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사람인
AD
업무 인수·인계 없이 갑자기 직장을 그만두는 '비매너 퇴사'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이 기업 2,264개사를 대상으로 '비매너 퇴사자 현황'을 조사한 결과, 10곳 중 9곳(86.6%)이 비매너 퇴사자가 있었다고 밝혔다. 이는 사람인의 지난 2018년과 2019년 같은 조사 결과 대비 각각 14.3%p, 1.4%p 상승한 수치다.
이들 기업 중 42.7%는 '비매너 퇴사자가 증가하고 있다'고 답해 '줄었다'는 응답(11.2%)의 4배 이상이었다. 전체 퇴사 직원 중 비매너 퇴사자 비율은 평균 22.3%로 집계됐다.
기업들이 뽑은 비매너 퇴사 유형은 '퇴사일이 얼마 안 남긴 갑작스러운 퇴사 통보'(34.1%)가 1위에 올랐다. 다음으로 '인수·인계 불성실'(18.9%), '근태관리, 업무 태도 불성실'(10.6%), '동료 직원들에게 퇴사, 이직 권유'(9.6%), '회사 기밀, 내부 자료 등을 유출'(7%) 등의 순이었다.
비매너 퇴사자가 많은 직급은 ‘사원급’(70.4%)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어 '대리급'(18.7%), '과장급'(6.7%), '부장급 이상'(2.6%), '차장급'(1.6%)의 순이었다.
이러한 비매너 퇴사자로 인해 발생한 손실은 '팀 업무 진행에 차질'(72.2%, 복수 응답), '구성원들의 사기 저하'(58.1%), '연쇄 퇴사 초래'(18.4%), '기업 이미지 실추'(15.7%), '내부 기밀 유출'(10.8%) 등이었다.
임민욱 사람인 팀장은 "비매너 퇴사는 회사에 손해를 끼치는 것은 물론, 자신의 평판 관리와 추후 이직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지양해야 한다"며 "대안을 마련할 수 있도록 시간적인 여유를 두고 퇴사 의사를 밝히고, 인수인계를 충실히 하는 것 등 기본적인 것만 지켜도 좋게 마무리를 할 수 있다"고 말했다.
YTN digital 이은비 (eunbi@ytnplus.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26일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이 기업 2,264개사를 대상으로 '비매너 퇴사자 현황'을 조사한 결과, 10곳 중 9곳(86.6%)이 비매너 퇴사자가 있었다고 밝혔다. 이는 사람인의 지난 2018년과 2019년 같은 조사 결과 대비 각각 14.3%p, 1.4%p 상승한 수치다.
이들 기업 중 42.7%는 '비매너 퇴사자가 증가하고 있다'고 답해 '줄었다'는 응답(11.2%)의 4배 이상이었다. 전체 퇴사 직원 중 비매너 퇴사자 비율은 평균 22.3%로 집계됐다.
기업들이 뽑은 비매너 퇴사 유형은 '퇴사일이 얼마 안 남긴 갑작스러운 퇴사 통보'(34.1%)가 1위에 올랐다. 다음으로 '인수·인계 불성실'(18.9%), '근태관리, 업무 태도 불성실'(10.6%), '동료 직원들에게 퇴사, 이직 권유'(9.6%), '회사 기밀, 내부 자료 등을 유출'(7%) 등의 순이었다.
비매너 퇴사자가 많은 직급은 ‘사원급’(70.4%)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어 '대리급'(18.7%), '과장급'(6.7%), '부장급 이상'(2.6%), '차장급'(1.6%)의 순이었다.
이러한 비매너 퇴사자로 인해 발생한 손실은 '팀 업무 진행에 차질'(72.2%, 복수 응답), '구성원들의 사기 저하'(58.1%), '연쇄 퇴사 초래'(18.4%), '기업 이미지 실추'(15.7%), '내부 기밀 유출'(10.8%) 등이었다.
임민욱 사람인 팀장은 "비매너 퇴사는 회사에 손해를 끼치는 것은 물론, 자신의 평판 관리와 추후 이직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지양해야 한다"며 "대안을 마련할 수 있도록 시간적인 여유를 두고 퇴사 의사를 밝히고, 인수인계를 충실히 하는 것 등 기본적인 것만 지켜도 좋게 마무리를 할 수 있다"고 말했다.
YTN digital 이은비 (eunbi@ytnplus.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