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60대 이상 범죄 피의자 비율이 사상 처음으로 청년층을 뛰어넘었습니다.
전문가들은 고령층 범죄 증가 이유로 경제적 어려움과 소외감을 꼽으면서, 이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고 사회적으로 기여할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양동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달 20일 인천에서 가족들이 자신을 따돌린다는 망상에 사로잡힌 60대가 사제 총기로 아들을 살해했습니다.
지난달 서울 길음동에 있는 기원에서는 70대 남성이 흉기를 휘둘러 2명이 크게 다쳤고,
지난 5월에는 60대 남성이 서울지하철 5호선 열차에 불을 질러 160명 살해 미수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습니다.
고령층 범죄가 계속 증가하는 가운데, 지난해 61세 이상 범죄 피의자 비율이 사상 처음으로 19∼30세 청년층을 추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강력범죄에서 61세 이상 피의자가 차지하는 비율도 2021년 13.3%에서 지난해 15.7%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말 기준 전국 교정시설에 있는 60대 이상 수형자는 1만 4백여 명으로 3년 전 7천5백여 명과 비교하면 37.8% 늘었습니다.
고령층 범죄가 증가하는 배경으로는 초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노인 인구가 늘어나는 점이 첫 번째로 꼽힙니다.
[이웅혁 / 건국대 경찰학과 교수 : 연령 구성비의 증가는 범죄인의 증가와 연동되어 있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말이죠. 실질적으로 범죄에 사용할 수 있는 근력, 완력 자체는 여전히 왕성하고….]
고령층의 경제적인 문제도 주요한 원인 가운데 하나로 지목됩니다.
절도 범죄의 경우 61세 이상 비율이 33.9%로 전 연령대 가운데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는데,
실직 등으로 경제적 어려움에 빠진 경우 절도나 사기 등 범죄에 연루될 가능성도 커진다는 분석입니다.
특히, 가족이나 사회로부터 소외되면 극단적인 범죄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오윤성 / 순천향대 경찰행정학과 교수 : 사회적인 그런 지위가 상실된다든지, 또 가족 관계가 단절된다든가 하는 이런 것 등으로 인해서 자포자기식의 어떤 범행이 강력 범죄로 이어질 수도 있고요.]
전문가들은 일자리를 늘려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고령층을 구제하고,
이들이 소외감을 느끼지 않도록 사회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합니다.
YTN 양동훈입니다.
영상편집 : 마영후
디자인 : 권향화
YTN 양동훈 (yangdh01@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60대 이상 범죄 피의자 비율이 사상 처음으로 청년층을 뛰어넘었습니다.
전문가들은 고령층 범죄 증가 이유로 경제적 어려움과 소외감을 꼽으면서, 이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고 사회적으로 기여할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양동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달 20일 인천에서 가족들이 자신을 따돌린다는 망상에 사로잡힌 60대가 사제 총기로 아들을 살해했습니다.
지난달 서울 길음동에 있는 기원에서는 70대 남성이 흉기를 휘둘러 2명이 크게 다쳤고,
지난 5월에는 60대 남성이 서울지하철 5호선 열차에 불을 질러 160명 살해 미수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습니다.
고령층 범죄가 계속 증가하는 가운데, 지난해 61세 이상 범죄 피의자 비율이 사상 처음으로 19∼30세 청년층을 추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강력범죄에서 61세 이상 피의자가 차지하는 비율도 2021년 13.3%에서 지난해 15.7%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말 기준 전국 교정시설에 있는 60대 이상 수형자는 1만 4백여 명으로 3년 전 7천5백여 명과 비교하면 37.8% 늘었습니다.
고령층 범죄가 증가하는 배경으로는 초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노인 인구가 늘어나는 점이 첫 번째로 꼽힙니다.
[이웅혁 / 건국대 경찰학과 교수 : 연령 구성비의 증가는 범죄인의 증가와 연동되어 있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말이죠. 실질적으로 범죄에 사용할 수 있는 근력, 완력 자체는 여전히 왕성하고….]
고령층의 경제적인 문제도 주요한 원인 가운데 하나로 지목됩니다.
절도 범죄의 경우 61세 이상 비율이 33.9%로 전 연령대 가운데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는데,
실직 등으로 경제적 어려움에 빠진 경우 절도나 사기 등 범죄에 연루될 가능성도 커진다는 분석입니다.
특히, 가족이나 사회로부터 소외되면 극단적인 범죄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오윤성 / 순천향대 경찰행정학과 교수 : 사회적인 그런 지위가 상실된다든지, 또 가족 관계가 단절된다든가 하는 이런 것 등으로 인해서 자포자기식의 어떤 범행이 강력 범죄로 이어질 수도 있고요.]
전문가들은 일자리를 늘려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고령층을 구제하고,
이들이 소외감을 느끼지 않도록 사회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합니다.
YTN 양동훈입니다.
영상편집 : 마영후
디자인 : 권향화
YTN 양동훈 (yangdh01@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