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SNS
AD
충남 부여에서 열린 백제문화제 중 '백제 복식 패션쇼'에서 중국산 의상이 등장해 논란이 되고 있다.
12일 뉴스1 보도에 따르면 이날 소셜미디어(SNS)에서 '백제문화제 패션쇼에 중국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하는 의상이 사용된 것 같다'는 취지의 글이 올라왔다.
해당 글을 올린 누리꾼은 "유튜브로 우연히 부여에서 열리고 있는 백제문화제 영상이 떠서 보게 되었는데 백제 복식 패션쇼 부분을 보다가 아무리 봐도 이상해 캡쳐해서 타오바오에서 찾아봤다"고 전했다.
함께 첨부된 패션쇼 의상은 실제 타오바오에서 판매되고 있는 코스프레 의상과 흡사했다.
이를 접한 누리꾼들은 "너무 부끄럽고 충격적이다", "한국에서 제작하지 않고 그대로 사온 거라면 문제 되겠네" 등 반응을 보였다. 일각에서는 "이 축제 반드시 감사해야 한다", "누가 중간에서 행사비용 장난친 거 아니냐" 등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지난 4, 5일 양일간 부여군과 공주시에서 열린 백제문화제 특설무대에서 진행된 해당 패션쇼는 한 민간단체가 주최했으며, 별도 예산이 투입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단체 관계자는 패션쇼에 백제 복식 제작업체에서 구매한 의상 25벌을 투입했으나, 무대가 밋밋하게 연출되지 않게끔 색상이 더 화려한 복식을 온라인에서 추가 구입했다가 이같은 일이 벌어지게 됐다고 경위를 밝혔다.
이 관계자는 "공주·세종·청주 등 전국 시니어모델이 함께한 무료 공연이었다"며 "부여 측 초청이 아니라 회원들과 뜻을 모아 무대를 준비했다"고 설명했다. 역사적인 문제는 생각지 못했다며 사과의 말을 덧붙이기도 했다.
부여군 측은 "공식 프로그램이 아니었고, 단체 측이 '무대만 빌려달라'는 요청이 있어 관람객이 많지 않은 시간대에 비예산으로 허용했다"며 공식 행사로 오인된 부분에 유감을 전하고 재발 방지를 약속했다.
YTN digital 이유나 (ly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12일 뉴스1 보도에 따르면 이날 소셜미디어(SNS)에서 '백제문화제 패션쇼에 중국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하는 의상이 사용된 것 같다'는 취지의 글이 올라왔다.
해당 글을 올린 누리꾼은 "유튜브로 우연히 부여에서 열리고 있는 백제문화제 영상이 떠서 보게 되었는데 백제 복식 패션쇼 부분을 보다가 아무리 봐도 이상해 캡쳐해서 타오바오에서 찾아봤다"고 전했다.
함께 첨부된 패션쇼 의상은 실제 타오바오에서 판매되고 있는 코스프레 의상과 흡사했다.
이를 접한 누리꾼들은 "너무 부끄럽고 충격적이다", "한국에서 제작하지 않고 그대로 사온 거라면 문제 되겠네" 등 반응을 보였다. 일각에서는 "이 축제 반드시 감사해야 한다", "누가 중간에서 행사비용 장난친 거 아니냐" 등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지난 4, 5일 양일간 부여군과 공주시에서 열린 백제문화제 특설무대에서 진행된 해당 패션쇼는 한 민간단체가 주최했으며, 별도 예산이 투입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단체 관계자는 패션쇼에 백제 복식 제작업체에서 구매한 의상 25벌을 투입했으나, 무대가 밋밋하게 연출되지 않게끔 색상이 더 화려한 복식을 온라인에서 추가 구입했다가 이같은 일이 벌어지게 됐다고 경위를 밝혔다.
이 관계자는 "공주·세종·청주 등 전국 시니어모델이 함께한 무료 공연이었다"며 "부여 측 초청이 아니라 회원들과 뜻을 모아 무대를 준비했다"고 설명했다. 역사적인 문제는 생각지 못했다며 사과의 말을 덧붙이기도 했다.
부여군 측은 "공식 프로그램이 아니었고, 단체 측이 '무대만 빌려달라'는 요청이 있어 관람객이 많지 않은 시간대에 비예산으로 허용했다"며 공식 행사로 오인된 부분에 유감을 전하고 재발 방지를 약속했다.
YTN digital 이유나 (ly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