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농민혁명 유족에 월 10만원을 못주냐"...성토장 된 공청회

"동학농민혁명 유족에 월 10만원을 못주냐"...성토장 된 공청회

2025.07.31. 오후 5:30.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이미지 확대 보기
"동학농민혁명 유족에 월 10만원을 못주냐"...성토장 된 공청회
지난 5월 10일부터 11일까지 개최된 제58회 동학농민혁명기념제 / 정읍시 제공
AD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유족 수당 지급' 정책을 두고 각계의 의견을 듣는 공청회가 성토장으로 변했다.

31일 전북도가 도의회에서 연 '동학농민혁명 참여자의 유족 수당 지급 정책 도민 공청회'에서 유족회 회원들은 전북특별자치도가 유족에 연 50만 원을 지급하는 안에 대해 "왜 월 10만원을 못 준다는 것이냐", "생색 낼 거면 차라지 주지 말라"며 반발했다.

공청회에는 염영선(정읍 2)·박정규(임실) 도의원, 이정석 전북도 문화체육관광국장, 동학농민혁명 유족회 회원 등이 참석했다. 유족 수당 지급 계획안, 유족수당 지급 사례 등에 관한 설명이 이뤄진 뒤 유족회 회원들의 질문이 쏟아졌다.

한 유족회 회원은 "5·18 광주민주화운동, 제주 4·3 사건 등 역사적 사건에 대한 수당 지급 현황을 보면 유족 전체에 월 10만 원씩 주는데 왜 동학농민혁명은 이렇게(연 50만 원 지급) 하는 것이냐"고 따져 물었다.

이어 "동학농민혁명은 세계적으로 평가를 받는 훌륭한 혁명이고 관련 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됐다"며 "동학이 앞서 열거한 역사적 사건만도 못하다는 것이냐. 무슨 근거로 그렇게 준다는 것인지 답변해달라"고 요청했다.

또 다른 회원은 "고창을 기준으로 소요 예산을 따져봤는데 월 10만 원을 줘도 1년에 3,600만 원이고 이는 마을회관 2∼3군데 지원하는 돈밖에 안 된다"며 "그 정도의 예산도 사용하지 못하겠다면 역사 인식이 크게 부족한 것으로 생각된다"고 지적했다.

이 밖에도 "이거 애들 장난도 아니고 이럴 거면 차라리 주지 말라", "줘놓고 생색낼 거면 이런 공청회도 하지 말라" 등 예민한 반응이 이어졌다.

이에 대해 염영선 도의원은 "전북도의 방침처럼 개인에게 연 50만 원을 주면 타 지역과 형평성에도 어긋나고 유족 간 분란을 야기할 수 있어 유족을 두 번 죽이는 꼴"이라며 "돈을 아낄 곳에 아껴야지 이런 데 아낀다는 것은 말도 안 된다. 오늘 나온 말들에 대해 도 집행부와 잘 상의해서 정읍(월 10만원 지급)에 준하는 (금액이) 최종적으로 가결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정석 도 문화체육관광국장도 "오늘 많은 분이 허심탄회하게 유족 수당에 대한 의견을 주셨다"며 "다양한 의견을 토대로 유족 수당 지급 계획을 다듬고 조속히 체계적인 지원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6월 전북도가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유족을 대상으로 수당 지급을 검토한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온라인상에서 '동학혁명이 독립운동의 모태가 되기 때문에 유족 수당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세금 낭비'라는 의견이 충돌하며 갑론을박이 펼쳐졌다.

YTN digital 이유나 (ly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