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 진행 : 정병진 앵커
■ 전화연결 : 유병운 / 목격자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앵커]
불이 난 지역은 숲과 들, 야트막한 산이 복합적으로 있는 곳으로 전해졌습니다.
비무장지대여서 국방부는 물론 연천군, 소방당국도 제대로 대처를 하지는 못하고 현재 불이 번지지 않도록 대비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합니다.
현장에서 상황을 목격한 시민을 전화로 연결해서 좀 더 내용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유병운 선생님 연결돼 계신지요?
[인터뷰]
네.
[앵커]
지금 계신 곳은 어딘가요?
[인터뷰]
연천군 장남리 부분에 있습니다.
[앵커]
지금 지점에서는 불이 난 곳이 보입니까?
[인터뷰]
네, 정확히 보이고 있습니다.
[앵커]
지금 야간이고요. 불이 났으면 환하게 보일 텐데 불이 난 상황이 아직도 잘 보이고 있습니까?
[인터뷰]
네, 현재 계속 불이 진행되고 있고요. 약간 잔불이 보일 때도 있고 안 보일 때도 있고 하다가 계속 진행을 하고 있습니다.
[앵커]
저희가 지금 불 소식에 좀 예민한 것은 아무래도 이번 강원도 산불이 워낙 컸기 때문에, 가뜩이나 지금 손 쓰기 참 어려운, 까다로운 지역인 DMZ 내에서 불이 났단 말이죠. 이것 때문에 지금 어떻게 상황이 흘러가는 것인가 지켜봐야 될 것 같은데 선생님께서 보시기에 지금 불이 확대되는 것 같습니까, 아니면 점점 진화되고 있는 것 같습니까?
[인터뷰]
현재 상황은 확대가 계속 진행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앵커]
불이 점점 커지는 것 같은가요?
[인터뷰]
네.
[앵커]
그렇다면 지금 제가 방송 들어가기 전에 소방관계자하고 얘기를 해 보니까 육안으로 봤을 때는 대략 현장에서는 10km 구간 정도 불이 번져 있다고 얘기가 들어왔는데 그 이상으로 보십니까? 아니면 그 정도로 보십니까?
[인터뷰]
지금 제 육안으로 봤을 때는 킬로미터 수는 제가 정확히 잴 수 없고요. 제가 제보한 사진이 있을 텐데 그 부분을 보면 산등성이 부분에 대략 눈으로 봤을 때 산등성이 온통 빨갛게 저녁 노을처럼 보이고 있습니다.
[앵커]
저희도 지금 화면으로 나가고 있는 게 바로 제보 화면인 것 같은데요. 지금 불이 난 지점에서 또 하나 특징적인 것이 DMZ 내에 있다 보니까 우리 시청자분께서 연락을 주실 때 뭔가 폭발음 같은 게 들렸다라고 하는데 그건 무슨 말입니까?
[인터뷰]
지금도 현재 들리고 있습니다. 지금 방금 전에 들렸고요. 제 짐작에는 비무장지대에 있는 지뢰 같은 것이 폭발하고 있지 않나 그런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앵커]
그 폭발음이 들렸다는 소리가 어느 정도로 큰 정도일까요?
[인터뷰]
지금 육안으로 봤을 때 수십 킬로미터 정도 떨어져 있는데 여기서도 터질 때는 깜짝깜짝 놀랄 정도로 폭발음이 들리고 있습니다.
[앵커]
현장에서 저희 소방당국이 전해온 바로는 아직 공식적으로는 폭발음이 확인된 건 없다 이렇게 입장을 밝혀왔는데. 목격하신 유병운 선생님께서는 지금도 폭발음이 들렸다, 이런 말씀이신 거죠?
[인터뷰]
네, 방금 전에도 두 차례 들렸습니다.
[앵커]
두 차례가 들렸다면 이게 저녁 6시부터 시작된 산불인데, 그 이전부터 시작돼서 6시에 한 번 더, 7시가 다 돼서 한 번 더 제보가 들어와서 소방당국도 출동한 상황인데. 어느 정도 간격으로, 가끔 폭발음이 난 겁니까? 아니면 계속 폭발음이 들렸던 겁니까?
[인터뷰]
저희도 해 질 무렵부터 발견했는데 초반에는 이게 저녁노을이라 생각하고 지나갔는데 연기와 함께 일어나더라고요. 그때부터 폭발음이 들리기 시작했는데 그때 군부대가 훈련 중이구나라고 생각을 했는데 이게 산불이란 걸 확신하게 되고 그 부분이 비무장지대라는 걸 알게 되면서 제가 어림짐작을 한 거죠.
[앵커]
아직까지는 추정이고요. 일단 그 일대가 군부대들이 많기 때문에 군 내에서 발생한 훈련음일 수도 있고 아직까지는 정확하지 않기 때문에 이 부분은 저희가 시청자 여러분들께 양해를 구하면서 우리 제보자 이야기를 좀 더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지금 소방 당국 같은 경우는 일단 그 지역 자체가 DMZ 내에 있다 보니까 섣불리 남측도 그리고 북측도 진화하러 들어가지 못하고 있다고 하더라고요. 소방대원들은 이동하는 장면들을 보신 게 있습니까?
[인터뷰]
그 부분은 제가 확인할 수 없는 부분이고요. 일단 진화가 된다면 듬성듬성 지금 불이 보이고 있거든요. 현재 상황은 제가 예단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산불 진화를 하고 있는지 안 하고 있는지는 제가 여기서 확인되는 부분은 없습니다.
[앵커]
그러면 지금 중요한 게 바람입니다. 불이 났을 때는 바람이 북쪽 방향으로 부느냐, 남쪽 방향으로 부느냐, 동서로 부느냐가 중요한데 지금 계신 곳에서 바람이 어느 쪽 방향으로 부는지 대략적으로 감지가 되시는지요?
[인터뷰]
지금 상태는 전혀 바람이 불지 않고 있습니다.
[앵커]
바람이 지금은 많이 불지 않고 있군요?
[인터뷰]
네. 느낌상의 바람이 전혀 불지 않고 있습니다.
[앵커]
이 부분 같은 경우는 현재 소방당국에서도 인근 군부대에서 제보가 들어와서 현재 대기 중이라고 하던데. 이 지역에서 평소에 거주하시는 겁니까, 아니면 어떻게 우연히 발견하신 겁니까?
[인터뷰]
우연히 일 때문에 발견하게 됐습니다.
[앵커]
알겠습니다.
일단 지금 대량으로 이렇게 소방차들이 막 동원되거나 이런 모습은 보이지 않는다이런 말씀인 거죠?
[인터뷰]
전혀 보이지 않습니다.
[앵커]
알겠습니다.
생생한 화면을 전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유병운 선생님이었고요.
고맙습니다.
[인터뷰]
고맙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 전화연결 : 유병운 / 목격자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앵커]
불이 난 지역은 숲과 들, 야트막한 산이 복합적으로 있는 곳으로 전해졌습니다.
비무장지대여서 국방부는 물론 연천군, 소방당국도 제대로 대처를 하지는 못하고 현재 불이 번지지 않도록 대비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합니다.
현장에서 상황을 목격한 시민을 전화로 연결해서 좀 더 내용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유병운 선생님 연결돼 계신지요?
[인터뷰]
네.
[앵커]
지금 계신 곳은 어딘가요?
[인터뷰]
연천군 장남리 부분에 있습니다.
[앵커]
지금 지점에서는 불이 난 곳이 보입니까?
[인터뷰]
네, 정확히 보이고 있습니다.
[앵커]
지금 야간이고요. 불이 났으면 환하게 보일 텐데 불이 난 상황이 아직도 잘 보이고 있습니까?
[인터뷰]
네, 현재 계속 불이 진행되고 있고요. 약간 잔불이 보일 때도 있고 안 보일 때도 있고 하다가 계속 진행을 하고 있습니다.
[앵커]
저희가 지금 불 소식에 좀 예민한 것은 아무래도 이번 강원도 산불이 워낙 컸기 때문에, 가뜩이나 지금 손 쓰기 참 어려운, 까다로운 지역인 DMZ 내에서 불이 났단 말이죠. 이것 때문에 지금 어떻게 상황이 흘러가는 것인가 지켜봐야 될 것 같은데 선생님께서 보시기에 지금 불이 확대되는 것 같습니까, 아니면 점점 진화되고 있는 것 같습니까?
[인터뷰]
현재 상황은 확대가 계속 진행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앵커]
불이 점점 커지는 것 같은가요?
[인터뷰]
네.
[앵커]
그렇다면 지금 제가 방송 들어가기 전에 소방관계자하고 얘기를 해 보니까 육안으로 봤을 때는 대략 현장에서는 10km 구간 정도 불이 번져 있다고 얘기가 들어왔는데 그 이상으로 보십니까? 아니면 그 정도로 보십니까?
[인터뷰]
지금 제 육안으로 봤을 때는 킬로미터 수는 제가 정확히 잴 수 없고요. 제가 제보한 사진이 있을 텐데 그 부분을 보면 산등성이 부분에 대략 눈으로 봤을 때 산등성이 온통 빨갛게 저녁 노을처럼 보이고 있습니다.
[앵커]
저희도 지금 화면으로 나가고 있는 게 바로 제보 화면인 것 같은데요. 지금 불이 난 지점에서 또 하나 특징적인 것이 DMZ 내에 있다 보니까 우리 시청자분께서 연락을 주실 때 뭔가 폭발음 같은 게 들렸다라고 하는데 그건 무슨 말입니까?
[인터뷰]
지금도 현재 들리고 있습니다. 지금 방금 전에 들렸고요. 제 짐작에는 비무장지대에 있는 지뢰 같은 것이 폭발하고 있지 않나 그런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앵커]
그 폭발음이 들렸다는 소리가 어느 정도로 큰 정도일까요?
[인터뷰]
지금 육안으로 봤을 때 수십 킬로미터 정도 떨어져 있는데 여기서도 터질 때는 깜짝깜짝 놀랄 정도로 폭발음이 들리고 있습니다.
[앵커]
현장에서 저희 소방당국이 전해온 바로는 아직 공식적으로는 폭발음이 확인된 건 없다 이렇게 입장을 밝혀왔는데. 목격하신 유병운 선생님께서는 지금도 폭발음이 들렸다, 이런 말씀이신 거죠?
[인터뷰]
네, 방금 전에도 두 차례 들렸습니다.
[앵커]
두 차례가 들렸다면 이게 저녁 6시부터 시작된 산불인데, 그 이전부터 시작돼서 6시에 한 번 더, 7시가 다 돼서 한 번 더 제보가 들어와서 소방당국도 출동한 상황인데. 어느 정도 간격으로, 가끔 폭발음이 난 겁니까? 아니면 계속 폭발음이 들렸던 겁니까?
[인터뷰]
저희도 해 질 무렵부터 발견했는데 초반에는 이게 저녁노을이라 생각하고 지나갔는데 연기와 함께 일어나더라고요. 그때부터 폭발음이 들리기 시작했는데 그때 군부대가 훈련 중이구나라고 생각을 했는데 이게 산불이란 걸 확신하게 되고 그 부분이 비무장지대라는 걸 알게 되면서 제가 어림짐작을 한 거죠.
[앵커]
아직까지는 추정이고요. 일단 그 일대가 군부대들이 많기 때문에 군 내에서 발생한 훈련음일 수도 있고 아직까지는 정확하지 않기 때문에 이 부분은 저희가 시청자 여러분들께 양해를 구하면서 우리 제보자 이야기를 좀 더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지금 소방 당국 같은 경우는 일단 그 지역 자체가 DMZ 내에 있다 보니까 섣불리 남측도 그리고 북측도 진화하러 들어가지 못하고 있다고 하더라고요. 소방대원들은 이동하는 장면들을 보신 게 있습니까?
[인터뷰]
그 부분은 제가 확인할 수 없는 부분이고요. 일단 진화가 된다면 듬성듬성 지금 불이 보이고 있거든요. 현재 상황은 제가 예단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산불 진화를 하고 있는지 안 하고 있는지는 제가 여기서 확인되는 부분은 없습니다.
[앵커]
그러면 지금 중요한 게 바람입니다. 불이 났을 때는 바람이 북쪽 방향으로 부느냐, 남쪽 방향으로 부느냐, 동서로 부느냐가 중요한데 지금 계신 곳에서 바람이 어느 쪽 방향으로 부는지 대략적으로 감지가 되시는지요?
[인터뷰]
지금 상태는 전혀 바람이 불지 않고 있습니다.
[앵커]
바람이 지금은 많이 불지 않고 있군요?
[인터뷰]
네. 느낌상의 바람이 전혀 불지 않고 있습니다.
[앵커]
이 부분 같은 경우는 현재 소방당국에서도 인근 군부대에서 제보가 들어와서 현재 대기 중이라고 하던데. 이 지역에서 평소에 거주하시는 겁니까, 아니면 어떻게 우연히 발견하신 겁니까?
[인터뷰]
우연히 일 때문에 발견하게 됐습니다.
[앵커]
알겠습니다.
일단 지금 대량으로 이렇게 소방차들이 막 동원되거나 이런 모습은 보이지 않는다이런 말씀인 거죠?
[인터뷰]
전혀 보이지 않습니다.
[앵커]
알겠습니다.
생생한 화면을 전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유병운 선생님이었고요.
고맙습니다.
[인터뷰]
고맙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