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지난해 전공의들의 대규모 사직 사태 이후 이어져 온 비상진료체계가 해제됩니다.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오늘(17일)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열고 보건의료위기경보 '심각' 단계를 20일 0시부터 해제한다고 밝혔습니다.
지난해 2월 23일 재난경보단계를 최고 수준인 '심각'으로 높이고 비상진료체계를 가동한 지 1년 8개월 만입니다.
정 장관은 새 정부 출범 후 의료계와 소통을 재개하면서 상당수 전공의가 복귀했다며, 진료량이 비상진료 이전의 95% 수준을 회복했고 응급의료 상황도 수용 능력을 거의 회복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자원의 효율적 운영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평가된 진료지원 간호사, 비대면 진료, 입원 전담 전문의 등은 제도화를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
이와 함께 지난 1년 8개월 동안 의정 갈등으로 불편을 겪은 환자, 가족에게 위로와 사과를 드리고, 어려운 여건 속에서 환자의 생명을 지켜준 의료진, 119 구급대 등 공무원들께도 감사드린다고 덧붙였습니다.
YTN 김주영 (kimjy0810@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오늘(17일)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열고 보건의료위기경보 '심각' 단계를 20일 0시부터 해제한다고 밝혔습니다.
지난해 2월 23일 재난경보단계를 최고 수준인 '심각'으로 높이고 비상진료체계를 가동한 지 1년 8개월 만입니다.
정 장관은 새 정부 출범 후 의료계와 소통을 재개하면서 상당수 전공의가 복귀했다며, 진료량이 비상진료 이전의 95% 수준을 회복했고 응급의료 상황도 수용 능력을 거의 회복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자원의 효율적 운영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평가된 진료지원 간호사, 비대면 진료, 입원 전담 전문의 등은 제도화를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
이와 함께 지난 1년 8개월 동안 의정 갈등으로 불편을 겪은 환자, 가족에게 위로와 사과를 드리고, 어려운 여건 속에서 환자의 생명을 지켜준 의료진, 119 구급대 등 공무원들께도 감사드린다고 덧붙였습니다.
YTN 김주영 (kimjy0810@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