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60km 등하굣길...특수학교 반대에 무릎 꿇은 부모들

매일 60km 등하굣길...특수학교 반대에 무릎 꿇은 부모들

2025.09.05. 오전 05:05.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학교에 가기 위해 매일 수십km를 오가는 학생들이 있습니다.

각종 장애 때문에 특수학교에 다니는 아이들인데요.

부모들은 학교를 만들어 달라며 무릎까지 꿇었지만, 일부 주민들의 반대도 만만치 않습니다.

오승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사]
새벽 6시 45분, 뇌병변 장애를 가진 박서윤 양의 하루가 시작됩니다.

도움을 받아야 휠체어에 앉을 수 있는 서윤 양의 나이는 스무 살이지만, 생활은 한두 살 수준입니다.

말 대신 표정으로 대화하며 한 입 한 입 먹여주다 보니 벌써 30분 넘게 지났습니다.

하지만 학교에 가기 위한 진짜 전쟁은 지금부터입니다.

아침 시간대 운행이 많지 않은 장애인 콜택시 잡기가 만만치 않기 때문입니다.

[박정환 / 박서윤 양 아버지 : 이 앱에서 눈을 뗄 수가 없는 거죠. 수업 시간에 맞춰갈 수 있는지는 그날그날 달라지거든요.]

콜택시를 부른 지 40분가량 지난 아침 8시쯤에야 겨우 배차에 성공했습니다.

집이 있는 경기도 양주에서 가장 가까운 뇌병변 지체장애 특수학교는 서울 노원에 있습니다.

취재진이 함께한 등굣길은 29km, 학교에 다니기 위해 매일 60km 가까운 거리를 오가야 합니다.

박 양이 다니는 학교에 도착했습니다. 집에서 출발해 이곳에 오기까지 1시간가량 걸렸는데요. 등하교에만 매일 2시간이 넘게 걸리는 셈입니다.

서윤 양은 그래도 다른 장애 학생보다는 여건이 나은 편입니다.

서울에서 특수교육을 받아야 하는 학생은 1만 4천여 명이지만, 이 중 30% 정도만 특수학교에 다닙니다.

나머지 1만 명가량 장애 학생이 특수학교에 다니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로는 감당하기 힘든 통학 거리가 꼽힙니다.

서울 특수학교 재학생 4명 중 1명은 하루 통학에 2시간 정도 걸리고, 4시간 가까이 걸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정유경 / 뇌병변 지체장애 학생 학부모 : 변에 학교가 없어서, 가는 길이 너무 멀어서 집에서만 지내는 아이들이 있거든요.]

장애 학생들의 통학 시간이 긴 건 특수학교의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서울 25개 자치구 가운데 용산구와 성동구 등 8개 자치구에는 특수학교가 단 한 곳도 없습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교육청이 성동구에 특수학교를 만들기로 했지만, 일부 주민의 거센 반대에 부딪혔습니다.

새 특수학교가 들어설 폐교 앞입니다. 지금은 이렇게 문이 굳게 닫혀 있는데요. 예정 부지로 지정된 지 2년 가까이 지났지만, 특수학교를 둘러싼 갈등은 더 커지는 모습입니다.

반대 측 주민들은 폐교부지에 특수학교가 아닌 일반 고등학교를 유치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인근 지역 재개발로 학생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이유입니다.

[김현숙 / 인근 아파트 입주자 대표 : 장애인 학교는 그들에게 정서적으로, 환경적으로 아주 좋은 최상의 조건이 있는 서울숲 인근에 짓고….]

일부에서는 결국 집값 때문이라는 지적도 나옵니다.

[인근 아파트 주민 : 집값이 떨어진다고 난리예요. 여기는 인프라가 없으니 특목고가 들어오는 게 맞다 이런 식이에요.]

이러다 특수학교 설립이 무산될 수도 있다는 걱정에 학부모들은 길거리에서 무릎을 꿇었습니다.

[권숙 / 장애학생 학부모(지난달 27일) : 저희 좀 살게 해주세요. 무릎 꿇고 애걸하겠습니다.]

특수학교 설립 반대를 두고 비판이 커지는 가운데 해당 부지에 특수학교와 고등학교를 함께 유치하자는 일종의 중재안까지 나온 상황.

서울 성동구 특수학교 설립의 첫 관문인 서울시의회 교육위 심의는 오는 9일 열립니다.

YTN 오승훈입니다.



영상기자 : 진수환
그래픽 : 신소정,우희석



YTN 오승훈 (5wi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