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영양사와 조리사를 포함한 학교 비정규직 실무자들이 처우 개선을 요구하며 오늘부터 이틀 동안 총파업에 들어갔습니다.
일부 학교에서는 급식에 차질이 빚어져 학생들이 도시락을 준비하거나, 빵과 우유 등으로 점심식사를 대신하고 있습니다.
서울 천왕초등학교에 나가 있는 취재 기자 연결해 보겠습니다. 최원석 기자!
잠시 전 점심시간이 시작 됐을 텐데요.
풍경이 평소와는 다르겠군요?
[기자]
평소같으면 열두시 십분, 점심시간에 맞춰 학생들이 급식실에 내려가서 식사를 하게 됩니다.
급식실은 한시간 전 쯤에 보여드렸는데요, 오늘은 이렇게 학생들이 도시락을 펼쳐놓고 식사를 하고 있습니다.
급식실 인력인 조리사와 영양사들 가운데 학교 비정규직노동조합원들이 파업에 참여하고 있어서입니다.
비정규직 근로자에는 전국 국공립 초중고등학교에서 일하는 영양사와 조리사와 함께 사서와 전산, 과학, 특수, 돌봄 실무원 등이 포함돼 있습니다.
정규직 근로자들과 달리 식사비가 지급되지 않는 점, 또 장기근속수당에 상한선이 있는 점 등에 대한 처우 개선을 교육당국에 요구하며 파업을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이번 파업에는 전국 학교비정규직노조 등 3개 노조 소속 조합원 6만여 명 가운데 2만여 명이 참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파업 참여자의 절반 넘는 60~70%가 학교 급식을 담당하는 인력이라, 일부 학교에서는 급식에 차질이 생기게 됐습니다.
서울 지역에서는 60여개 초등학교 등 모두 80여개 학교에서 급식이 차질을 빚을 것으로 보이는데, 이번 파업에 대비해 서울시 교육청은 학교 상황에 맞게 총파업에 대비한 급식 대책을 마련하라는 공문을 각 학교에 보냈습니다.
오늘 학생들은 이곳 천왕 초등학교 학생들처럼 도시락을 싸오거나 빵과 우유 등으로 대신 점심을 먹고, 일부 학교는 단축 수업을 실시하기도 합니다.
광주 대전 등 일부 지역은 교육청과의 교섭을 통해 총파업을 유보하기로 결정해, 전국적인 '급식대란'으로는 이어지지 않을 전망입니다.
전국 학교비정규직연대 소속 노동자 4천여 명은 오늘 오후 1시부터 서울역 광장에서 총파업 결의대회를 열어 정규직과의 차별 철폐를 촉구하고 거리 행진을 벌일 예정입니다.
현재 각 교육청마다 예산 부족을 호소하고 있는 만큼 명절 상여금 인상 등을 포함한 노조원들의 요구 모두를 현실적으로 수용하기는 힘들어 파장의 확산이 우려됩니다.
지금까지 서울 천왕초등학교에서 YTN 최원석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영양사와 조리사를 포함한 학교 비정규직 실무자들이 처우 개선을 요구하며 오늘부터 이틀 동안 총파업에 들어갔습니다.
일부 학교에서는 급식에 차질이 빚어져 학생들이 도시락을 준비하거나, 빵과 우유 등으로 점심식사를 대신하고 있습니다.
서울 천왕초등학교에 나가 있는 취재 기자 연결해 보겠습니다. 최원석 기자!
잠시 전 점심시간이 시작 됐을 텐데요.
풍경이 평소와는 다르겠군요?
[기자]
평소같으면 열두시 십분, 점심시간에 맞춰 학생들이 급식실에 내려가서 식사를 하게 됩니다.
급식실은 한시간 전 쯤에 보여드렸는데요, 오늘은 이렇게 학생들이 도시락을 펼쳐놓고 식사를 하고 있습니다.
급식실 인력인 조리사와 영양사들 가운데 학교 비정규직노동조합원들이 파업에 참여하고 있어서입니다.
비정규직 근로자에는 전국 국공립 초중고등학교에서 일하는 영양사와 조리사와 함께 사서와 전산, 과학, 특수, 돌봄 실무원 등이 포함돼 있습니다.
정규직 근로자들과 달리 식사비가 지급되지 않는 점, 또 장기근속수당에 상한선이 있는 점 등에 대한 처우 개선을 교육당국에 요구하며 파업을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이번 파업에는 전국 학교비정규직노조 등 3개 노조 소속 조합원 6만여 명 가운데 2만여 명이 참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파업 참여자의 절반 넘는 60~70%가 학교 급식을 담당하는 인력이라, 일부 학교에서는 급식에 차질이 생기게 됐습니다.
서울 지역에서는 60여개 초등학교 등 모두 80여개 학교에서 급식이 차질을 빚을 것으로 보이는데, 이번 파업에 대비해 서울시 교육청은 학교 상황에 맞게 총파업에 대비한 급식 대책을 마련하라는 공문을 각 학교에 보냈습니다.
오늘 학생들은 이곳 천왕 초등학교 학생들처럼 도시락을 싸오거나 빵과 우유 등으로 대신 점심을 먹고, 일부 학교는 단축 수업을 실시하기도 합니다.
광주 대전 등 일부 지역은 교육청과의 교섭을 통해 총파업을 유보하기로 결정해, 전국적인 '급식대란'으로는 이어지지 않을 전망입니다.
전국 학교비정규직연대 소속 노동자 4천여 명은 오늘 오후 1시부터 서울역 광장에서 총파업 결의대회를 열어 정규직과의 차별 철폐를 촉구하고 거리 행진을 벌일 예정입니다.
현재 각 교육청마다 예산 부족을 호소하고 있는 만큼 명절 상여금 인상 등을 포함한 노조원들의 요구 모두를 현실적으로 수용하기는 힘들어 파장의 확산이 우려됩니다.
지금까지 서울 천왕초등학교에서 YTN 최원석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