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원전 지을 수 있다. 단, 신청하는 곳 있으면"

"신규 원전 지을 수 있다. 단, 신청하는 곳 있으면"

2025.10.19. 오전 05:48.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정부가 국정감사에서, 원전을 짓겠다고 나서는 곳이 있으면 신규 원전 건설도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정부 주도로 추진하지는 않겠다는 말로 해석되는데, 재생에너지를 확대하려는 거지 '탈원전'은 아니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이문석 기자입니다.

[기자]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이재명 대통령은 '에너지혼합' 정책을 얘기하며 새 원전 건설에 부정적인 견해를 밝혔습니다.

[이재명 / 대통령 (지난달 11일) : 풍력발전, 태양광 이건 1, 2년이면 되는데, 그걸 대대적으로 건설해서 그 방향으로 가야지, 무슨 원전을 지어요?]

이후 문재인 정부 '탈원전' 정책이 재현되는 거냐는 지적이 잇따랐습니다.

국정감사에서도 야당 의원들 질의는 여기에 집중됐습니다.

새 정부가 신규 원전 건설을 추진할 의지가 있는지 집요하게 따져 물었습니다.

[조지연 / 국민의힘 의원 (지난 14일) : 탈원전으로 해석해도 됩니까? 아니면 원전을 짓지 않는 거로 해석해도 되는 겁니까?]

[윤상현 / 국민의힘 의원 (지난 14일) : 원전에 대해서 기술 발전을 안 하겠다고 하면서 주저하는 나라에서 원전 수출한다고? 이게 제대로 되겠느냐….]

주무부처인 기후에너지환경부 김성환 장관은 '탈원전'은 아니라고 다시 강조했습니다.

다만, 시급한 '탈석탄'을 위해 재생에너지 대폭 확대를 우선하고, 안전을 담보로 기존 원전도 적절히 사용하겠다고 답했습니다.

신규 원전 건설에 대한 입장은 이렇게 정리했습니다.

[김성환 /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 (지난 14일) : 11차 전기본(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서 원전을 추가로 하겠다고 있는 데가 있으면 그걸 12차 전기본에 적절히 반영하면 될 거라고 판단합니다.]

정부가 주도해 원전을 짓지는 않겠다는 말로 풀이됩니다.

따라서 앞으로 수립할 12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신규 원전 건설은 제외될 확률이 높습니다.

정부에게는, 더 많은 전기가 필요한 인공지능(AI) 시대에 새 원전 없이 재생에너지로만 충분한 전력을 확보할 수 있는 뚜렷한 방안을 제시할 숙제가 남았습니다.

YTN 이문석입니다.


YTN 이문석 (mslee2@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