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류주현]
온라인에서 인신공격을 하거나 악플을 다는 사람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자신의 외모에 불만을 가지거나 콤플렉스를 느끼는 사람이 사이버상에서 공격적인 성향을 보이기 쉽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서 눈길을 끌고 있는데요.
인터넷 뉴스 사이트와 블로그, SNS 등에 올라온 '집단 따돌림'과 관련한 40만여 건의 글을 분석한 결과, 인터넷 공간에서 따돌림의 가해자가 되는 가장 큰 요인이‘자신의 외모에 대한 불만족’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프라인에서는 보통 가해자가 외모에 우월감을 느끼고 지배욕이 강한 경우가 많지만, 온라인에서는 신상이 드러나지 않는 익명성 때문에 이와 반대 현상이 나타난다는 겁니다.
키보드 뒤에 숨어서 남을 공격하는 것으로 자신의 콤플렉스를 분출하는 거죠.
연구진은, "사이버 공간에서 타인을 비난하고 이를 반복하는 과정에서 쾌감을 느끼며 공격 성향이 강화된다"면서 "가해자의 특성에 따른 연구와 지원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네티즌들 이 소식 어떻게 봤을까요?
댓글 보시면요.
"이 기사 보고 뜨끔 하는 사람들 많을 것 같은데요?"
"예쁘거나 잘생긴 연예인 기사에 악플 다는 사람들. 이유가 이거였군요"라면서 공감하는 의견도 있었고요.
"이렇게 일반화시키는 건 좀 아닌 것 같습니다"라면서 동의하기 힘들다는 반응도 있었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 여러분은 어떻게 보시나요?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온라인에서 인신공격을 하거나 악플을 다는 사람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자신의 외모에 불만을 가지거나 콤플렉스를 느끼는 사람이 사이버상에서 공격적인 성향을 보이기 쉽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서 눈길을 끌고 있는데요.
인터넷 뉴스 사이트와 블로그, SNS 등에 올라온 '집단 따돌림'과 관련한 40만여 건의 글을 분석한 결과, 인터넷 공간에서 따돌림의 가해자가 되는 가장 큰 요인이‘자신의 외모에 대한 불만족’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프라인에서는 보통 가해자가 외모에 우월감을 느끼고 지배욕이 강한 경우가 많지만, 온라인에서는 신상이 드러나지 않는 익명성 때문에 이와 반대 현상이 나타난다는 겁니다.
키보드 뒤에 숨어서 남을 공격하는 것으로 자신의 콤플렉스를 분출하는 거죠.
연구진은, "사이버 공간에서 타인을 비난하고 이를 반복하는 과정에서 쾌감을 느끼며 공격 성향이 강화된다"면서 "가해자의 특성에 따른 연구와 지원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네티즌들 이 소식 어떻게 봤을까요?
댓글 보시면요.
"이 기사 보고 뜨끔 하는 사람들 많을 것 같은데요?"
"예쁘거나 잘생긴 연예인 기사에 악플 다는 사람들. 이유가 이거였군요"라면서 공감하는 의견도 있었고요.
"이렇게 일반화시키는 건 좀 아닌 것 같습니다"라면서 동의하기 힘들다는 반응도 있었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 여러분은 어떻게 보시나요?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