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사진 출처=연합뉴스
AD
5살에 어머니를 찾겠다며 집을 나갔다가 실종된 후 미국으로 입양된 한인이 40년 만에 친가족과 상봉했다.
18일 재외동포청과 경찰청, 아동권리보장원은 '무연고 해외입양인 유전자 검사 제도'를 통해 미국 입양 한인 벤자민 박(한국명 박동수·45) 씨가 어머니 이 모(83) 씨 등 친가족과 상봉했다고 밝혔다.
이 씨는 1980년 박 씨를 포함한 4남매를 경남 김해의 큰집에 잠시 맡겼다. 남매들은 1984년 어머니를 찾겠다며 집을 나갔다가 실종됐고, 박 씨는 보호 시설과 입양 기관인 대한사회복지회를 거쳐 이듬해 미국으로 입양됐다.
미국의 한 대학교에 재학 중이던 박 씨는 헤어진 가족을 찾기 위해 2001년 모국 땅을 찾았지만, 입양 기관을 통해서도 가족을 찾을 수 있는 단서를 발견하지 못했다.
박 씨는 2012년 다시 한국에 돌아와 어학당을 다니던 중 경찰서를 방문해 유전자를 등록했다. 하지만 당시에도 일치하는 사람을 발견하지 못했고, 2016년 다시 미국으로 돌아갔다.
한국에 거주하고 있던 박 씨의 친형이 2021년 10월 '실종된 두 남매를 찾고 싶다'고 실종 신고를 하면서 어머니의 유전자를 등록했다. 이듬해 8월 박 씨와 어머니가 친자 관계일 가능성이 크다는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감정이 나왔지만, 박 씨의 연락처는 계명대 어학당 재학 시 사용한 전자메일 주소 외에는 남은 게 없어 소재를 파악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이에 제주경찰청은 미제수사팀으로 사건을 이관해 집중 수사에 착수했다. 수사팀은 조사 끝에 박 씨의 최종 소재지를 파악했고, 지난 2월 최종적으로 박 씨가 이 씨의 친자임이 확인됐다.경찰청은 박 씨와 가족들의 상봉을 주선하고 일정 등을 조율해 이날 만남이 이뤄졌다. 박 씨가 당장 입국이 어려운 관계로 어머니가 입소한 요양 시설에서 화상으로 이뤄졌다.
박 씨는 "친가족과 재회하게 된 기쁨은 이루 말할 수 없다. 가족을 찾을 수 있게 도움을 준 한국 정부에 깊이 감사드린다"고 말했고, 친형은 "아직 찾지 못한 여동생 진미(47)도 찾을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호소했다.
YTN digital 이유나 (ly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18일 재외동포청과 경찰청, 아동권리보장원은 '무연고 해외입양인 유전자 검사 제도'를 통해 미국 입양 한인 벤자민 박(한국명 박동수·45) 씨가 어머니 이 모(83) 씨 등 친가족과 상봉했다고 밝혔다.
이 씨는 1980년 박 씨를 포함한 4남매를 경남 김해의 큰집에 잠시 맡겼다. 남매들은 1984년 어머니를 찾겠다며 집을 나갔다가 실종됐고, 박 씨는 보호 시설과 입양 기관인 대한사회복지회를 거쳐 이듬해 미국으로 입양됐다.
미국의 한 대학교에 재학 중이던 박 씨는 헤어진 가족을 찾기 위해 2001년 모국 땅을 찾았지만, 입양 기관을 통해서도 가족을 찾을 수 있는 단서를 발견하지 못했다.
박 씨는 2012년 다시 한국에 돌아와 어학당을 다니던 중 경찰서를 방문해 유전자를 등록했다. 하지만 당시에도 일치하는 사람을 발견하지 못했고, 2016년 다시 미국으로 돌아갔다.
한국에 거주하고 있던 박 씨의 친형이 2021년 10월 '실종된 두 남매를 찾고 싶다'고 실종 신고를 하면서 어머니의 유전자를 등록했다. 이듬해 8월 박 씨와 어머니가 친자 관계일 가능성이 크다는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감정이 나왔지만, 박 씨의 연락처는 계명대 어학당 재학 시 사용한 전자메일 주소 외에는 남은 게 없어 소재를 파악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이에 제주경찰청은 미제수사팀으로 사건을 이관해 집중 수사에 착수했다. 수사팀은 조사 끝에 박 씨의 최종 소재지를 파악했고, 지난 2월 최종적으로 박 씨가 이 씨의 친자임이 확인됐다.경찰청은 박 씨와 가족들의 상봉을 주선하고 일정 등을 조율해 이날 만남이 이뤄졌다. 박 씨가 당장 입국이 어려운 관계로 어머니가 입소한 요양 시설에서 화상으로 이뤄졌다.
박 씨는 "친가족과 재회하게 된 기쁨은 이루 말할 수 없다. 가족을 찾을 수 있게 도움을 준 한국 정부에 깊이 감사드린다"고 말했고, 친형은 "아직 찾지 못한 여동생 진미(47)도 찾을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호소했다.
YTN digital 이유나 (ly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