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사진 출처 = YTN
AD
코로나19로 마스크 수요가 급증하고 있지만 공적 판매처에서도 허탕을 치는 일이 늘면서 국민 불만이 쏟아지고 있다.
정부는 지난달 26일부터 품귀현상을 빚는 마스크의 긴급수급조정조치를 발동하고 대구·경북을 시작으로 전국 우체국, 농협 하나로마트, 약국 등에서 마스크를 시중보다 저렴하게 판매하도록 했다.
이에 각 지역 공적 판매처에는 마스크를 사기 위한 긴 줄이 수 시간 이어졌다. 하지만 줄을 서고도 마스크를 사지 못하는 경우가 속출했다.
지난 1일에는 총 203만여 장의 공적 마스크가 공급됐으나 약국과 하나로마트 등에서는 약 5분 이내로 다 팔려나갔다. 또 휴일에 우체국과 일부 약국, 하나로마트가 영업하지 않으면서 발길을 돌리는 시민들도 있었다.
부산 기장군처럼 감염 확산을 막기 위해 통, 반장이 관내 7만 가구를 방문해 마스크를 무료 배부한 사례도 있지만, 이를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 주민들은 공적 판매처에 의존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에 마스크를 사지 못한 시민들의 불만이 터져 나왔고 일각에서는 공적 마스크 판매 방법을 바꾸자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특히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마스크를 주민센터에서 공급해달라는 청원이 잇따랐다.
지난 28일 한 청원인은 "이런 비상시국에 마스크를 제때 공급하지 못해 새벽부터 줄을 선다"라며 "주민등록등본 세대명으로 주민센터를 통해 가족 수 대로 공급해달라. 공공기관에서 판매할 수 없다면 주민세에 얹어서 과세해달라"라고 요구했다. 여기에는 2일 오전 10시 현재 3만 3천여 명이 동의했다.
또 다른 청원인은 "세대 구성원 수에 맞게 주민센터 통해서 판매해달라"라며 "줄을 서면서 (시민들이) 밀집되어 전염병 확산이 더 우려된다"라고 지적했다.
이뿐 아니라 "국민들 마스크 찾아 삼만리 고생시키기보다는 주민센터에서 세대원 수에 맞춰 균등한 개수로 배부해달라" 등의 내용으로 관련 청원이 10개가량 이어졌다.
반면 자신을 경북 문경의 현직 약사라고 소개한 청원인은 마스크를 약국에서 주민등록번호로 사도록 하자고 제안했다.
지난 1일 글을 올린 이 청원인은 "동사무소 인력이 매일 소모되는 소비재를 분배하기는 쉽지 않고 주간에 가지 못하는 사람들은 분배받기 어려울 수 있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약국에는 다른 약국에서 특정 약을 조제받으면 이를 확인하고 중복 투약을 방지하는 시스템이 있다"라며 "약국에서 주민등록번호로 일주일에 구매하는 개수를 등록해 사재기할 수 없도록 한다면 불안해할 필요도, 줄 설 필요도 없고 특정 지역에 몰릴 필요도 없다"라고 설명했다. 이 청원 역시 올라온 지 하루 만인 2일 오전 10시 현재 3만 명 이상에게 동의를 받았다.
한편 주말 사이에도 마스크 대란이 계속되자 지난 1일 오후 문재인 대통령은 홍남기 경제부총리와 이의경 식품의약품안전처장 등에게 "국민이 마스크를 사는 데 어려움이 있다"라며 "정부 담당자들이 직접 현장을 방문해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하라. 마스크 수요와 공급에 대한 정확한 상황을 국민에게 알리라"라고 지시했다.
YTN PLUS 문지영 기자(moon@ytnplus.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정부는 지난달 26일부터 품귀현상을 빚는 마스크의 긴급수급조정조치를 발동하고 대구·경북을 시작으로 전국 우체국, 농협 하나로마트, 약국 등에서 마스크를 시중보다 저렴하게 판매하도록 했다.
이에 각 지역 공적 판매처에는 마스크를 사기 위한 긴 줄이 수 시간 이어졌다. 하지만 줄을 서고도 마스크를 사지 못하는 경우가 속출했다.
지난 1일에는 총 203만여 장의 공적 마스크가 공급됐으나 약국과 하나로마트 등에서는 약 5분 이내로 다 팔려나갔다. 또 휴일에 우체국과 일부 약국, 하나로마트가 영업하지 않으면서 발길을 돌리는 시민들도 있었다.
부산 기장군처럼 감염 확산을 막기 위해 통, 반장이 관내 7만 가구를 방문해 마스크를 무료 배부한 사례도 있지만, 이를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 주민들은 공적 판매처에 의존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에 마스크를 사지 못한 시민들의 불만이 터져 나왔고 일각에서는 공적 마스크 판매 방법을 바꾸자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사진 출처 =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
특히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마스크를 주민센터에서 공급해달라는 청원이 잇따랐다.
지난 28일 한 청원인은 "이런 비상시국에 마스크를 제때 공급하지 못해 새벽부터 줄을 선다"라며 "주민등록등본 세대명으로 주민센터를 통해 가족 수 대로 공급해달라. 공공기관에서 판매할 수 없다면 주민세에 얹어서 과세해달라"라고 요구했다. 여기에는 2일 오전 10시 현재 3만 3천여 명이 동의했다.
또 다른 청원인은 "세대 구성원 수에 맞게 주민센터 통해서 판매해달라"라며 "줄을 서면서 (시민들이) 밀집되어 전염병 확산이 더 우려된다"라고 지적했다.
이뿐 아니라 "국민들 마스크 찾아 삼만리 고생시키기보다는 주민센터에서 세대원 수에 맞춰 균등한 개수로 배부해달라" 등의 내용으로 관련 청원이 10개가량 이어졌다.
사진 출처 =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
반면 자신을 경북 문경의 현직 약사라고 소개한 청원인은 마스크를 약국에서 주민등록번호로 사도록 하자고 제안했다.
지난 1일 글을 올린 이 청원인은 "동사무소 인력이 매일 소모되는 소비재를 분배하기는 쉽지 않고 주간에 가지 못하는 사람들은 분배받기 어려울 수 있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약국에는 다른 약국에서 특정 약을 조제받으면 이를 확인하고 중복 투약을 방지하는 시스템이 있다"라며 "약국에서 주민등록번호로 일주일에 구매하는 개수를 등록해 사재기할 수 없도록 한다면 불안해할 필요도, 줄 설 필요도 없고 특정 지역에 몰릴 필요도 없다"라고 설명했다. 이 청원 역시 올라온 지 하루 만인 2일 오전 10시 현재 3만 명 이상에게 동의를 받았다.
한편 주말 사이에도 마스크 대란이 계속되자 지난 1일 오후 문재인 대통령은 홍남기 경제부총리와 이의경 식품의약품안전처장 등에게 "국민이 마스크를 사는 데 어려움이 있다"라며 "정부 담당자들이 직접 현장을 방문해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하라. 마스크 수요와 공급에 대한 정확한 상황을 국민에게 알리라"라고 지시했다.
YTN PLUS 문지영 기자(moon@ytnplus.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