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온라인 커뮤니티
AD
일부 지방자치단체가 기초생활수급자 대상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특정 금액을 기입한 선불카드 형태로 지급한 사실이 알려지며 "기초수급자 낙인"이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최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부산광역시에서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받았다는 후기 글이 게재됐다.
해당 글에 첨부된 사진을 보면 소비쿠폰 선불카드 오른쪽 상단에는 43만 원이라는 금액이 적혀 있다.
글쓴이는 "충전금을 왜 적어놓느냐. 창피하게"라며 "개인사정으로 자존감이 바닥인데 내 입장에선 이렇게 생각할 수도 있는 거니 이해를 좀 해주길 바란다"고 불편한 심정을 적었다.
실제로 부산뿐 아니라 경남, 강원 등 상당수 지자체에서 충전된 금액이 인쇄된 선불카드를 지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글을 접한 누리꾼들은 "굳이 금액을 왜 써놓나", "기초수급자 소문내냐", "사회적 약자 배려가 전혀 없다" 등 비판적인 반응이 잇따랐다.
일부에서는 "공공기관 입장에선 금액 기재해야 업무 처리 속도 빨라진다", "코로나 재난 지원금 때도 선불카드에 금액이 적힌 경우가 많았다", "대다수는 금액 보지도 않을 것" 등 문제 없다는 반응도 이어졌다.
한편 소비쿠폰은 오는 9월 12일 오후 6시까지 약 8주간 온오프라인을 통해 1차 신청을 받는다. 출생연도별 요일제 적용에 따라 수요일인 오늘(23일)은 끝자리가 3·8이면 신청할 수 있다. 온라인 신청은 지역사랑상품권 애플리케이션(앱), 신용·체크카드 카드사 홈페이지·앱·콜센터·ARS 등에서 가능하며, 오프라인 신청은 주소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나, 신용·체크카드사 제휴 은행 영업점에서 할 수 있다.
YTN digital 이유나 (ly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최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부산광역시에서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받았다는 후기 글이 게재됐다.
해당 글에 첨부된 사진을 보면 소비쿠폰 선불카드 오른쪽 상단에는 43만 원이라는 금액이 적혀 있다.
글쓴이는 "충전금을 왜 적어놓느냐. 창피하게"라며 "개인사정으로 자존감이 바닥인데 내 입장에선 이렇게 생각할 수도 있는 거니 이해를 좀 해주길 바란다"고 불편한 심정을 적었다.
실제로 부산뿐 아니라 경남, 강원 등 상당수 지자체에서 충전된 금액이 인쇄된 선불카드를 지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글을 접한 누리꾼들은 "굳이 금액을 왜 써놓나", "기초수급자 소문내냐", "사회적 약자 배려가 전혀 없다" 등 비판적인 반응이 잇따랐다.
일부에서는 "공공기관 입장에선 금액 기재해야 업무 처리 속도 빨라진다", "코로나 재난 지원금 때도 선불카드에 금액이 적힌 경우가 많았다", "대다수는 금액 보지도 않을 것" 등 문제 없다는 반응도 이어졌다.
한편 소비쿠폰은 오는 9월 12일 오후 6시까지 약 8주간 온오프라인을 통해 1차 신청을 받는다. 출생연도별 요일제 적용에 따라 수요일인 오늘(23일)은 끝자리가 3·8이면 신청할 수 있다. 온라인 신청은 지역사랑상품권 애플리케이션(앱), 신용·체크카드 카드사 홈페이지·앱·콜센터·ARS 등에서 가능하며, 오프라인 신청은 주소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나, 신용·체크카드사 제휴 은행 영업점에서 할 수 있다.
YTN digital 이유나 (ly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