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리포트] '질병 수사' 역학조사관 태부족...메르스 교훈 잊었나

[앵커리포트] '질병 수사' 역학조사관 태부족...메르스 교훈 잊었나

2020.02.03. 오후 11:01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감염병이 발생했을 때 방역 최전선에서 환자의 동선을 확인하고 접촉자를 걸러내는 역할, 바로 역학조사관의 일인데요.

역학조사관은 환자를 만나고 휴대전화 GPS 추적과 신용카드 결제 정보 등을 통해 환자의 동선을 파악해 접촉자들의 격리 여부를 결정하죠.

감염병 확산을 막는 핵심 역할을 맡아 '질병 수사관'으로도 불리지만, 현장에서 투입되는 인원은 턱없이 모자란 상황입니다.

현재 전국의 질병관리본부 소속 중앙 역학조사관은 77명입니다.

이 가운데 역학 업무 전문성을 인정받은 전문임기제 인력은 32명에 불과한데요.

메르스 사태에선 전국 역학조사관이 34명에 불과했던 것에 비하면, 2배 가까이 늘어난 수준이지만 전문가들은 여전히 부족하다고 지적합니다.

[기동민 / 더불어민주당 의원 (지난달 31일) : 메르스 당시 비교할 수 없지만 그리고 정부가 미진한 부분들도 있겠지만 지금 어느 정도 대체하고 있다고 보십니까?]

[기모란 / 국립암센터 교수 (지난달 31일) : (메르스 사태를 겪으면서) 달라진 게 실행에 옮겨지지 않은 것들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역학조사관을 충원하기로 하고 법도 바꾸고 인력 TO도 바꿨지만 실제로는 다 뽑지 못했습니다.]

지역 상황은 더 열악합니다

지난 19대 국회는 이른바 메르스 법을 통과시켜 중앙 외 17개 시도에도 각 2명 이상 역학조사관을 두기로 했는데요.

하지만 현재 각 지자체에 역학조사관이 모두 53명 있지만, 인천과 대구, 울산 등 3곳은 1명만 두고 있었습니다.

정부도 역학조사관의 인력 부족을 인정하며, 우선 대학 등 민간 차원의 지원을 받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정은경 / 질병관리본부 본부장 : 중앙과 지방이 적절하게 업무를 나눠야 중앙이 역학조사를 하기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해서, 민간의 지원을 받아서 진행하는 그런 방식으로 확대할 계획을 세우고 있습니다.]

앞으로 확진 환자가 늘어나게 된다면 인력 부족 현상은 더 심화할 수밖에 없습니다.

역학조사관은 2년간 교육을 받고 일을 배워야 하는 만큼, 짧은 시간 안에 대체 인력을 구하기도 쉽지 않은데요.

각 지자체에선 여전히 충원 목소리가 높은 만큼, 국가 차원에서 역학조사관과 검역 전문 인력 양성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차정윤 [jycha@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