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탄서 30대 여성, 사실혼 관계 남성에 납치돼 살해
접근금지·통신제한 긴급 임시조치에도 범행
피해자, 앞서 경찰에 가해자 구속수사 요청
절차 늦어지다 사건 발생…"제도 보완 필요"
접근금지·통신제한 긴급 임시조치에도 범행
피해자, 앞서 경찰에 가해자 구속수사 요청
절차 늦어지다 사건 발생…"제도 보완 필요"
AD
[앵커]
최근 발생한 동탄 납치 살해 사건 발생 전 피해자가 가해 남성을 구속 수사해달라고 강력하게 요청했던 사실이 뒤늦게 알려져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이런 사건이 다시 반복되지 않도록 법제도를 개선해 달라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김이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 12일, 경기 화성 동탄에서 30대 여성이 사실혼 관계 남성에게 납치돼 살해당했습니다.
앞서 3차례 경찰 신고에 가해 남성에게는 피해자에 대한 100m 이내 접근 금지와 연락 제한 등의 긴급 임시조치가 내려진 상태였지만 범행을 막지 못했습니다.
[아파트 관계자 : 살인사건 났다고 (들었어요.) 피가 막 엉겨 있었죠. (피 양이) 많았다니까요.]
그런데 피해자가 사건 발생 전 가해자에 대한 구속 수사를 강력하게 요청했던 사실이 뒤늦게 드러났습니다.
당시 피해자는 가해자를 고소하고, 지난 1년 동안의 피해 사례를 녹음한 녹취록 등 600쪽 분량의 자료도 제출했습니다.
하지만, 절차가 늦어지는 사이 납치 살해 사건이 벌어져 논란이 커진 상황.
앞으로 비슷한 피해를 막기 위한 제도 보완 요구가 커지고 있습니다.
실제로 지난해 남편이나 연인 등 친밀한 관계의 남성에 의해 살해되거나 살해 위험에 처한 피해자는 650명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는데,
이 가운데 17.5%는 이미 경찰에 신고했거나 피해자 보호 조치를 받고 있었다는 조사 결과도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분리 조치된 가해자들에 대한 감시와 대응을 더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이은의 / 변호사 : 가해자의 자율에 맡겨놓는 것들이 아무래도 아직 많다. 구속영장을 좀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법원도 (보복 우려를) 증거 인멸의 우려로 받아들여서 평가를 좀 더 적극적으로 하는 그런 토대가 필요한데….]
교제폭력을 다루는 별도의 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꾸준히 나옵니다.
교제폭력 피해자에게 스마트워치를 지급하거나 임시숙소를 안내할 수는 있지만, 가정폭력처벌법이나 스토킹 처벌법 적용 대상이 아니면 가해자를 격리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김은정 / 변호사 : 가해자의 자유를 제약해야 하는 거잖아요. 법적인 근거가 있어야 수사기관도 그 법률에 따라 가해자를 다른 곳으로 보낸다든지 접근 금지를 한다든지 (할 수 있는데….)]
언제까지 피해자가 보복을 두려워하며 숨어 지내야 하는 건지, 반복되는 범죄의 고리를 끊어달라는 호소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YTN 김이영입니다.
영상편집 : 최연호
디자인 : 임샛별
YTN 김이영 (kimyy0820@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최근 발생한 동탄 납치 살해 사건 발생 전 피해자가 가해 남성을 구속 수사해달라고 강력하게 요청했던 사실이 뒤늦게 알려져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이런 사건이 다시 반복되지 않도록 법제도를 개선해 달라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김이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 12일, 경기 화성 동탄에서 30대 여성이 사실혼 관계 남성에게 납치돼 살해당했습니다.
앞서 3차례 경찰 신고에 가해 남성에게는 피해자에 대한 100m 이내 접근 금지와 연락 제한 등의 긴급 임시조치가 내려진 상태였지만 범행을 막지 못했습니다.
[아파트 관계자 : 살인사건 났다고 (들었어요.) 피가 막 엉겨 있었죠. (피 양이) 많았다니까요.]
그런데 피해자가 사건 발생 전 가해자에 대한 구속 수사를 강력하게 요청했던 사실이 뒤늦게 드러났습니다.
당시 피해자는 가해자를 고소하고, 지난 1년 동안의 피해 사례를 녹음한 녹취록 등 600쪽 분량의 자료도 제출했습니다.
하지만, 절차가 늦어지는 사이 납치 살해 사건이 벌어져 논란이 커진 상황.
앞으로 비슷한 피해를 막기 위한 제도 보완 요구가 커지고 있습니다.
실제로 지난해 남편이나 연인 등 친밀한 관계의 남성에 의해 살해되거나 살해 위험에 처한 피해자는 650명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는데,
이 가운데 17.5%는 이미 경찰에 신고했거나 피해자 보호 조치를 받고 있었다는 조사 결과도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분리 조치된 가해자들에 대한 감시와 대응을 더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이은의 / 변호사 : 가해자의 자율에 맡겨놓는 것들이 아무래도 아직 많다. 구속영장을 좀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법원도 (보복 우려를) 증거 인멸의 우려로 받아들여서 평가를 좀 더 적극적으로 하는 그런 토대가 필요한데….]
교제폭력을 다루는 별도의 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꾸준히 나옵니다.
교제폭력 피해자에게 스마트워치를 지급하거나 임시숙소를 안내할 수는 있지만, 가정폭력처벌법이나 스토킹 처벌법 적용 대상이 아니면 가해자를 격리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김은정 / 변호사 : 가해자의 자유를 제약해야 하는 거잖아요. 법적인 근거가 있어야 수사기관도 그 법률에 따라 가해자를 다른 곳으로 보낸다든지 접근 금지를 한다든지 (할 수 있는데….)]
언제까지 피해자가 보복을 두려워하며 숨어 지내야 하는 건지, 반복되는 범죄의 고리를 끊어달라는 호소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YTN 김이영입니다.
영상편집 : 최연호
디자인 : 임샛별
YTN 김이영 (kimyy0820@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