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어제(7일) 발표된 전공의 하반기 복귀 방안과 관련해 대한의사협회가 아쉽지만 긍정적인 결론이라고 밝혔습니다.
의협은 오늘 입장문을 통해 수련협의체 회의에서 결정된 전공의 복귀방안에 대해 아쉬운 부분이 없진 않지만, 이해 당사자들이 모여 결론을 도출해 낸 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한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전공의들이 왜 자리를 박차고 나왔는가에 대한 사회적 논의는 시작에 와 있을 뿐이라며 정부의 진정성 있는 정책 집행 과정을 기대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이 환자 단체 대표자들과 만나 의정갈등으로 인한 불편에 대해 사과한 것 의미가 있고, 신뢰 회복이 문제 해결의 시작이라고 말한 점 역시 의협과 같은 인식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의료진의 일방적 희생을 요구하거나 정책에서 배제되는 일이 없어야 한다며 의료 현장의 현실을 정확히 반영하라고 촉구했습니다.
YTN 염혜원 (hyew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의협은 오늘 입장문을 통해 수련협의체 회의에서 결정된 전공의 복귀방안에 대해 아쉬운 부분이 없진 않지만, 이해 당사자들이 모여 결론을 도출해 낸 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한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전공의들이 왜 자리를 박차고 나왔는가에 대한 사회적 논의는 시작에 와 있을 뿐이라며 정부의 진정성 있는 정책 집행 과정을 기대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이 환자 단체 대표자들과 만나 의정갈등으로 인한 불편에 대해 사과한 것 의미가 있고, 신뢰 회복이 문제 해결의 시작이라고 말한 점 역시 의협과 같은 인식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의료진의 일방적 희생을 요구하거나 정책에서 배제되는 일이 없어야 한다며 의료 현장의 현실을 정확히 반영하라고 촉구했습니다.
YTN 염혜원 (hyew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