 대응 논란은 더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YTN 이현정입니다.
영상편집: 고창영
디자인: 권향화
YTN 이현정 (leehj0311@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