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만세 시위, 100년 만에 데이터로 복원

3·1 만세 시위, 100년 만에 데이터로 복원

2019.02.21. 오후 6:48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3.1 독립운동은 그 역사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관련 공식 통계조차 없는 실정이었는데요.

당시의 만세 시위의 전개 과정을 담은 세세한 기록이 100년 만에 데이터로 복원됐습니다.

YTN 데이터저널리즘팀이 관련 자료를 토대로 지도로 다시 시각화했습니다.

함형건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자]
대한독립을 외치며, 거리로 뛰쳐나온 3.1 만세 물결은 걷잡을 수 없었습니다.

처음엔 종교인과 학생이 주도했던 만세 운동은 지역 주민이 대거 합류하며 그 열기를 더했습니다.

경기도 장안면·우정읍 일대에서는 주민 총 2천 명이 참여해 새벽부터 저녁까지 장소를 7곳으로 옮겨가면서 만세 시위를 이어갔습니다.

당황한 일제는, 닥치는 대로 지역 민가에 불을 지르는 보복을 했습니다.

뜨거웠던 그 만세운동의 현장은, 지금은 자취를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변했습니다.

주민들이 모여 만세시위를 결의했던 교회는 다른 위치에 복원되었고, 만세 시위의 절정을 이뤘던 일본 경찰 주재소 자리는 지금 한 초등학교 운동장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이처럼 시골 장터와 부락 등 곳곳에서 진행됐던 100년 전의 그 치열했던 만세 현장을 데이터로 다시 복원했습니다.

국사편찬위원회가 임시정부 문헌과 사료, 일제 판결문과 조서 등을 총망라해 작성한 자료를 기반으로, YTN 데이터저널리즘팀이 다시 시각화해 봤는데요.

3월 1일을 기점으로 만세 시위가 순식간에 퍼져나가는 양상을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날짜가 지날수록, 만세 시위지가 점으로 누적되어 표시되고 있습니다.

남쪽으로는 제주와 전남, 경남, 북쪽으로는 함북과 평북 지역까지 전방위로 확산됐습니다.

지금처럼 교통이나 통신이 발달하지도 않았던 시절이었지만, 한반도 전체를 만세 물결로 빼곡히 메우는 데는 한 달이 채 걸리지가 않았습니다.

만세 시위 건수는 1,692건으로 집계되었는데, 앞서 보신 경기도 화성의 경우처럼 개별 장소별 시위를 나눠서 세어보면 훨씬 더 많아질 수 있습니다.

시위참여 인원도 국내외에서 최대 백만 명에 달했고, 사망자도 최대 900명이 넘는 것으로 추정이 됐습니다.

3월 1일부터 석 달 간의 만세 시위 추이를 다시 살펴보겠습니다.

만세 시위는 꾸준히 증가하면서 그 양상도 격렬해졌습니다.

유관순 열사가 이끈 아우내 장터 시위가 있기도 했던 4월 1일에 그 정점을 이룬 뒤에 5월을 넘어 연말까지도 간헐적으로 이어졌습니다.

[김정인 / 춘천교대 사회과교육과 교수 : 특정한 지도부 없이 동네 주민이나 노동자, 농민,상인, 학생, 어린이까지 모두 조직할 수 있으면 조직하고 참여할 수 있으면 참여하면서 거족적인 항쟁으로 이어졌습니다. 그래서 삼일 운동의 주역을 꼽으라고 한다면, 민중이라고 얘기하고 싶습니다.]

한마음 한뜻으로 만방에 자주독립 의지를 떨친 3.1 운동, 한 세기가 지나서도 역사의 주인공, 민중의 힘을 깨우쳐주고 있습니다.

YTN 함형건[hkhahm@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