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코로나19 여파로 지난달 9일 온라인 개학을 하고 원격수업을 한 지 한 달이 지났습니다.
하지만 원격수업을 실시간 쌍방향으로 한 교사는 5%에 그치는 등 보완할 점도 많습니다.
김종균 기자입니다.
[기자]
원격수업 방식은 기대만큼 다양하지 않았습니다.
교육부가 교사 22만4천여 명을 상대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한 결과, 지난 한 달간 실시간 쌍방향으로 원격수업을 한 교사는 5%뿐입니다.
독후감 등 숙제를 내주는 '과제 수행형'이 10%, EBS 강의 등을 보는 '콘텐츠 활용형'이 40%였습니다.
나머지 43%는 혼합형인데 과제형과 콘텐츠형을 섞은 교사가 대다수였습니다.
두 가지 유형을 섞었다는 교사 중에서도 그나마 실시간 쌍방향 수업을 활용했다는 비율은 11%에 불과합니다.
원격수업을 하면서 교사들이 가장 어려웠던 점은 출석 체크와 수업 독려였습니다.
원격수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학습콘텐츠 저작권 문제를 우선 해결해야 한다는 교사가 40%로 가장 많았습니다.
앞으로도 원격수업을 활용할 생각이냐는 질문에는 교사 56%가 유보적·부정적으로 답했습니다.
오는 13일 고3부터 등교수업이 시작되더라도 학교에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오면 원격수업으로 전환됩니다.
[유은혜 /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지난 4일) : 검사를 통해 확진환자가 나타난 학교는 보건당국의 역학조사를 통해 바로 조치가 취해질 것이며, 학교는 원격수업으로 전환하도록 준비할 것입니다.]
교육부는 원격수업을 비상용이 아닌 일상적인 학교 교육과정의 한 부분으로 자리 잡도록 할 계획이지만 아직 갈 길이 멀어 보입니다.
YTN 김종균[chongkim@ytn.co.kr]입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YTN을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온라인 제보] www.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코로나19 여파로 지난달 9일 온라인 개학을 하고 원격수업을 한 지 한 달이 지났습니다.
하지만 원격수업을 실시간 쌍방향으로 한 교사는 5%에 그치는 등 보완할 점도 많습니다.
김종균 기자입니다.
[기자]
원격수업 방식은 기대만큼 다양하지 않았습니다.
교육부가 교사 22만4천여 명을 상대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한 결과, 지난 한 달간 실시간 쌍방향으로 원격수업을 한 교사는 5%뿐입니다.
독후감 등 숙제를 내주는 '과제 수행형'이 10%, EBS 강의 등을 보는 '콘텐츠 활용형'이 40%였습니다.
나머지 43%는 혼합형인데 과제형과 콘텐츠형을 섞은 교사가 대다수였습니다.
두 가지 유형을 섞었다는 교사 중에서도 그나마 실시간 쌍방향 수업을 활용했다는 비율은 11%에 불과합니다.
원격수업을 하면서 교사들이 가장 어려웠던 점은 출석 체크와 수업 독려였습니다.
원격수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학습콘텐츠 저작권 문제를 우선 해결해야 한다는 교사가 40%로 가장 많았습니다.
앞으로도 원격수업을 활용할 생각이냐는 질문에는 교사 56%가 유보적·부정적으로 답했습니다.
오는 13일 고3부터 등교수업이 시작되더라도 학교에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오면 원격수업으로 전환됩니다.
[유은혜 /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지난 4일) : 검사를 통해 확진환자가 나타난 학교는 보건당국의 역학조사를 통해 바로 조치가 취해질 것이며, 학교는 원격수업으로 전환하도록 준비할 것입니다.]
교육부는 원격수업을 비상용이 아닌 일상적인 학교 교육과정의 한 부분으로 자리 잡도록 할 계획이지만 아직 갈 길이 멀어 보입니다.
YTN 김종균[chongkim@ytn.co.kr]입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YTN을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온라인 제보] www.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