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4세 고시'라고 불리는 레벨 테스트를 진행하는 영어유치원이 전국 20여 곳이라는 교육부의 조사 결과를 두고 논란이 많습니다.
집계부터 구멍이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데다 정부 규제에 대한 학부모들의 반발도 커 향후 효과적 관리가 가능할지 의문입니다.
김주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영어유치원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회원 수 12만여 명의 유명 온라인 커뮤니티입니다.
카테고리 중 하나에 아예 입학 전 레벨 테스트 관련 항목이 있고, 커뮤니티 곳곳에서도 관련 정보를 주고받는 학부모들의 글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여전히 전국 상당수 영어유치원이 이른바 '4세 고시' '7세 고시'라고 불리는 입학 전 테스트를 보는 만큼 그에 대한 대비를 하고자 하는 겁니다.
교육부는 이 같은 테스트 탓에 어린 아이들에게 과도한 학습이 요구된다는 지적이 늘어나자 실태를 조사했고, 전국 728개 유아 대상 영어학원 가운데 23곳이 사전 등급시험을 본다고 발표했습니다.
지속적인 행정지도에 나서고, 국세청 등과 합동 점검에 나서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하지만 조사부터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사전 등급시험 시행 유아 영어학원'을 대상으로 하다 보니, 테스트는 보지만 분류상 유아 대상이 아닌 영어학원이나 아이들을 일단 받은 뒤 테스트를 보는 우회 방식을 걸러내지 못한 겁니다.
교육 당국이 꾸준한 감시와 감독을 예고하고 있지만, 학부모들 반발이 커 현실성이 있을지도 의문입니다.
앞서 정치권에서 영어유치원 관련 규제 법안이 발의되자 일부 학부모와 교육단체는 반대 청원을 올리고, 관련 보고서를 만들어 국회 교육위에 보냈을 정도입니다.
근본적으로 무한경쟁 입시 체계가 크게 바뀌지 않는 상황에서,
아무리 규제를 한다 한들 불안한 학부모들이 또 다른 4세, 7세 고시를 찾게 될 것이라는 지적도 나옵니다.
YTN 김주영입니다.
YTN 김주영 (kimjy0810@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4세 고시'라고 불리는 레벨 테스트를 진행하는 영어유치원이 전국 20여 곳이라는 교육부의 조사 결과를 두고 논란이 많습니다.
집계부터 구멍이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데다 정부 규제에 대한 학부모들의 반발도 커 향후 효과적 관리가 가능할지 의문입니다.
김주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영어유치원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회원 수 12만여 명의 유명 온라인 커뮤니티입니다.
카테고리 중 하나에 아예 입학 전 레벨 테스트 관련 항목이 있고, 커뮤니티 곳곳에서도 관련 정보를 주고받는 학부모들의 글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여전히 전국 상당수 영어유치원이 이른바 '4세 고시' '7세 고시'라고 불리는 입학 전 테스트를 보는 만큼 그에 대한 대비를 하고자 하는 겁니다.
교육부는 이 같은 테스트 탓에 어린 아이들에게 과도한 학습이 요구된다는 지적이 늘어나자 실태를 조사했고, 전국 728개 유아 대상 영어학원 가운데 23곳이 사전 등급시험을 본다고 발표했습니다.
지속적인 행정지도에 나서고, 국세청 등과 합동 점검에 나서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하지만 조사부터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사전 등급시험 시행 유아 영어학원'을 대상으로 하다 보니, 테스트는 보지만 분류상 유아 대상이 아닌 영어학원이나 아이들을 일단 받은 뒤 테스트를 보는 우회 방식을 걸러내지 못한 겁니다.
교육 당국이 꾸준한 감시와 감독을 예고하고 있지만, 학부모들 반발이 커 현실성이 있을지도 의문입니다.
앞서 정치권에서 영어유치원 관련 규제 법안이 발의되자 일부 학부모와 교육단체는 반대 청원을 올리고, 관련 보고서를 만들어 국회 교육위에 보냈을 정도입니다.
근본적으로 무한경쟁 입시 체계가 크게 바뀌지 않는 상황에서,
아무리 규제를 한다 한들 불안한 학부모들이 또 다른 4세, 7세 고시를 찾게 될 것이라는 지적도 나옵니다.
YTN 김주영입니다.
YTN 김주영 (kimjy0810@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