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지난해 우리나라 온실가스 잠정 배출량은 6억 9,158만 톤으로 전년 잠정치 대비 2% 감소했습니다.
발전 부문 배출량은 원전과 재생에너지 발전량 증가로 5.4% 감소했지만, 석유화학과 정유 업종 생산량 증가 등의 영향으로 산업 부문 배출량이 0.5% 늘었습니다.
특히 정유와 철강, 시멘트 업종은 생산량 대비 배출량을 가리키는 '온실가스 원단위'가 악화한 거로 나타나 산업 부분에서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적극적인 대응이 시급한 거로 분석됐습니다.
또한, 이산화탄소보다 온난화 효과가 최대 만 배인 냉매 가스 '수소불화탄소(HFCs)' 배출량이 전년보다 4.8% 증가했고, 당분간 증가 추세가 이어질 거로 전망됐습니다.
환경부는 우리나라 온실가스 배출량이 매년 2%가량씩 감소하고 있지만, 국가 온실가스를 2030년까지 4억3천6백만 톤 수준으로 줄이는 목표(NDC)를 달성하려면 매년 배출량을 3.6% 이상 감축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습니다.
YTN 이문석 (mslee2@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발전 부문 배출량은 원전과 재생에너지 발전량 증가로 5.4% 감소했지만, 석유화학과 정유 업종 생산량 증가 등의 영향으로 산업 부문 배출량이 0.5% 늘었습니다.
특히 정유와 철강, 시멘트 업종은 생산량 대비 배출량을 가리키는 '온실가스 원단위'가 악화한 거로 나타나 산업 부분에서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적극적인 대응이 시급한 거로 분석됐습니다.
또한, 이산화탄소보다 온난화 효과가 최대 만 배인 냉매 가스 '수소불화탄소(HFCs)' 배출량이 전년보다 4.8% 증가했고, 당분간 증가 추세가 이어질 거로 전망됐습니다.
환경부는 우리나라 온실가스 배출량이 매년 2%가량씩 감소하고 있지만, 국가 온실가스를 2030년까지 4억3천6백만 톤 수준으로 줄이는 목표(NDC)를 달성하려면 매년 배출량을 3.6% 이상 감축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습니다.
YTN 이문석 (mslee2@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