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는 해킹 사고로 발생한 회원들의 피해 규모가 386억 원 수준으로 파악됐다고 밝혔습니다.
두나무 오경석 대표는 이번 사고의 경우 업비트의 보안 관리가 미흡했던 탓으로 변명의 여지가 없다며, 심려를 끼친 데 사과했습니다.
업비트는 어제(27일) 당사 솔라나 계열 지갑에서 이상 출금을 탐지하자마자 전면 점검을 진행했고, 그 결과 블록체인에 공개돼있는 다수의 업비트 지갑 트랜잭션, 거래 기록을 분석하면 개인 키, 즉 비밀번호를 추정할 수 있다는 취약점을 발견해 조치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회원 피해 자산의 경우 업비트가 보유한 자산으로 전액 보전했다며, 전면 개편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지갑 시스템의 안정성이 확인되는 대로 디지털 자산 입출금을 재개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YTN 송재인 (songji10@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두나무 오경석 대표는 이번 사고의 경우 업비트의 보안 관리가 미흡했던 탓으로 변명의 여지가 없다며, 심려를 끼친 데 사과했습니다.
업비트는 어제(27일) 당사 솔라나 계열 지갑에서 이상 출금을 탐지하자마자 전면 점검을 진행했고, 그 결과 블록체인에 공개돼있는 다수의 업비트 지갑 트랜잭션, 거래 기록을 분석하면 개인 키, 즉 비밀번호를 추정할 수 있다는 취약점을 발견해 조치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회원 피해 자산의 경우 업비트가 보유한 자산으로 전액 보전했다며, 전면 개편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지갑 시스템의 안정성이 확인되는 대로 디지털 자산 입출금을 재개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YTN 송재인 (songji10@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