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나이트] 계속되는 폭우...산사태 주의보

[뉴스나이트] 계속되는 폭우...산사태 주의보

2022.08.09. 오후 10:10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 진행 : 오동건 앵커
■ 출연 : 이창우 / 산림과학원 과장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시 'YTN 뉴스나이트'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조금 전에 전해드린 대로 집중호우 여파에 전국 곳곳에 산사태 예보가 발령되어 있습니다. 서울과 인천, 경기도 지역 산사태 주의가 요구되는데요. 이창우 산림과학원 과장과 관련 내용 살펴보겠습니다. 어서 오세요. 먼저 산사태 예보가 내려진 곳을 조금 정리해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창우]
지금 현재 산사태 예보가 발령된 지역은 서울, 인천, 경기, 강원, 그리고 충북, 충남 총 6개 지역이 되겠습니다.

[앵커]
지금 비가 내리는 곳에 산이 있다 그러면 대부분 산사태 경보가 내려졌다, 이렇게 봐도 될까요?

[이창우]
그렇습니다.

[앵커]
그러면 내가 사는 곳에 산이 있는 사람이라면 나는 지금 완전히 안전하지 않다, 이렇게 생각하는 게 맞을까요?

[이창우]
지금 예보, 주의보 이런 걸 항상 주의하시고 대비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앵커]
저희가 보통 산사태 주의보, 산사태 경보 이런 말을 쓰지 않습니까? 정확하게 이 예비경보는 어떤 기준으로 내려지게 되는 겁니까?

[이창우]
산사태 경보는 산사태 주의보, 경보 이렇게 두 가지 단계로 나눠져 있습니다. 저희가 기상청에서 강우 정보를 수집하고 산림청에서 운영하고 있는 산사태 정보 시스템에서 강우 정보를 분석을 하고 그리고 이러한 지역을 대상으로 산사태 정보, 강우 정보를 분석한 이후에 산림청에서 시군구 단위로 산사태 발생 가능성이 80% 때 주의보 그리고 100%일 때 경보를 발령하고 있습니다.

[앵커]
지금 위험을 퍼센트로 나타낸다면 물론 정확하지는 않겠지만 어느 정도?

[이창우]
주의보 지역은 80% 이상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고요. 경보 지역은 이미 100%를 넘어선 지역이다 이렇게 보시는 게 맞을 것 같습니다.

[앵커]
그러니까 저희가 항상 경보를 접하기 때문에 괜찮겠지라고 생각할 정도가 아닌 거네요. 80~100%의 산사태 위험이 있다는 건. 산사태에도 정도가 있잖아요. 그러면 다시 한 번 정리해 드리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다시 한 번 지금 경보가 내려진 지역 한번만 더 정리해 보죠.

[이창우]
서울 그리고 경기, 인천, 강원 지역과 충북, 충남 지역입니다.

[앵커]
조금 전에 자세히 전해드린 것처럼 서울 지역은 노원구, 도봉구 쪽에 자세하게 내려져 있고 그러니까 본인이 사는 지역에 산이 좀 많다, 지금 그 상황에서는 80~100%의 산사태 위험이 있다. 위험에 대해서는 조금 더 강조해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지금 우면산 사태를 얘기를 저희들이 조금 전에 리포트로 전해 드렸고 이 지역도 상당히 위험하기 때문에 여쭤보고 싶은데요. 조금 전에 보면 사방댐이 있었고 막 나무들이 쓰러져 있고 물이 계속 내려오는 모습들이 나오고 있어요. 우면산 현재는 어떻게 봐야 되나요? 아직도 위험하다고 봐야 하나요?

[이창우]
기본적으로 우면산은 다른 산에 비해서 토심이 깊습니다. 그러다 보니까 붕괴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많은 토사가 한꺼번에 도심을 덮을 수 있는 위험성을 가지고 있고요. 특히 우면산 같은 경우에 산중턱에 도로를 건설하고 아파트를 건설했기 때문에 산사태가 발생하게 되면 내려오는 시간이 짧기 때문에 많은 피해가 예상되고 우려가 되는 지역입니다. 단 2011년 우면산 산사태를 겪으면서 주요 위험 계곡에 사방댐과 같은 사방시설들을 많이 설치를 하고 있습니다.

[앵커]
그러니까 지금 물을 막는 댐이라는 것이 아니라 모래라든지 이런 것들이 내려오는 것을 막는 댐인 거죠?

[이창우]
그렇습니다. 사방댐은 토사나 돌이나 유목, 떠내려오는 나무들을 막는 구조물입니다.

[앵커]
그렇다면 저런 사방댐이 없었다면 이번 우면산의 피해는 더 컸을 수도 있을까요?

[이창우]
또 한 번 피해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고 보고 있습니다. 따라서 지금 우면산 산사태가 발생할 당시보다는 상대적으로 상당히 위험이 줄어들어 있는 상태다, 이렇게 볼 수 있겠습니다.

[앵커]
지금도 영상을 보면 물이랑 흙이, 지금 흙탕물이라고 표현하겠습니다. 토사가 흘러내리는 게 보이고요. 지금 보도되는 과정 속에서도 제보가 들어오는 얘기는 우면산에서도 토사가 흘러내리고 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지금 산사태 어느 정도 위험하다고 볼 수 있을까요?

[이창우]
지금 상당히 산사태는 산사태 주의보에서 경보 수준을 이미 넘고 있는 상황이고 언제 어디서 산사태가 발생해도 이상하지 않을 상황이라고 보실 수 있고요. 지금 산사태가 조금조금씩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토사가 흘러내려오는 것이거든요. 그런 토사가 내려왔을 때 아래쪽에 사방댐이 그 토사를 다 막아주고 있다, 이렇게 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앵커]
지금도 우려스러운 상황인데 그럼 이 지역에 사시는 분들은 어떻게 해야 되나요?

[이창우]
가급적 산과 떨어진 곳에 안전한 대피소에 대피하시는 게 가장 현명한 방법인 것 같습니다.

[앵커]
우면산 말고도 사실 서울시내에는 작은 언덕이나 이런 곳들이 많은데 그렇다면 여기도 위험하다고 볼 수 있을까요?

[이창우]
지금 유례없이 집중호우가 계속되고 있기 때문에 사실 우면산뿐만 아니라 서울 전 지역의 산 인근에는 산사태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고 보시는 게 맞을 것 같습니다. 특히 폭우로 인해서 산의 흙이 많이 젖어 있는 상황, 포화된 상황이기 때문에 산사태가 어디서 발생해도 이상하지 않을 그런 환경이 조성돼 있다, 이렇게 보시는 게 맞을 것 같고요.

특히 도시 인근에는 작은 산이라 할지라도 사실 개발이나 훼손 상태가 상당히 많이 진행된 곳이 많고 인근에는 가옥이나 주택이 많기 때문에 곧바로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앵커]
공사한 곳 어떻습니까? 이 산을 막 깎았어요. 깎고 집을 짓기 위해서 막 깎아놓은 곳들 있잖아요. 이런 곳 어떻습니까?

[이창우]
당연히 위험한 곳이죠. 예를 들면 이렇게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산을 깎아서 공사를 했다 했을 때 기본적으로 안전공사를 철저히 한다면 깎기 전 산보다는 더 안전한 상태가 돼야 되겠죠. 그걸 목표로 저희가 공사를 하고 있습니다마는 만에 하나 그런 공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면 자연적인 상태의 산보다는 조금 더 위험하다고 보시는 게 맞을 것 같습니다.

[앵커]
이런 곳이 많잖아요. 산을 깎았습니다. 그리고 거기를 시멘트로 막았어요. 이런 곳은 어떻습니까? 이 시멘트가 버틸 수 있느냐도 궁금하거든요.

[이창우]
아까 말씀하셨듯이 시멘트를 발랐다는 얘기는 개발을 했을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고 볼 수 있고요. 때문에 상당히 경사가 높다고 보는 게 일반적일 것 같습니다. 그런데 그런 지역에는 아무래도 경사가 급하기 때문에 산사태 위험이 항상 있는 상황이고요.

이런 산 같은 경우에 산 부위에 비가 오게 되면 상부 사면에 물이 침투하게 되겠죠. 그러면 사면 자체가 갖고 있는 흙의 무게, 토압이 상당히 높아져 있는 상태에서 물의 수압까지 가해지기 때문에 산사태 발생 가능성이 더욱 높아질 수 있습니다.

특히 이러한 사면에 시멘트가 발린 곳에 곳곳에 물샘 현상들이 나타나든가 이런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 상당히 수압이 많이 걸려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더더욱 위험하고 그런 사면이 발견됐을 때는 접근을 하지 마시고 즉시 신고하시고 대피하시는 게 바람직할 것 같습니다.

[앵커]
그렇다면 지금 이 상황에서 혹시 비가 조금 소강상태라면 경사지에 시멘트를 발라놓은 곳 주변에 계신 분들은 한번 보고 물이 새는지 보는 것도 방법이겠군요. 그때는 뭔가 하지 말고 무조건 자리를 피하는 것이 중요하겠군요. 지금 산이 많은 강원도나 경기 남부에도 지금 비 소식이 계속해서 있는데 이곳에 계신 분들 어떤 점에 유의를 하면 좋을까요?

[이창우]
지금 이렇게 많은 비가 내리고 있는 상황에서는 사실 도심이나 산지나 산촌이나 크게 유의할 점은 크게 차이가 없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특히 산사태 취약지역이라든지 산 인근에 사시는 주민들은 주변의 대피소를 충분히 파악하시고 대피 경로도 미리 파악하시고 실제 산사태 예, 경보가 발령됐을 때는 신속히 대피하시도록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일 것 같습니다.

[앵커]
보통 요즘 아파트도 많이 사시잖아요. 그리고 빌라도 마찬가지고 설마 우리 집이 무너지기야 하겠어, 이런 생각이 많이 있거든요. 산사태의 위력이라는 것이 어느 정도입니까?

[이창우]
실제 산사태는 자연 사면에서 발생하는 산사태는 산사태 자체로는 큰 피해를 미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산꼭대기에서 산사태가 발생하면 실제 계곡을 타고 내려오지 않는 한 피해를 미치지 않습니다. 그런데 산사태가 발생해서 계곡까지 내려와서 계곡의 흙과 돌과 같이 섞여서 내려오는 걸 학술적으로는 토석류라고 하는데요. 토석류 같은 경우에는 위력이 수십 톤도 되고 시속도 거의 50~60km까지 산 중턱에서는 속도를 내고 내려오고 있습니다.

[앵커]
건물이 무너질 수도 있나요?

[이창우]
그렇습니다. 상당히 위험한 상황이고요. 우면산 산사태 같은 경우에도 사실은 아래쪽 내면 아파트에 상당히 피해가 컸습니다. 좀 작은 아파트나 가옥 같은 경우는 파괴가 되고 매몰될 수 있는 그런 위험은 항상 도사리고 있다고 보시는 게 맞을 것 같습니다.

[앵커]
이런 산사태의 경우 미리 대처할 수 있다면 가장 좋을 텐데 우리가 미리 알아볼 수 있는 징후나 이런 건 없을까요?

[이창우]
산사태도 발생하기 전에 몇 가지 사전 징후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땅에서 웅웅 거리는 소리가 난다든지 사면에서 샘물이 솟는다든지 또한 맑은 물이 갑자기 흙탕물로 변한다든지 이런 것들이 산사태의 징후일 수 있고요. 또 한 가지는 바람이 불지도 않는데 나무가 흔들린다든지 사면에 낙석이나 돌들이 떨어진다든지 이런 것들이 산사태 사전 징후라고 할 수 있고 이런 징후가 발생한다면 언제 산사태가 발생해도 이상하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에 관계기관에 신고를 하시고 즉시 대피하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앵커]
지금 말씀해 주신 것들이 밖에서 산에 있을 때는 느낄 수 있을 것 같아요. 감지가 될 수 있을 것 같은데 집에 앉아 있을 때는 어려운 것 아닌가요?

[이창우]
집에서는 사실은 그런 정보를 언론이나 산사태 예, 경보 정보에 귀를 기울이시면서 정보를 취득하시는 게 가장 바람직할 것 같습니다.

[앵커]
조금 전에도 말씀드렸지만 내 주변에 산이 있고 가까이 있고 위험할 수 있다면 어떻게든 조금 피해서 계시는 것이 지금으로서는 가장 좋을 것 같은데요. 이후에 사고가 났다는 가정 아래 사고가 났습니다. 그다음에는 정도가 있을 거예요. 산사태가 심한 곳도 있고 약한 곳도 있을 것입니다. 먼저 조금 약하게 우리 집으로 토사가 내려오는 걸 느꼈다, 이 정도였을 때는 어떻게 해야 될까요?

[이창우]
사전에 대피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인데요. 미처 대피하기 전에 산사태가 발생했다면 산사태가 흙이 흘러내려온 방향의 반대 방향이나 아니면 수직 방향으로 가장 가까운 높은 곳으로 대피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앵커]
내려오는 방향이 있는데 그쪽으로 따라 올라가서도 안 되고 그걸 피해서 계속 같이 달려가도 안 되고 옆으로 가라는 거죠?

[이창우]
그래서 가장 높은 곳으로 대피하시는 게 가장 좋을 것 같고요. 또 그 외에 아까 말씀드렸던 토석류 같은 경우에는 돌하고 큰 바위들이 같이 내려오기 때문에 기타 나무 같은 잔해물들이 같이 몰려오는 경우가 있는데 지반이 산지에 있는 경우에는 좀 더 나무가 빽빽한 곳으로 대피하시든지 아니면 조금 막을 수 있는 구조물이 있는 뒤쪽으로 대피하시는 게 좋을 것 같고요. 특히 산사태에 고립이 됐다면 산림청에 산림항공구조대라든지 소방서에 연락해서 구조요청을 하시든지.

[앵커]
전화번호를 알려주실 수 있나요? 일단 119로 전화하시면 되죠?

[이창우]
그렇습니다. 별도로 저희가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앵커]
119에 전화하면 대부분 연결돼서 조치를 받을 수 있는 거죠?

[이창우]
그렇습니다.

[앵커]
밤사이 더 많은 비가 이어질 것으로 예보되어 있는데요. 계속해서 기상 상황 확인하셔야 될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이창우 산림과학원 과장과 관련 내용 살펴봤습니다. 잘 들었습니다. 고맙습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