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김건희 씨 집사로 알려진 김예성 씨가 특검에 구속됐습니다.
이른바 '집사 게이트'에 대한 수사도 급물살을 타게 됐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안동준 기자!
먼저 김예성 씨 구속 소식부터 전해주시죠.
[기자]
김건희 씨 일가 집사로 알려진 김예성 씨가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법상 횡령 등 혐의로 특검에 구속됐습니다.
김 씨는 자신이 지분을 보유했던 렌터카 업체, IMS모빌리티 자금 33억8천만 원을 횡령한 혐의를 받습니다.
앞서 지난 2023년 카카오모빌리티 등 대기업들의 투자금 가운데 46억 원이 김 씨가 차명으로 보유한 것으로 의심되는 이노베스트코리아 구주를 사들이는 데 쓰였는데요.
특검은 이 가운데 24억3천만 원을 IMS모빌리티 조 모 대표에게 빌려주는 방식으로 김 씨가 빼돌렸다고 보고 있습니다.
나머지 금액에 대해서는 IMS모빌리티가 이노베스트코리아와 허위 용역계약을 맺어 1억 원대 용역 대금을 지급 받거나,
김 씨 배우자를 여러 법인 임직원으로 이름을 올려 허위 급여를 지급하는 방식으로 빼돌린 것으로 의심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앵커]
의혹의 핵심 인물을 구속한 만큼, 이제 수사도 급물살을 탈 거로 보이죠?
[기자]
네, 특검이 김 씨 신병을 확보한 만큼, 이제 의혹의 본류에 대한 수사가 이어질 거로 보이는데요.
IMS모빌리티에 대한 대기업들의 투자가 당시 영부인이었던 김건희 씨를 염두에 둔 보험성 혹은 대가성 투자였는지를 입증할 차례입니다.
특검은 당시 투자에 참여한 대기업들이 '오너 리스크' 등 각종 악재를 해결하기 위해 김건희 씨와 가까운 김예성 씨 업체에 투자한 거로 의심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특검은 지난 11일, 공정거래위원회 기업집단국을 압수수색하기도 했는데요.
특히 당시 계열사 신고 누락과 오너 일가의 계열사 지분 차명보유, 탈세 등의 의혹이 제기돼 공정위 조사를 받았던 HS효성을 겨냥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당시 공정위는 HS효성이 계열사 신고를 누락한 행위에 대해 경고 처분을 내렸는데,
특검은 이런 결정을 한 배경과 제3자 개입 여부 등을 들여다보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사회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영상편집: 김민경
YTN 안동준 (eastju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김건희 씨 집사로 알려진 김예성 씨가 특검에 구속됐습니다.
이른바 '집사 게이트'에 대한 수사도 급물살을 타게 됐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안동준 기자!
먼저 김예성 씨 구속 소식부터 전해주시죠.
[기자]
김건희 씨 일가 집사로 알려진 김예성 씨가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법상 횡령 등 혐의로 특검에 구속됐습니다.
김 씨는 자신이 지분을 보유했던 렌터카 업체, IMS모빌리티 자금 33억8천만 원을 횡령한 혐의를 받습니다.
앞서 지난 2023년 카카오모빌리티 등 대기업들의 투자금 가운데 46억 원이 김 씨가 차명으로 보유한 것으로 의심되는 이노베스트코리아 구주를 사들이는 데 쓰였는데요.
특검은 이 가운데 24억3천만 원을 IMS모빌리티 조 모 대표에게 빌려주는 방식으로 김 씨가 빼돌렸다고 보고 있습니다.
나머지 금액에 대해서는 IMS모빌리티가 이노베스트코리아와 허위 용역계약을 맺어 1억 원대 용역 대금을 지급 받거나,
김 씨 배우자를 여러 법인 임직원으로 이름을 올려 허위 급여를 지급하는 방식으로 빼돌린 것으로 의심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앵커]
의혹의 핵심 인물을 구속한 만큼, 이제 수사도 급물살을 탈 거로 보이죠?
[기자]
네, 특검이 김 씨 신병을 확보한 만큼, 이제 의혹의 본류에 대한 수사가 이어질 거로 보이는데요.
IMS모빌리티에 대한 대기업들의 투자가 당시 영부인이었던 김건희 씨를 염두에 둔 보험성 혹은 대가성 투자였는지를 입증할 차례입니다.
특검은 당시 투자에 참여한 대기업들이 '오너 리스크' 등 각종 악재를 해결하기 위해 김건희 씨와 가까운 김예성 씨 업체에 투자한 거로 의심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특검은 지난 11일, 공정거래위원회 기업집단국을 압수수색하기도 했는데요.
특히 당시 계열사 신고 누락과 오너 일가의 계열사 지분 차명보유, 탈세 등의 의혹이 제기돼 공정위 조사를 받았던 HS효성을 겨냥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당시 공정위는 HS효성이 계열사 신고를 누락한 행위에 대해 경고 처분을 내렸는데,
특검은 이런 결정을 한 배경과 제3자 개입 여부 등을 들여다보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사회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영상편집: 김민경
YTN 안동준 (eastju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