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철 '식중독 주의보'...집단급식·나들이 특히 주의

봄철 '식중독 주의보'...집단급식·나들이 특히 주의

2025.05.17. 오후 7:00.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최근 학교 급식소 등에서 식중독 의심증세 증가
5~6월, 살모넬라·병원성 대장균 등 증식 활발해져
식중독균, 열에 약해 육류 완전히 익혀 섭취해야
AD
[앵커]
최근 낮 기온이 크게 오르고 야외활동까지 늘면서 식중독 의심 사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5, 6월은 살모넬라나 캠필로박터 등 세균성 식중독이 주로 발생하는데, 철저한 개인위생 관리와 식중독 예방수칙 준수가 필요합니다.

백종규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최근 전북 전주에 있는 초등학교에서 학생 60여 명이 식중독 의심증세를 보였고,

충북 청주 한국교원대학교에서도 기숙사 식당에서 식사를 한 100여 명이 복통과 설사 증상으로 치료를 받았습니다.

이른 더위가 시작되면서 5월 둘째 주까지 학교 급식 등 집단급식소 식중독 의심 신고는 110건으로, 최근 3년 평균보다 31%나 늘었습니다.

음식물 대량 조리 시 필요한 양 만큼만 나눠 조리하고,

배식까지 시간을 최소화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하지만, 이 같은 조치가 지켜지지 않았을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기온 상승 시 병원성 미생물 증식이 활발해져 주의가 필요한데,

5~6월에는 살모넬라와 병원성 대장균, 캠필로박터 제주니 등에 의한 세균성 식중독이 많이 발생합니다.

[이 성 / 식품의약품안전처 식중독예방과장 (지난달, YTN 라디오) : 지난 5년간 식중독 발생 통계를 살펴보니까 4~6월에 발생한 식중독 건수가 1년 전체의 26%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살모넬라균과 병원성 대장균은 열에 약해 육류나 가금류를 속까지 완전히 익혀서 먹는 게 중요합니다.

특히 살모넬라 식중독을 예방하려면 달걀 사용 시 달걀 물이 다른 식재료나 조리기구에 묻지 않도록 하는 게 필수입니다.

캠필로박터 식중독은 생닭 등을 씻은 물이 튀어 교차 오염으로 발생하는 사례가 많습니다.

이 때문에 생닭을 만진 뒤 반드시 손을 씻고 다른 재료를 다뤄야 하고, 생닭을 냉장고에 보관할 때는 밀폐용기에 담아 제일 아래 칸에 두는 게 좋습니다.

나들이 철을 맞아 야외에서 식사하는 경우도 많은데, 음식물을 냉매가 있는 아이스박스에 보관하고 손 씻기 등 개인위생 관리를 철저히 지켜야 식중독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YTN 백종규입니다.


YTN 백종규 (jongkyu87@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