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함께 사는 여성을 살해한 혐의를 받는 60대 중국 국적 남성에 대한 구속 여부가 이르면 오늘(2일) 결정됩니다.
가해 남성은 경찰 조사에서 범행 동기에 대해 일관되지 않은 진술을 하는 것으로 전해졌는데요,
사회부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표정우 기자!
교제 살해를 저지른 남성에 대한 구속영장 실질심사가 언제 열리죠?
[기자]
네, 잠시 뒤인 오후 3시쯤 서울남부지방법원은 살인 혐의를 받는 60대 중국인 남성 A 씨에 대한 구속 전 피의자 심문을 진행합니다.
A 씨는 지난달 31일 새벽 3시 20분쯤 서울 가리봉동 주거지에서 함께 살던 50대 여성을 흉기로 여러 차례 찔러 살해한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경찰 조사에서 A 씨는 범행 동기에 대해 일관되지 않은 진술을 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경찰은 어제(1일) 진행된 피해 여성의 부검에서, 목 부위의 찔린 상처가 사망에 이르게 한 치명적인 원인이라는 국과수 1차 구두소견을 전달받았습니다.
경찰은 A 씨의 휴대전화를 포렌식 분석하는 등 정확한 범행 동기를 조사하고 있습니다.
[앵커]
숨진 피해 여성이 과거 2차례 신고를 한 적이 있어서 논란이 됐죠?
[기자]
네, 피해 여성은 사건이 벌어지기 닷새 전에는 남성으로부터 괴롭힘당하고 있다고 신고했는데,
경찰은 피해자에게 수차례 연락을 취해 말다툼이 잘 해결됐다는 답을 듣고 사건을 종결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2년 전에도 112신고가 있었는데 당시 경찰은 넘어져 다쳤다는 피해자의 신고와는 달리 가해 남성의 폭행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교제 폭력 등의 관계성 범죄를 관리하는 학대예방 경찰관 제도, APO 시스템이 마련돼 있지만
경찰은 두 차례 신고 모두 여기에 등록하지 않았던 것으로 확인돼 논란이 됐습니다.
[앵커]
관계성 범죄가 전국적으로 잇따르고 있는데 정부에서 관련 대책을 마련하고 있죠?
[기자]
먼저, 지난달 26일 경기 의정부시에서 발생한 살인 사건 피해자가 가해자로부터 스토킹을 당해온 사실이 YTN 보도를 통해 알려졌습니다.
피해 여성은 세 차례에 걸쳐 경찰에 피해를 신고했고 스마트 워치까지 받았지만, 끝내 살해됐습니다.
이후로도 불과 일주일 사이 대전과 울산, 서울 구로 등에서 스토킹과 교제 살인, 살인미수 사건이 잇따랐고 관계 당국은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경찰은 현재 접근금지 조치가 내려진 사건 모두에 대해 위험성을 다시 판단하고, 재범 위험이 큰 경우 전자장치 부착 등 강력한 분리 조치를 추가 신청하기로 했습니다.
또, 접근금지 조치가 내려진 가해자 주변에 기동순찰대를 집중 투입하고, 흉기 소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가해자에 대한 불심검문을 실시하는 등 선제적으로 추가 범행을 차단한다는 계획입니다.
여성가족부 역시 피해자 지원 기관 현장점검을 실시하고 피해자 보호 체계 점검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지금까지 사회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YTN 표정우 (pyojw0323@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함께 사는 여성을 살해한 혐의를 받는 60대 중국 국적 남성에 대한 구속 여부가 이르면 오늘(2일) 결정됩니다.
가해 남성은 경찰 조사에서 범행 동기에 대해 일관되지 않은 진술을 하는 것으로 전해졌는데요,
사회부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표정우 기자!
교제 살해를 저지른 남성에 대한 구속영장 실질심사가 언제 열리죠?
[기자]
네, 잠시 뒤인 오후 3시쯤 서울남부지방법원은 살인 혐의를 받는 60대 중국인 남성 A 씨에 대한 구속 전 피의자 심문을 진행합니다.
A 씨는 지난달 31일 새벽 3시 20분쯤 서울 가리봉동 주거지에서 함께 살던 50대 여성을 흉기로 여러 차례 찔러 살해한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경찰 조사에서 A 씨는 범행 동기에 대해 일관되지 않은 진술을 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경찰은 어제(1일) 진행된 피해 여성의 부검에서, 목 부위의 찔린 상처가 사망에 이르게 한 치명적인 원인이라는 국과수 1차 구두소견을 전달받았습니다.
경찰은 A 씨의 휴대전화를 포렌식 분석하는 등 정확한 범행 동기를 조사하고 있습니다.
[앵커]
숨진 피해 여성이 과거 2차례 신고를 한 적이 있어서 논란이 됐죠?
[기자]
네, 피해 여성은 사건이 벌어지기 닷새 전에는 남성으로부터 괴롭힘당하고 있다고 신고했는데,
경찰은 피해자에게 수차례 연락을 취해 말다툼이 잘 해결됐다는 답을 듣고 사건을 종결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2년 전에도 112신고가 있었는데 당시 경찰은 넘어져 다쳤다는 피해자의 신고와는 달리 가해 남성의 폭행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교제 폭력 등의 관계성 범죄를 관리하는 학대예방 경찰관 제도, APO 시스템이 마련돼 있지만
경찰은 두 차례 신고 모두 여기에 등록하지 않았던 것으로 확인돼 논란이 됐습니다.
[앵커]
관계성 범죄가 전국적으로 잇따르고 있는데 정부에서 관련 대책을 마련하고 있죠?
[기자]
먼저, 지난달 26일 경기 의정부시에서 발생한 살인 사건 피해자가 가해자로부터 스토킹을 당해온 사실이 YTN 보도를 통해 알려졌습니다.
피해 여성은 세 차례에 걸쳐 경찰에 피해를 신고했고 스마트 워치까지 받았지만, 끝내 살해됐습니다.
이후로도 불과 일주일 사이 대전과 울산, 서울 구로 등에서 스토킹과 교제 살인, 살인미수 사건이 잇따랐고 관계 당국은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경찰은 현재 접근금지 조치가 내려진 사건 모두에 대해 위험성을 다시 판단하고, 재범 위험이 큰 경우 전자장치 부착 등 강력한 분리 조치를 추가 신청하기로 했습니다.
또, 접근금지 조치가 내려진 가해자 주변에 기동순찰대를 집중 투입하고, 흉기 소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가해자에 대한 불심검문을 실시하는 등 선제적으로 추가 범행을 차단한다는 계획입니다.
여성가족부 역시 피해자 지원 기관 현장점검을 실시하고 피해자 보호 체계 점검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지금까지 사회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YTN 표정우 (pyojw0323@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