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자료화면 ⓒ 연합뉴스
AD
경기도 광명시에서 KT 이동통신 이용자 다수가 휴대전화 소액결제로 수십만 원씩 빠져나가는 피해를 입어 경찰이 수사에 착수했다. 피해가 특정 지역과 특정 통신사 가입자에 집중돼 있어 해킹 범죄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4일 경찰과 주민 제보에 따르면, 지난달 27일부터 31일 사이 주로 새벽 시간대 피해자들의 휴대전화에서 모바일 상품권 구매, 교통카드 충전 등의 명목으로 수십만 원씩 결제가 이뤄졌다. 지금까지 확인된 피해 규모는 62차례에 걸쳐 총 1,769만 원이며, 피해자는 26명에 이른다.
피해자들은 모두 광명시 소하동에 거주하고 있으며, 일부는 같은 아파트 단지 주민인 것으로 알려졌다. 광명시 주민 온라인 커뮤니티에도 3~4일 추가 피해 사례가 올라오고 있어 피해 규모가 더 커질 가능성이 있다.
처음 신고를 접수한 광명경찰서는 사건을 경기남부경찰청으로 이첩하고 본격적인 수사에 돌입했다. 경찰 관계자는 "소액 결제 범죄가 한 지역에 중점적으로 발생한 것은 상당히 이례적"이라며 "어떤 경로로 해킹이 이뤄졌는지 등은 현재로서 알 수 없고 더 수사할 사항"이라고 밝혔다.
최근 미국 보안 전문지 '프랙'은 북한 또는 중국 배후로 추정되는 해킹 조직이 국내 통신사와 정부 기관을 겨냥해 해킹을 시도했다는 보고서를 공개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정부도 포렌식 분석을 진행 중이다.
다만 광명시에서 발생한 소액결제 피해가 KT 본사 내부망 해킹과 연관된 것인지, 아니면 유통망 차원의 정보 탈취 때문인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YTN digital 류청희 (chee0909@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4일 경찰과 주민 제보에 따르면, 지난달 27일부터 31일 사이 주로 새벽 시간대 피해자들의 휴대전화에서 모바일 상품권 구매, 교통카드 충전 등의 명목으로 수십만 원씩 결제가 이뤄졌다. 지금까지 확인된 피해 규모는 62차례에 걸쳐 총 1,769만 원이며, 피해자는 26명에 이른다.
피해자들은 모두 광명시 소하동에 거주하고 있으며, 일부는 같은 아파트 단지 주민인 것으로 알려졌다. 광명시 주민 온라인 커뮤니티에도 3~4일 추가 피해 사례가 올라오고 있어 피해 규모가 더 커질 가능성이 있다.
광명 중고거래 게시판에 올라온 피해 내용 ⓒ 광명 중고거래 카페 캡처
처음 신고를 접수한 광명경찰서는 사건을 경기남부경찰청으로 이첩하고 본격적인 수사에 돌입했다. 경찰 관계자는 "소액 결제 범죄가 한 지역에 중점적으로 발생한 것은 상당히 이례적"이라며 "어떤 경로로 해킹이 이뤄졌는지 등은 현재로서 알 수 없고 더 수사할 사항"이라고 밝혔다.
최근 미국 보안 전문지 '프랙'은 북한 또는 중국 배후로 추정되는 해킹 조직이 국내 통신사와 정부 기관을 겨냥해 해킹을 시도했다는 보고서를 공개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정부도 포렌식 분석을 진행 중이다.
다만 광명시에서 발생한 소액결제 피해가 KT 본사 내부망 해킹과 연관된 것인지, 아니면 유통망 차원의 정보 탈취 때문인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YTN digital 류청희 (chee0909@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