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최근 논란이 된 코로나 백신의 암 유발 논란에 대해 정부가 인과성을 입증하기 어렵다고 밝혔습니다.
질병관리청은 오늘(13일) 정례브리핑에서 암 발병 기전을 규명하는 데 수년이 걸리는 점을 고려하면 접종 뒤 1년 동안 관찰한 결과로는 백신 접종으로 인해 암이 발생했다고 보기 어렵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예방접종 절기의 이상 사례는 10만 명당 5건 수준으로 3년 동안 감소해왔고, 경미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며 고위험군의 코로나 백신 접종은 필요하다고 당부했습니다.
앞서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팀은 지난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코로나 백신 접종자 840만 명의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분석해본 결과, 백신을 맞은 뒤 1년 동안 주요 암 발생 위험이 증가했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에 게재했습니다.
연구팀에 따르면 코로나 백신 접종자는 비접종자보다 전립선암 위험이 69%, 폐암은 53% 더 높았고, 위와 대장, 유방암의 위험도 증가한 거로 나타났습니다.
YTN 염혜원 (hyew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질병관리청은 오늘(13일) 정례브리핑에서 암 발병 기전을 규명하는 데 수년이 걸리는 점을 고려하면 접종 뒤 1년 동안 관찰한 결과로는 백신 접종으로 인해 암이 발생했다고 보기 어렵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예방접종 절기의 이상 사례는 10만 명당 5건 수준으로 3년 동안 감소해왔고, 경미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며 고위험군의 코로나 백신 접종은 필요하다고 당부했습니다.
앞서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팀은 지난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코로나 백신 접종자 840만 명의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분석해본 결과, 백신을 맞은 뒤 1년 동안 주요 암 발생 위험이 증가했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에 게재했습니다.
연구팀에 따르면 코로나 백신 접종자는 비접종자보다 전립선암 위험이 69%, 폐암은 53% 더 높았고, 위와 대장, 유방암의 위험도 증가한 거로 나타났습니다.
YTN 염혜원 (hyew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